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erence from learning block type programming to learning text type programming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으로의 전이

  • 소미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Received : 2016.11.02
  • Accepted : 2016.11.29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Informatics curriculum revised 2015 proposed the use of block type and text type of programming language by organizing problem solving and the programming unit in a spir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algorithms helps programming learning and whether there is a positive transition effect in block type programming learning to text type programming trailing learning. For 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conducted block type and text type programming learnin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writing the algorithm in a limited way can interfere with the learner's expression of thinking, but the block type programming learning has a positive transition to the text type programming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uggested a plan for the programming education which is sequential from elementary school.

2015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에서는 문제해결과 프로그래밍 단원을 나선형으로 조직하면서 학교급 별로 블록형과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언어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알고리즘 작성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도움을 주는지,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이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후행학습에 긍정적 전이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초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블록형과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한정된 방법으로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것은 학습자들의 사고 표현을 가로막을 수 있지만 블록형 프로그래밍 학습은 텍스트형 프로그래밍 학습에 긍정적 전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부터 계열성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추진계획. 교육부
  2. 교육부 (2015).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3. 교육부 제2015-74호 [별책10](2015). 정보과교육과정. 교육부.
  4. 김자미, 이원규 (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6), 59-69.
  5. 김자미, 이원규 (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1), 13-21.
  6. 이태욱, 최현종 (2015). 정보교과교육론. 서울: 한빛 아카데미
  7. 김용천, 김자미, 이원규 (2012).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활동지를 사용한 성찰에 대한 사례 연구.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6(1), 21-31.
  8. 장윤재, 김자미, 이원규 (2011).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따른 프로젝트 완성 능력의 차이 검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1), 1-12.
  9. 교육부 (2015).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
  10. 정은숙, 허민, 진영학, 김영식 (2009). 중학교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순서도학습이 논리적 사고력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6), 11-19.
  11. S. J. Norton, C. J. McRobbie, I. S. Ginns (2007), problem solving in a middle school robotics design classroo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3, 261-277. https://doi.org/10.1007/s11165-006-9025-6
  12. 박경욱, 류남훈, 김응곤 (2010). 구조적 프로그래밍 위한 언어 학습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5(5), 459-464.
  13. 교육부 제1992-11호 (1992).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14. 교육부 제1997-15호[별책16] (199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15. 교육부 (2000).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운영지침. 교육부.
  16. 이원규, 정효숙 (2004). 초.중등과정에서의 컴퓨터과학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정보과학회지. 22(5), 31-34
  17. 교육부 (2005). 초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운영지침. 교육부.
  18. 교육부 제2007-79호[별책1] (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19. 김자미, 이원규 (2010).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2), 219-227.
  20. 교육부 제2011-361 (2011). 중등교육과정. 교육부.
  21. 배학진, 이은경, 이영준 (2008). 문제 중심 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모형.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3), 11-22.
  22. 유정수, 이민희 (2009).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창의성, 문제해결력, 프로그래밍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3(4), 443-450.
  23. 권창미, 권보섭 (2009). 'Dolittle'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3(7), 1467-1474.
  24. 오정철, 이지훤, 김정아, 김종훈 (2012).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6학년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3), 11-23,
  25. 권대용 (2013).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한 논리적사고력 기반의 초등 로봇 과제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16(4), 13-21
  26. 김태훈, 김동훈 (2013). Kodu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6(3), 13-22.
  27. 오경선, 안성진 (2015). 프로그래밍이 어려운 이유와 컴퓨팅사고력간의 관계성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18(5), 55-62.
  28. 김재휘, 김동호 (2016).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69-82.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1.69
  29. 박정신, 조석봉 (2012). 프로그래밍입문 수업에서 스크래치 활용 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0(9), 449-456.
