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Monitoring in Ecological Restoration Area of Open-Pit Mine Using Drone Photogrammetry

드론사진측량을 이용한 노천광산 생태복원지역의 변화 모니터링

  • 이동국 (상지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유영걸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유지호 (중앙항업) ;
  • 이현직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6.12.02
  • Accepted : 2016.12.12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In this study, analyze and monitor the change of the ecological restoration area inside the open-pit mine in Gangwon-do. and to analyze and monitor the change of ecological restoration area.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using high-resolution orthophoto of various periods and analyzed terrain change using DSM/DEM in study area. Therefore, orthophoto and 포인트 클라우드 were collected from 2014 aerial laser surveying and 2015 fixed-wing drone photogrammetry. In addition, orhtophoto and 포인트 클라우드 were produced by using rotary-wing drone photogrammety in 2016, and change of ecological restoration area was analyzed using this. As a result, it's possible to perform change monitoring of the open-pit mine ecological restoration area. using nEGI and VARI, about 10-30% of the area ratio of the result of extracting vegetation distribution area is distributed, and the comparison DSM and DEM cross section and restoration plan line, the cross section made by using the drone were similar, and the earth-volume analysis was possible.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존재하는 노천 채굴 방식의 석회석 광산 내부에 존재하는 생태복원지역에 대한 변화 분석 및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고해상도의 다시기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식생 분포 지역의 식생 분포 변화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DEM을 이용한 지형의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고, 드론 사진측량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항공레이저측량 및 2015년 고정익 드론사진측량으로 제작된 정사영상과 포인트 클라우드를 수집하였다. 또한 2016년 회전익 드론사진측량을 이용하여 정사영상 및 포인트 클라우드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태복원지역의 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인 항공측량시스템보다 단시간, 저비용으로 지형공간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천광산 생태복원지역의 변화 모니터링 수행이 가능하였다. RGB 정사영상을 활용하여 식생 분포 지역을 추출하는 nEGI 및 VARI를 통해 식생 분포 지역을 추출한 결과 식생 분포 지역이 대상지역의 면적 대비 약 10~30%가 증가하여 생태복원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M을 이용해 제작된 단면과 복원 계획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드론의 활용으로 제작된 단면과 복원 계획선이 ${\pm}10cm$의 오차로 유사한 형태를 나타냈으며, 토공량 분석이 가능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itelson, A., Kaufman, A. J., Stark, Y. R. and Rundquist, D., 2002, Novel algorithms for remote estimation of vegetation frac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 80, No. 1, pp. 76-87. https://doi.org/10.1016/S0034-4257(01)00289-9
  2. Lee, D. G., Lee, H. J., You, J. H., Kim, S. Y. and Lim, J. S., 2015, Availability analysis of UAV for the monitoring of open-pit mines, Proc. of 2015 Conference on Geo-Spatial Information,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Seoul, Korea, pp. 194-196.
  3. Lee, S. J. and Choi, Y. S., 2015, Topographic survey at small-scale open-pit mines using a popular rotary-wing unmanned areal vehicle(drone),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5, No. 5, pp. 462-469. https://doi.org/10.7474/TUS.2015.25.5.462
  4. Lee, S. J. and Choi, Y. S., 2016, Comparison of topographic surveying results using a fixed-wing and a popular rotary-wing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Journal of Tunnel & Underground Space,Vol. 26, No. 1, pp. 24-31. https://doi.org/10.7474/TUS.2016.26.1.024
  5. Lim, S. B., Seo, C. W. and Yun, H. C., 2015, Earthwork management for dredged soil dumping area by using drone, Proc. of KSCE 2015 Convention,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Gunsan, Korea, pp. 99-100.
  6. Remondino, F., Barazzetti, L., Nex, f., Scaioni, M. and Sarazzi, D., 2011, UAV photogrammetry for mapping and 3D modeling -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Proc.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nmanned Aerial Vehicle in Geomatics, ISPRS, Zurich, Switzerland, pp. 25-31.
  7. Snavely, N., Seitz, S, and Szeliski, R., 2008, Modeling the world from internet photo colle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 80, Issue 2, pp. 189-210. https://doi.org/10.1007/s11263-007-0107-3

Cited by

  1. 무인항공사진측량 절차를 적용한 항공사진영상의 처리 및 소규모 변화 지역의 수치지도 수정/갱신 방안 vol.25, pp.4, 2016, https://doi.org/10.7319/kogsis.2017.25.4.015
  2. 노천광산 모니터링을 위한 드론 사진측량의 정확도 및 활용성 평가 vol.17, pp.12, 2016,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191
  3. Rockfall Risk Analysis Based on Precise Topography using UAV vol.20, pp.4, 2020, https://doi.org/10.9798/kosham.2020.20.4.63
  4. Application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 Mining from Exploration to Reclamation: A Review vol.10, pp.8, 2016, https://doi.org/10.3390/min10080663
  5.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노천광산 개발지 조사에 관한 연구 vol.11, pp.1, 2021,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