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is to set the objective criteria on maxillary incisors shade selection by using the colorimetric Shade-Eye NCC as measuring in CIE $L^*$, $a^*$, $b^*$ values, and look into the meaning by analyzing its values. We expl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gotten their agreement from patients visiting the dentist, 111 people's (men 50, women 61) three teeth,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maxillary lateral incisor, maxillary canines, total of 333 teeth colorimetr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colors between cervical margin and incisal edge, ${\Delta}E^*$ of canine is shown as low as $5.81({\pm}2.98)$, followed by lateral incisor of maxilla as $6.51({\pm}3.23)$ and central incisor of maxilla $7.51({\pm}3.04)$. Females show higher luminosity(L*) than males do in all teeth-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yello chroma(b*) males' central incisor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emales (p<0.05). Ag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luminosity and red (a*) and yellow chroma (b*) of central incisor(L*); the luminosity(L*), and yellow chroma(b*) of lateral incisor and canine (p<0.05). Smoking does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lor of natural teeth. Drinking reduces the luminosity of central incisor as well as red chroma of lateral incisor(p<0.05). A chronic illness is likely to reduce the luminosity of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p<0.05).
본 연구는 상악 전치부 색조 선택에 객관적인 기준을 설정하고자 색체계 Shade-Eye NCC를 이용하여 CIE $L^*$, $a^*$, $b^*$값으로 측정하여 이 값들을 비교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에게 연구 의도를 설명해 주고 동의를 얻어 111명(남자 50명, 여자 61명)의 3개 치아, 즉 상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상악 견치 총 333개의 치아를 측색하였다. 절단부와 치경부의 색차를 비교한 결과 상악견치의 ${\Delta}E^*$값이 $5.81({\pm}2.98)$으로 가장 낮았으며, 상악 측절치 $6.51({\pm}3.23)$, 상악 중절치의 $7.51({\pm}3.04)$ 순으로 점차 그 색차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절치와 측절치, 견치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명도($L^*$)가 높았으며, 황색채도($b^*$)는 중절치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5). 연령은 중절치의 명도($L^*$),적색채도($a^*$), 황색채도($b^*$), 측절치와 견치의 명도($L^*$), 황색채도($b^*$)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흡연은 자연치의 색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음주는 중절치의 명도($L^*$)를 감소시키며, 측절치의 적색채도($a^*$)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만성질환은 중절치와 측절치의 명도($L^*$)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