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ransformational stream in Space and Time of the Animation - Focusing on the Georges Schwizgebel's Works -

애니메이션 시공간의 변형적 흐름에 관한 연구 - 조르주 슈비츠게벨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홍균 (한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6.11.01
  • Accepted : 2016.12.0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Unlike the other media, the animation has its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First, one of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animation is creativity images of the hand drawn animation by shooting of frame by frame. Next the animation image which is created through metamorphosis obtain new space-time by unique motility. This paper treats of two parts of space and time in animation. One is the metamorphosis image of animation and the other is the motility. To concrete this, this paper analyzed Georges Schwizgebel's Works. They are very interesting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nimation. Especially, , < La course ${\grave{a}}$ $l^{\prime}ab{\hat{i}}me$ > directed by Georges Schwizgebel are a good text for analyzing space-time of animation in that it combines various metamorphosis and motility with his expressions. The images of his works are continuously maintained transformational stream by his main expressions of metamorphosis and motility etc.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way of metamorphosis and motility function to make meaning in this texts. His works consist with metamorphosis and motility, and various moving images to let audience feel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ime in animation. We can experience numerous dual structures like space and time, freeze-frame and motility, rhythm and repetition, two dimension and three dimension, dissolution and reconstitution, abstract shape and concrete form etc from these cases. One of the main apparat is the emphasis of metamorphosis and motility by independent space of animation.

애니메이션은 다른 매체와는 구별되는 독특한 미학적 특성들을 지니고 있다. 우선적으로 애니메이션은 분절 촬영으로 손에 의해 만들어진 창조적 이미지이다. 또한 '변형'을 통해 생성된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특유의 '운동성'으로 새로운 시공간을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의 시공간의 표현성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다룬다. 첫째는 변형 이미지와 둘째는 운동성에서 이루어지는 이미지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조르주 슈비츠게벨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슈비츠게벨의 작품들은 애니메이션의 이러한 구조적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특히, 슈비츠게벨의 , < La course ${\grave{a}}$ $l^{\prime}ab{\hat{i}}me$ >은 다양한 변형과 운동성이 그의 표현방법과 함께 잘 결합했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 시공간 분석의 좋은 사례가 되는 작품들이다. 이들 작품의 이미지들은 위의 주된 표현장치들을 통해 끊임없는 변형적 흐름을 지속한다. 본 연구는 이 작품들 속에서 변형과 운동성이 어떤 기능을 하면서 의미를 만드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들 작품들은 변형과 다양한 움직임으로 이루어져, 관객에게 다양한 영화적 형식을 지각하도록 만든다. 여기서 우리는 공간과 시간, 정지와 운동, 2차원과 3차원, 해체와 재구성, 추상과 구상 등 무수한 이중적 구조를 체험하게 되는데, 그 주된 장치는 변형과 애니메이션의 운동성을 강화한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아담스 시트니, 박동현 역, 시각영화, 평사리, 2005.
  2. 데이비드 하비, 구동회, 박영민 역,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2005.
  3. 피오나 브레들리, 김금미 역, 초현실주의, 현대미술운동총서, 2003.
  4. 할 포스터, 전영백 역, 욕망, 죽음, 그리고 아름다움, 아트북스, 2005.
  5. 로라 멀비, 이기형, 이찬욱 역, 1초에 24번의 죽음, 현실문화연구, 2007.
  6. 마이클 러쉬, 심철웅 역, 뉴미디어 아트, 시공사, 2003 .
  7. 매튜 게일, 오진경 역,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트, 2001.
  8. 스티븐 컨, 박성관 역,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4.
  9. 빅터 스토이치타, 이윤희 역, 그림자의 짥은 역사, 현실문화연구, 2006.
  10. 빌렘 플루셔, 윤종석 역,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1.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12.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2008.
  13. 서수정, "한국장편애니메이션의 공간정치학", 중앙대박사학위논문, 2013.
  14. 이종한, "새로운 예술형식으로써 디지털애니메이션의 환영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박사학위논문, 2005.
  15. 김홍균, 애니메이션 프레임의 구조적 장치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논문, 2009.
  16. 김홍균,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데페이즈망에 관한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논문, 2013.
  17. Donald Crafton, Before Mickey, The Animated Film 1898-1928,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and London, 1982.
  18. Robert Russett, Cecile Starr, Experimental Animation,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76.
  19. Roland Barthes, Camera Lucida, Hill and Wang,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