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using Spectrophotometric Methods

분광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 비교 분석

  • Received : 2015.08.24
  • Accepted : 2015.11.13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is study is to set the objective criteria on maxillary incisors shade selection by using the colorimetric Shade-Eye NCC as measuring in CIE $L^*$, $a^*$, $b^*$ values, and look into the meaning by analyzing its values. We expl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gotten their agreement from patients visiting the dentist, 111 people's (men 50, women 61) three teeth,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maxillary lateral incisor, maxillary canines, total of 333 teeth colorimetr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colors between cervical margin and incisal edge, ${\Delta}E^*$ of canine is shown as low as $5.81({\pm}2.98)$, followed by lateral incisor of maxilla as $6.51({\pm}3.23)$ and central incisor of maxilla $7.51({\pm}3.04)$. Females show higher luminosity(L*) than males do in all teeth-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yello chroma(b*) males' central incisor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p<0.05). Ag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luminosity and red (a*) and yellow chroma (b*) of central incisor(L*); the luminosity(L*), and yellow chroma(b*) of lateral incisor and canine (p<0.05). Smoking does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lor of natural teeth. Drinking reduces the luminosity of central incisor as well as red chroma of lateral incisor(p<0.05). A chronic illness is likely to reduce the luminosity of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p<0.05).

본 연구는 상악 전치부 색조 선택에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자 색체계 Shade-Eye NCC를 이용하여 CIE $L^*$, $a^*$, $b^*$값으로 측정하여 이 값들을 비교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에게 연구 의도를 설명해 주고 동의를 얻어 111명(남자 50명, 여자 61명)의 3개 치아, 즉 상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총 333개의 치아를 측색하였다. 절단부와 치경부의 색차를 비교한 결과 상악견치의 ${\Delta}E^*$값이 $5.81({\pm}2.98)$으로 가장 낮았으며, 상악 측절치 $6.51({\pm}3.23)$, 상악 중절치의 $7.51({\pm}3.04)$ 순으로 점차 그 색차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절치와 측절치, 견치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명도($L^*$)가 높았으며, 황색채도($b^*$)는 중절치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5). 연령은 중절치의 명도($L^*$),적색채도($a^*$), 황색채도($b^*$), 측절치와 견치의 명도($L^*$), 황색채도($b^*$)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흡연은 자연치의 색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음주는 중절치의 명도($L^*$)를 감소시키며, 측절치의 적색채도($a^*$)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만성질환은 중절치와 측절치의 명도($L^*$)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석, 신수연, 이종혁,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대한치과보철학회지, 제46권, 제5호, pp.443-454, 2008.
  2. 백대일, 김현덕, 진보형, 박용덕, 신승철, 조자원, 마득상, 송근배, 최연희, 김신범, 이흥수, 홍석진, 최충호, 김동기, 임상예방치학, 서울:고문사, 2011.
  3. 김성연, 자연치열의 상악전치부의 색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눈문, 2002.
  4. S. Ishikawa-Nagai, F. Sawafuji, H. Tsuchitoi, R. R. Sato, and K. Ishibashi, "Using a computer color-matching system in color reproduction of porcelain restorations. part 2: color reproduction of stratiform-layered porcelain samples," Int J Prosthodont, Vol.6, No.6, pp.522-527, 1993(11-12).
  5. Paul S. Peter A, Pietrobon N, Hammerle CH,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shade analysis of human teeth," J Dent Res, Vol.81, No.8, pp.578-82, 2002(8). https://doi.org/10.1177/154405910208100815
  6. J. S. Yorty, M. W. Richard, A. Kanawati, S. Davis, R. C. House, and S. R. Okubo, "A simple screening test for color matching in dentistry," Gen Dent, Vol.48, No.3, pp.272-276, 2000(5-6).
  7. T. P. Van der Burqt, J. J. Ten Bosch, P. C. Borsboom, and W. J. Kortsmit, "A comparison of new and conventional methods for quantification of tooth color," J prosthet Dent, Vol.63, No.2, pp.155-162, 1990(2). https://doi.org/10.1016/0022-3913(90)90099-X
  8. F. F. Tung, G. R. Goldstein, S. Jang, E. Hittelman, "The repeatability of an intra-oral dental colorimeter," J Prosthet Dent, Vol.88, No.6, pp.585-590, 2002(12). https://doi.org/10.1067/mpr.2002.129803
  9. S. J. Chu, A. Devigus, and A. J. Mieleszko, Fundamen tals of color, Queintessence Publishing Co, Inc, pp.78-100, 2004.
  10. 심미치과학 연구회, 심미치과학, 대학서림, pp.142-143, 2007.
  11. 김형태, 이상호, "한국인 아동의 유치 치아색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17, No.1, pp.236-246, 1990.
  12. 현홍근, 색채계(colorimeter)를 이용한 상악 유전치의 색조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김태진, 권긍록, 김형섭. 우이형,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 색조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제46권, 제4호, pp.353-350, 2008.
  14. 임현주, 상악 전치부 색조와 구강보건 관련 특성,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5. M. Yamamoto, ShadeEye NCC/ Insyructions for use, Kyoto; SHOFU INC, 2002.
  16. A Joinet, "Tooth col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Dec, Vol.32, pp.3-12, 2004.
  17. 이지영, 윤영숙, "20대 대학생들의 상악 중절치색조와 구강 보건 및 식습관 관련 특성,"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61-273,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2.261
  18. 신창용, "구강보건인식도와 구강관리실태가 미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3권, 제8호, pp.258-265, 2013
  19. E. B. Clark, "The color problem in dentistry Part I," Dent Digest, Vol.37, pp.499-509, 1931.
  20. R. C. Sproull, "Color light and shade matching," J Prosth Dent, Vol.27, pp.263-268, 1972. https://doi.org/10.1016/0022-3913(72)90033-9
  21. R. J. Goodlind, K. M. Keenam, and W. B. Schwabacher, "A comparison of chromascan and spectrophotometric color measurements of 100 natural teeth," J Prosthet Dent, Vol.53, No.1, pp.105-109, 1985(1). https://doi.org/10.1016/0022-3913(85)90077-0
  22. C. L. Yeh, The color and optical properties of shade composites, Thesis Univ of Michigan, 1945.
  23. A. H. Munsell, Color Notation, 2nd Munsell color company, Inc. pp.15-20, 1961.
  24. E. P. Campos, "Tincoines Y. Coloracines De las Pieezas Dentarias," An Espan Odonto Stomat Mac-Pherson, Vol.29, pp.2093-2103, 1931.
  25. 박해균, 정재헌, "한국인 자연치의 색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 보철학회지, Vol.25, No.1, 1988.
  26. 정효경, 박남규, 김덕희, "대학생들의 식습관과 구강상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10, 2007.
  27. 강동완, 고정성 치과보철학, 지성출판사(서울), pp.365-38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