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통신망 추진 경과와 향후 주요 과제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본고에서는 과거 통합지휘무선통신망 사업부터 현재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시범사업 추진까지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추진 경과를 살펴보고, 기지국 수, 상용망 활용 수준, 단말 보급 시기와 유형별 물량 등 시범사업 주요 논쟁 이슈 및 향후 쟁점과 과제를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사혁 외, "재난안전 무선통신망 정책방향 수립을 위한 연구", 행정안전부.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2. 김사혁,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구축 현황 및 향후 과제", 국회도서관, 2014. 5.
  3. 한국개발연구원, "201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재난안전무선통신망 구축사업", 2014. 5.
  4.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술방식 선정결과 (안)", 국무조정회의, 2014. 7. 31.
  5. 김사혁 외,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총사업비 검증", 기획재정부. 2015. 5.
  6. ZTE. "APT 700MHz Best choice for nationwide coverage," 2013.
  7. ECC. "Report 199, User requirements and spectrum needs for future European broadband PPDR systems (Wide Area Networks),"2013.
  8. 국민안전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사업 완료 보고회 자료", 2015. 4.
  9. 김사혁,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주요 논쟁 이슈에 대한 소고",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7권 17호 통권 608호, pp.1-24, 2015. 9. 16.
  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정보통신정책연구원.한국정보화진흥원.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기술방식 정책연구", 미래창조과학부, 2014.
  11.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정보제안서(RFI)", 2014. 6.
  12. 김사혁 외, "통합지휘무선통신망 사업효과 분석 등을 위한 연구", 소방방재청.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