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GUI 디자인의 변화에 대한 어포던스 관점의 고찰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iOS GUI Design in the view of Affordance

  • 양운 (동서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
  • 김형우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 투고 : 2016.11.23
  • 심사 : 2016.12.14
  • 발행 : 2016.12.31

초록

본 연구는 iOS GUI 디자인의 변화에 함의된 어포던스의 변화와 이를 통한 어포던스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어포던스 개념을 도출하고 연구에 사용될 6가지 어포던스(본능적, 행동적, 반성적, 명시적, 메타포적, 패턴 어포던스)를 선정하고 iOS의 GUI 디자인 변화를 어포던스 관점에서 고찰하여 다음과 같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iOS GUI 디자인의 본능적 어포던스는 이미 충분한 반성적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있어 이를 과감히 생략하거나 제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명확한 명시적 어포던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둘째, iOS의 행동적 어포던스와 패턴 어포던스는 사용 경험의 누적으로 인해 반성적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턴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메타포적 어포던스의 기반 영역으로도 활용된다. 셋째, iOS의 플랫 디자인을 어포던스 관점에서 고찰해 본 결과, 본능적 어포던스의 감소로 인하여 시각적 표현 상의 제약이 줄어들게 되어 화면 공간의 여유, 컬러 변화의 자유, 명시적 어포던스의 제공 등이 가능하게 된 것도 그 원인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본능적 어포던스가 사용경험 누적에 따라 반성적 어포던스를 형성하고 이는 메타포적 어포던스의 기반 영역으로 활용되며, 본능적 어포던스의 제거나 감소는 보다 명확한 명시적 어포던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패턴 어포던스가 생성되는 어포던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관계 변화 또한 고찰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of affordance in iOS GUI design and the relationship of affordances. We figured out variety kinds of Affordance concepts and choosed six Affordances(Visceral, Behavioral, Reflective, Explicit, Metaphorical, Pattern Affordanc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transformation of iOS GUI design which based on the viewpoint of these 6 Affordance we have chosen is as follows. Firstly, the Visceral Affordance of iOS GUI design has already sufficiently become to the Reflective Affordance. So we can ignore or ellipsis the Visceral Affordance and the addition of specific Explicit Affordance can be possible. Secondly, due to the use experience of iOS, Behavioral Affordance and Pattern Affordance have already become to a kind of Reflective Affordance. Through this evolution, new kind of Pattern Affordance is formed. At the mean time, it also applied the basic field of Metaphorical Affordance. Thirdly, investigating the Flat Design of iOS based on the viewpoint of Affordance, we have figured out that Visceral Affordance has been reduced. So that the constrains of visual performance has also been reduced. This is the reason that there are more space remained in screen layout design, the color has become more natural and more Explicit Affordance has been provided, ect. Futhermore, in this thesis we have also figured out that there are some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each Aff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OS, some Affordances have transformed to other Affordances. With the accumulation of use experience, Visceral Affordance has transformed to Reflective Affordance based on the field of Metaphorical Affordance. With the disappearance or reduction of Visceral Affordance, iOS provide Explicit Affordance instead. As a result of this kind of process, a new Pattern Affordance has been formed.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준우, 김병택 "모바일 운영체제 UI 디자인에 적용된 미니멀리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28권, 265-273쪽, 2013년 12월
  2. Wikipedia. http://ko.wikipedia.org/wiki/affordance (accessed November, 22, 2016)
  3. J. Gibson, "The ecological approach to visual percep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MA, USA, 1979.
  4. 강윤화, "메타분석을 이용한 모바일미디어 어포던스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Joanna McGrenere, W Ho, "Affordances: Clarifying and Evolving a Concept," Graphics Interface 2000, 2000
  6. 정혜경,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아이콘과 어포던스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421-431쪽, 2012
  7. 김성훈, 김인수, "인지적 어포던스 기반의 인터랙티브 e-퍼블리싱 컨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지식학회, Vol.25, 355-366쪽, 2012
  8. 구지향, 김태양, 김동희, "어포던스에 근거한 박물관 및 미술관 모바일 도슨트 어플리케이션 디자인연구,"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제14권, 제3호, 769-799쪽, 2014
  9. 조민제, "터치스크린 모바일 폰에서 입력 제스처를 유도하는 GUI의 어포던스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10. D. A. Norman, "Emotional Design," BasicBooks, New York, 2004
  11. 김형우,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의 어포던스 맥락에 관한 연구,"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8권 제 5호, 663-670쪽, 2015
  12. https://developer.apple.com/ios/human-interfaceguide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