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ies' Health Level on Married Men's Life Satisfaction

기혼남성의 가정건강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종수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조희금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이재법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6.09.01
  • Accepted : 2016.11.23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health on life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577 married men from August 29 to September 22 in 2014; it was handed out via mail and hand delivery. The families's health level of married men was, strength of family relations was 3.79, the strength of environment relations was 3.41, and the strength of resources was 3.38. The families's health level of married men was family relation was 3.93, job satisfaction was 3.58, dietary life satisfaction was 3.47, and housing satisfaction was 3.16, leisure satisfaction and income satisfaction was 3.35. Further, the study shows that the health level of families i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strength of family relations is related with dietary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work life satisfaction, and housing satisfaction. The strength of environment relations is related with dietary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hus, this study showed the need for more social support to improve the health levels of families and life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안나(2012). 가정에 대한 인식과 가정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성인 남.여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옥선.오윤자.최명구(2005). 초등학생이 지 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19(3), 761-777.
  3. 김혜신.김경신(2011).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남성부부의 가족건강성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59-86.
  4. 너르진 어용게렐(2015). 몽골기혼 남성의 가정내 역할수행이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문화체육관광부(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결과.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6. 박미석.김미영(2012).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정자원 수준 및 집단별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35-51.
  7. 박유진(2002). 여가경험과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향실.김경신(2015).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orea Journal of Human Ecology, 24(4), 499-511. https://doi.org/10.5934/kjhe.2015.24.4.499
  9. 삼성경제연구소(2013).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삼성경제연구소.
  10. 서종수(2010). 일-생활균형정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비영리기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하진.김정옥(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141-178.
  12. 송인숙.홍달아기.박현성(2013).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4), 579-598.
  13. 송진숙.이영관(2007). 대전지역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및 가족여가 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가족여가 만족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2), 183-194.
  14. 송혜림.고선강.박정윤.권혜진.김유경.진미정(2010). 가족친화환경 측면에서 본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341-361.
  15. 송혜림.이승미(2014). 행복체감형 가족정책에 대한 가정관리학의 역할과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56차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6. 양순미(2004). 성별에 따른 농촌부부의 행복정도과 가족건강성 변인의 효과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53-172.
  17. 여성가족부(2010). 제2차 가족실태조사. 서울: 여성가족부.
  18. 옥선화(2004). 한국가족의 건강가족 지표-탐색적 접근. UN세계가정의 해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19.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1), 45-60.
  20. 윤소영.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7-35.
  21. 이국화.류점숙.이선정.신효식(2011).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와 가정생활만족도. 生活科學硏究, 21, 95-102.
  22. 이옥순(2011). 가족친화제도와 남성근로자의 일-가족 갈등, 직무만족도 및 생활만족도.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윤로.유시순(2009). 사회복지사를 위한 SPSS. 서울: 학지사.
  24. 이정미(2014). 기혼여성의 평생교육참여와 가족의 지원이 가정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정영금.박정윤.송혜림(2011). 가정건강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77-1970.
  26.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3). 건강가정론(3판). 서울: 신정.
  27. 조희금.박미석(2004). 건강가정기본법의 이념과 체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331-344.
  28. 지영숙 이영호(1996). 가정교육에 대한 태도와 가정건전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3), 77-90.
  29. 최보아.지영숙(2000). 공공가정 거주노인의 생활만족도: 유료양로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4(2), 1-15.
  30. 최정혜(2005). 주말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주말부부 남편과 아내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3(3), 11-26.
  31. 최정혜(2006a). 맞벌이교사들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3), 163-173.
  32. 최정혜(2006b). 맞벌이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6), 47-58.
  33. 통계청(2015). 2015 사회조사결과.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14FA132R#
  34. 한겨레(2014.1.22). 회사에서 행복한 김 대리, 비결이 뭘까? http://www.hani.co.kr/arti/economy/working/620958.html.
  35. 한국소비자원(2013). 2013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http://www.kca.go.kr/brd/m_32/view.do?seq=1485&multi_itm_seq=2048
  36.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직장인의 성공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KRIVET Issue Brief, 48, 1-4.
  37. 황미라(2011). 여성근로자의 일.가정양립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Allis, P. & O'Driscoll, M.(2008). Positive effects of non work-to-work facilitation on well-being in work, family and personal domain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3), 273-291. https://doi.org/10.1108/02683940810861383
  39. Beutell, N. J. & Wittig-Berman, U. (2008). Work- 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synergy for generation X, baby boomers, and matures: Generational differences, predictors, and satisfaction outcom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3(5), 507-523. https://doi.org/10.1108/02683940810884513
  40. Burr, W. R.(1970). Satisfaction with various aspects of marriage over the life cycle: A random middle class samples. Journal of Marriages and the Families, 32(1), 29-37. https://doi.org/10.2307/349968
  41. DeFrain, J. & Asay, S. M.(2007). Strong families around the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family strengths perspective. Marriage & Family Review, 41(1-2), 1-10. https://doi.org/10.1300/J002v41n01_01
  42. Diener, E.(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02.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43. Greenhaus, J. H. & Powell, G. N.(2006).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 72-92.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44. Medley, L.(1980). Life satisfaction across four stage of adult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1(3), 193-209. https://doi.org/10.2190/D4LG-ALJQ-8850-GYDV
  45.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2), 134-143.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46. OECD 홈페이지. http://www.keepeek.com/Digital-Asset-Management/oecd/economics/how-s-life-2015_how_life-2015-en#page1.
  47. Olson, D. H. & DeFrain, J.(2003). Marriage and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Boston: McGrawhill-Hill.
  48. Woodhouse, C. G.(1930). A study of 250 successful families. Social Forces, 30(8), 51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