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역에서 노선 간에 이동하는 환승통행량을 추정하기 위한 별도의 교통카드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환승역을 이동하는 승객의 통행이동을 추정하는 모형을 제안하여 환승통행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안을 구축한다. 모형의 가정은 승객은 일반화비용을 최소로 하는 통행경로를 선정하는 행태를 통하여 환승역을 경유하도록 구축되었다. 또한 수도권 도시철도의 특성을 반영하는 두 가지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는 도시철도의 경우 출발역과 도착역을 연결하는 유사한 경로가 존재하며 승객은 환승회수가 증가하면서 추가적인 통행비용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사한 경로를 탐색하는 방안인 M-유사경로탐색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계단형 환승계수를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수도권 도시철도의 2가지 사례를 통하여 환승통행량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신도림역 20개 방향별 통행현상을 재현하였다. 수도권 도시철도 33개 환승역사를 대상으로 방향별 통행총량(A), 노선간 환승총량(B), B/A에 대한 비율을 파악하여 통행기능을 파악하였다.
Separate transportation card readers that record the amount of transfer volume occurring during movement in-between lines within the metropolitan railway transfer stations do not exist. This research proposes a model to estimate passenger transit movements in transfer stations that adequately reproduces characteristics arising during a transfer trip.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assumes that passengers adopt transfer behaviors that minimize their generalized costs during transfer trips. Further, two measures are sought in order to reflect attributes of the metropolitan railway. The first is that similar paths connect origin and destination stations. For this, the M-Similar Paths method is applied to the model to identify the similar paths that arise. The second is that passengers perceive increasing number of transfers as additional transfer costs, which is reflected by means of the Stepwise Transfer Coefficient. Two case studies of metropolitan railway are used to propose measures for analysis of transfer trips. Twenty directional transit phenomena are reproduced for Sindorim railway station. Aggregate directional transit(A), aggregate inter-line transit(B), and B/A are calculated on a percentage basis for 33 metropolitan railway transfer stations, and using this, the functional role of transfers is expl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