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odes and Reality of Web Documentaries

웹다큐멘터리의 재현양식과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

  • 전경란 (동의대학교 디지털문화콘텐츠학전공)
  • Received : 2016.10.31
  • Accepted : 2016.12.0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Documentaries are being recreated into a new genre and the Web Documentary is the typical case. Web Documentaries are the documentaries those comprise creators and users and they are the novel type of text that the interaction with users is absolute. In this research, two Web Documentaries and are analyzed for examining how Web utilizes its features as expressive media inducing users to experience reality. Web Documentaries have dual and spatial structure that allows user interaction and make users to face with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eality by its encyclopedic characteristics. Also, Web Documentaries give the role of progressing documentary and expanding text to users and that is, they stimulate users' consciousness reminding that they are the ones who explore through reality. In this process, users of Web Documentaries get potentiality of critically examining the reality suggested by documentaries and grasping the meanings beneath it. These features make Web Documentaries special contrast to traditional documentaries not only with their way of pursuing the reality but also with their meanings. This makes the innovative position of Web Documentaries phenomenon clear, issuing the necessity of the discussion about Web Documentaries more strongly. Web Documentaries are not just new media technological phenomenon, and they have their significance as a fundamental challenge toward traditional documentaries.

다큐멘터리는 영화에서 텔레비전, 그리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거치며 새로운 장르 형식으로 재탄생되고 있으며, 웹다큐멘터리는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웹다큐멘터리는 제작자와 이용자에 의해 구성되는 다큐멘터리로, 이용자의 상호작용이 절대적인 새로운 유형의 텍스트이다. 이 연구에서는 <석탄 끝으로의 여행(Journey to the End of Coal)>과 <프리즌 밸리(Prison Valley)> 등 두 편의 웹 다큐멘터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웹다큐멘터리가 웹이 표현매체로서 지닌 특징들을 어떻게 활용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현실을 체험하도록 유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웹다큐멘터리는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이중적, 공간적 구조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백과사전적 특징과 같은 특징을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현실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에 직접 대면토록 한다. 또한 웹다큐멘터리는 이용자에게 다큐멘터리를 진행시키고 텍스트를 확장하는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현실을 탐구해가는 주체로서의 의식을 자극하는 형식을 띠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웹다큐멘터리의 이용자는 다큐멘터리가 제안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이면의 의미를 포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들은 웹다큐멘터리를 현실을 추구하는 방식은 물론 그것이 지닌 의미에 있어서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와 차별화된 텍스트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웹다큐멘터리 현상의 혁신적인 지위는 분명해지며, 웹다큐멘터리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고 하겠다. 웹다큐멘터리는 단순히 새로운 미디어 기술 현상을 넘어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빌 니콜스, 이선화 역,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아카데미, 2005.
  2. 차민철, 다큐멘터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 강태호, 다큐멘터리에 있어서 주관성과 신빙성 독일언어문학 제39권 0호(2008) pp.265-285.
  4. 김영옥, <이제부터 제리타임 It's Jerry Time!>을 통해 본 디지털 문화 속 웹 애니메이션의 서사적 특징,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제34호(2014), pp.23-43.
  5. 박미선.이재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미학적 분석과 그 의미, 영화연구 제53호(2012), pp.63-87.
  6. 유현석, 다큐멘터리를 이해하는 방법, 진실과 리얼리티, 사회과학연구, 제15권1호(2009), pp.83-101.
  7. 이현석.Animated Documentary 장르의 특성에 대한 탐구, 한국영상학회논문집, 제9호 3권(2011), pp.53-68.
  8. 정혜경.김혜경,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의 시각적 스타일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제42호(2016), pp.25-52.
  9. 최영송, 들뢰즈의 다큐멘터리 이미지, 한국방송학보 제28권 1호(2014), pp.245-280.
  10. 허욱, 경계를 넘는 도전 - 다큐멘터리의 재현 양식 연구, 용인대학교 문화콘텐츠연구소 논문집, 제2011호(2011), pp.1-11.
  11. 형대조.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영화연구, 제62호(2014), pp.423-452.
  12. 형대조.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다큐멘터리가 되는가? 영화연구, 제58호(2013), pp.483-513.
  13. 형대조. 모크 다큐멘터리는 무엇을 모크(mock)하는가? 영화연구 제54호(2012), pp.469-492.
  14. Bryan Alexander.The New Digital Storytelling: Creating Narratives with New Media, Praeger: Santa Barbara, 2011.
  15. Espen Aarseth. Cybertext: Perspectives on Ergodic Literatu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1997.
  16. Janet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New York: The Free Press.1997.
  17. Jay Bolter. Writing Space: The Computer, Hypertext and The History of Writing, Erlbaum, 1991.
  18. Marie-Laure Ryan. Cyberspace Textuality: Computer Technology and Literary Theor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9.
  19. Michael Renov, (ed.), Theorizing Documentary, Routledge,1993.
  20. Nicholas Carr. The Shallows : What the Internet in Doing to our Brains, W.W.Norton & Company, 2010.
  21. Sandra Gaudenzi. The Living Documentary: From Representing Reality to Co-creating Reality in Digital Interactive Documentary, University of London. 2013.
  22. Elizabeth Jane Evans, "Character, Audience Agency and Trans-media Drama". Media, Culture and Society, Vol.30, No.1(2008). pp.197-213. https://doi.org/10.1177/0163443707086861
  23. Robert Moses Peaslee, "It's Fine as Long as You Draw, But Don't Film: Waltz with Bashir and the Postmodern Function of Animated Documentary", Visual Communication Quarterly, Vol.18 No.4(2011) pp.223-235 https://doi.org/10.1080/15551393.2011.627279
  24. 김주환. 디지털 시대의 미술, 월간 미술 제196호(2001.5), pp.84-87.
  25. http://prisonvalley.arte.tv/
  26. http://www.honkytonk.fr/index.php/web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