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application of project based mathematics learning on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career awareness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진로인식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 설계 및 적용

  • Received : 2016.08.05
  • Accepted : 2016.12.22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project based math learning using future prospective jobs to find out its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career awareness. Also, this study aims at implementation of this project based math learning program in school math education. The project based math learning using future prospective jobs was conducted through 19 lessons for 7 weeks. As a result, the project based math learning using prospective jobs is turned out to be effective on developing attitudes on mathematics and career awareness positively.

본 연구는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설계 및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인식과 수학에 대한 태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수학과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기본개념 학습 단계를 추가하여 구체적인 수업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수학과 교수 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학생들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지역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7주 동안 19차시에 걸쳐 미래사회 역량과 관련된 유망직업 소재를 포함하여 설계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을 실시하였다. 대상 학생의 수가 충분치 못하여 정량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서술과 수행 결과물을 통해 정성적인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태도와 진로인식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현하 (2004).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 수학, 과학, 기술.가정.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부 (2015a). 교사용 지도서 수학 6-2. 서울: 천재교육 주식회사.
  5. 교육부 (2015b). 2015 개정 교육과정 확정 발표 보도자료. September 23, 2015, Retrieved from : http://www.moe.go.kr/web/100026/ko/board/download.do?boardSeq=131091
  6. 김경희, 김수진, 김미영, 김선희(2009).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9-7-2.
  7. 김규태 (1993). 국민학생들의 진로인식도 조사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진주.
  8. 김민경 (2000). 창조적 지식기반사회 구축을 위한 초등수학과 실생활과의 연계 지도 방안 연구. 학교수학, 2(2), 389-401.
  9.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 (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10. 김수진, 박지현, 김현경, 진의남, 이명진, 김지영, 안윤경, 서지희(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1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3.
  11. 김은형, 백석윤 (2008).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 수학교육학회지, 12(2), 25-148.
  12. 김충기 (1998). 생활지도, 상담, 진로지도. 파주: 교육과학사.
  13. 김혜원 (2008). Polya의 문제해결과정을 적용한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4. 남승인, 류성림, 이종학 (2014).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수학 문제해결 교수 학습법. 서울: 경문사.
  15. 박성원, 강경균 (2014). 미래 연구 워크숍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의 미래 직업 탐색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225-243.
  16. 박정(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17. 신수진, 조완영 (2014). UCC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논총, 30(1) 1-16.
  18. 안창규 (1997). 진로발달검사 실시요강. 서울: 한국가이던스.
  19.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최미숙, 나귀수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20. 이지연, 이영대, 정윤경, 최동선, 김나라, 장석민, 정영근, 남미숙, 이건남 (2009).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 모델 구축(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이진향 (1994). 수학기피행동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수학태도의 개선방법에 관한 연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2. 임해미 (2007). 프로젝트기반 수학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23. 정구향, 조영미, 이대현, 이봉주, 구자형, 김경희, 김재철 (2004). 200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1-4.
  24. 정윤경, 김나라, 남미숙, 정진철 (2011). 초등 교과 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매뉴얼.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진혜영 (2006).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6. 최승현, 구자옥, 김주훈, 박상욱, 오은순, 김재우, 백현아(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8.
  27. 박선화, 김명화, 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 한희영 (2002). 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사용된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양상.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9. Douglas, S. F. (2000). A teacher's guide to project-based learning. Maryland: Scarecrow Education.
  30. Intel Innovation in Education (2004). Designing effective project. Retrieved from: http://www97.intel.com/en/ProjectDesign/.
  31. Kilpatrick, W. H. (1926). The project method : The use of the purposeful act in the educative process. NY: Teachers College Press of Columbia University.
  3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A: NCTM.
  33.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우정호 역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천재교육.
  34. Stanley, T. (2011). Project-based learning for gifted students: A handbook for the 21st-century classroom. Texas: Prufrock Press.
  35. Thomas, J. W.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 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