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weed control by surveying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turf sod production areas. Surveys of weed species occurred in turf sod production areas were conducted in Jangsung-gun, Jeonnam province from September 2014 to May 2016. Total 50 sites of turf sod production areas in two soi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On the upland soil condition in turf sod production areas, 66 weed species in 27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49 annuals and 17 perennials and on the paddy soil condition, 69 weed species in 22 familie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to 53 annuals and 16 perennials. Based on the importance values,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on the upland soil condition in the first survey (September 2014) was Digitaria ciliaris (8.49%), followed by Erigeron annuus (7.94%) and Rorippa indica (6.56%). In the second survey (May 2016) was Oxalis corniculata (7.26%), followed by Capsella bursa-pastoris (6.21%) and Conyza canadensis (6.21%). Whereas the most dominant weed species on the paddy soil condition in the first survey (September 2014) was Erigeron annuus (9.52%), followed by Mazus pumilus (7.41%) and Cyperus iria (6.82%). In the second survey (May 2016) was Commelina communis (5.08%), followed by Alopecurus aequalis (5.08%) and Erigeron annuus (4.79%).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for estimation of future weed occurrence and effective weed control methods in turf sod production areas in Jangsung-gun, Jeonnam Province.
본 연구는 전라남도 장성지역의 한국잔디 재배지의 발생 잡초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4년 9월(1차 조사)과 2016년 5월(2차 조사)에 전남 장성군 삼서면 일대에서 한국잔디 재배포장을 밭 토양과 논 토양으로 구분하여 발생잡초 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잡초분포 조사결과 밭 토양에서는 27과 66종(일년생 49종, 다년생 17종)으로 일년생잡초 74.2%, 다년생잡초 25.8%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19.7%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3.6%, 콩과(Leguminosae) 10.6% 순이었다. 논 토양에서는 22과 69종(일년생 53종, 다년생 16종)으로 일년생잡초 76.8%, 다년생잡초 23.2% 비율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18.8%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그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4.5%, 사초과(Cyperaceae) 7.2% 순이었다. 밭 토양의 1차 조사에서는 벼과의 바랭이(8.49), 2차 조사에서는 괭이밥과의 괭이밥(7.26)이 가장 우점하였고, 논 토양의 1차 조사에서 국화과의 개망초(9.52), 2차 조사에서는 닭의장풀과의 닭의장풀(5.08)과 벼과의 뚝새풀(5.08)이 가장 우점하는 잡초종으로 확인되었다. 잡초발생 현황을 조사시기와 토양조건을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논 잡초와 밭 잡초가 혼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시기 또는 토양조건에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초종의 비율이 49.2%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잔디 재배지에서 제초제를 이용한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위해서는 재배토양에 상관없이 논 잡초와 밭 잡초를 모두 잘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