  30. 백정희 ,주문원, 최영미 ,임영환 (2012).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에서의 앨리스(Alice) 활용사례 연구, 16(1), 61-70
  31. 정덕길, 정민포, 조혁규, 노영욱 (2014). Alice 프로그래밍을 통한 객체 지향 시각 프로그래밍 교육의 평가지표 개발 및 유용성 분석.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18(3), 742-748. https://doi.org/10.6109/jkiice.2014.18.3.742
  32. 박찬정, 현정석, 진희란, 정혜선 (2015). C와 스크래치 프로그램 이해에 대한 고등학생의 추상적 사고, 언어친밀성,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6), 1-12.
  33. Scratch : https://scratch.mit.edu
  34. Entry : https://playentry.org
  35. 안경미, 손원성, 최윤철 (2011).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이 초등학생의 학습 몰입과 프로그래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1), 1-10.
  36. 김수환, 이원규, 김현철 (2009). 개정된 정보교육과정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의 교육적 적용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2(2), 23-31.
  37.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 (2011).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보학습자들의 행동 및 사고과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54-64.
  38. 최정원, 이영준 (2014).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의 어려움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5), 89-98.
  39. 정영식, 유정수 (2014). Kodu 기반의 게임 프로그래밍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변화.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3), 453-460.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3.453
  40. 홍태경, 전석주 (2015). 초등학교에서 코두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1), 1-10.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1.1
  41. 이은형, 이태욱 (2015). 엔트리(ENTRY)를 활용한 초등 프로그래밍 입문수업 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1), 43-46.
  42. 서영호, 염미령, 김종훈 (2016). 초등학교 SW교육에서 동료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3), 219-234.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3.219
  43. 김수환, 한선관 (2014). 스크래치데이 참여학생들의 SW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4), 461-470. https://doi.org/10.14352/jkaie.2014.18.4.461
  44. 전현석, 정종광, 김성식 (2014). C언어 기초 학습을 위한 문제 설계 및 운영.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1), 291-294.
  45. 권대용, 길혜민, 염용철, 유승욱, 진겸종, 정구야, 이원규 (2004). 중등 컴퓨터과학교육을 위한 객체지향형 EPL "두리틀"의 적용 및 평가.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7(6), 1-12.
  46. 허미선, 김종혜, 이원규 (2009). 텍스추얼 및 비주얼 프로그래밍 교육의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3(1), 123-127.
  47. 문외식 (2011). 초등학교 재량활동 시간에 라인트레이서를 이용한 C프로그래밍 학습모형.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4), 603-612.
  48. 박찬정, 현정석, 진희란, 정혜선 (2015). C와 스크래치 프로그램 이해에 대한 고등학생의 추상적 사고, 언어친밀성, 학업성취도 관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6), 1-12.
  49. 박경재, 이수정 (2010). 두리틀과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4), 619-626.
  50. 심재권, 권대용, 이원규 (2014). 초중등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방과후 교육과정안 설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2), 13-16.
  51. 김경미, 김현숙 (2014).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례연구.디지털융복합연구.12(11), 339-348.
  52. 이대현 (2015).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효율적 구현을 위한 대안연구. 파이썬을 활용한 게임 개발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논문집. 13(1), 145-156.
  53. 김성수 (2015). 스크래치를 활용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54. 이준영 (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설계.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55. 이원규, 김현철, 유승욱, 이승현, 한희섭, 신은미, 김태욱, 김종혜 (2010). 정보 1,2,3. 서울: 미래엔.
  56. McCracken, M., Almstrum, V., Diaz, D., Guzdial, M., Hagan, D., Kolikant, Y., Laxer, C. , Thomas, L., Utting, I., Wilusz, T. (2001). A multinational, multi - institutional study of assessment of programming skills of first year CS students. ACM SIGCSE Bulletin, 33(4), 125-140. https://doi.org/10.1145/572139.572181
  57. 윤일규 (2009). 초등학생의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과제를 통한 논리적 사고력 분석. 정보창의교육논문지. 3(1), 1-7.
  58. 김자미, 이원규 (2015). 평등과 수월성을 고려한 중국의 정보교육과정.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