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Contests

과학경연대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 Received : 2016.01.31
  • Accepted : 2016.02.26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Science contest is one of the important programs of extracurricular school science activities which give various experience for science learning. In order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contest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awareness of science contests,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science contests in each school, their perceptions on the preparing process of statewide science contest, and the preference of the types of preliminary science contests. 196 teachers were responded to survey, and 8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teachers were aware of various science contests through their in-school experiences. The main difficulties of teacher on science contests was lack of professionalism on science and science contests. While teachers preferred the preliminary round of contest by contest's host to the preliminaries of science contest in each school. They also worried about the intimidation of science month's festival in school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ce contest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김주훈(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과학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2. 김석우, 최대진(2009).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3. 김윤희, 문성배(2000).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한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74-287.
  4. 김정선(2009). 과학행사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중학생의 인식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민기홍(2008). 과학의 달 행사 운영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손서연(2007). 학생과학탐구올림픽 대회 초․중등 참가자들의 평가를 통한 대회의 개선 방향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용섭(2000). 과학경진대회 참가 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송기철(2000). 과학관련 경진대회의 실태 분석 및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심재규(2001). 과학경연의 참가 동기와 내적 참가도 구성 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안광호(2009). 과학대회 참가가 초등학생들의 인식, 과학 관련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유모경, 조희형(2003).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서의 탐구영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94-504.
  12. 윤혜경(2004). 국내외 과학탐구경연. 과학교육연구, (27), 55-79.
  13. 이상조(1996). 초등학교 과학경진대회의 실태와 개선방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정아,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2007).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다섯 목소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09-622.
  15. 채동현, 이수영(2003).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1(2), 263-288.
  16. 황신영(2000). 학생과학탐구실험대회 대회의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의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Friedman, A. J. (1995). Creating an academic home for informal science education. Curator, 38(4), 214-220. https://doi.org/10.1111/j.2151-6952.1995.tb01059.x
  18. Galen, D. (1993). Science fair; A successful venture.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55(8), 464-467. https://doi.org/10.2307/4449716
  19. Mann, J. Z. (1984). Science day guide. Columbus, Ohio: Ohio Academy of Science.
  20. Olsen, L. S. (1985). The North Dakota science and engineering fair in its history and a survey of particip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Fargo, ND.
  21. Texley, J. & Wild, A. (1997). NSTA Pathway to the science standards guidelines for moving the vision into practice (High School Edition).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Alexandria, 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