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호텔은 단순한 건축물이라는 의미를 벗어나 한 시대의 문화적 예술적 정보를 담은 건축물이며, 또한 호텔이 위치한 지역적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에 따라 그 지역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국제적인 관광도시인 제주는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다기능적이고 체계적인 호텔건축계획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서귀포시의 특급관광호텔의 현황을 파악하고,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공용공간의 구성형식 및 공간구성 유형 등 평면구성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호텔 건축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귀포시에 위치한 특급관광호텔 9개소이며, 이용객이 집중되는 공용공간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호텔건축에 대해 고찰하고 조사대상 호텔에 대한 현장방문을 시행하여 일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건축계획적 요소들과 공간구성 유형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용객이 집중되는 공용공간을 연구범위로 한정하여,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각 공간의 수직적 수평적 결합방식, 각 공간으로 진입하는 동선형태 등과 관련된 공간구성형식과 공간구성유형을 분석하였다.
Because hotels contain the cultural and artistic information of an era and plays a role as an iconic building to experience the unique regional culture, they are more than just a building. In recent years, as Jeju is emerging as a popular tourist city, a multi-functional and systematic plan for hotels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esign data for hotel construc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ublic space of the luxury tourist hotels on Seogwipo-si. The public space of hotels, divided into service, food and beverage, banquet, leisure and convenience space, are categorized in terms of the cross combination type, entrance space form, plan type, unit space form to understand their relativity in the public space of hotels. This study reviewed the hotel construction based on the reference and literature, and, visited the sites to determine the current general status of hotels and then analyzed the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and spatial composition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