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2011.
- 강성옥, 하규수,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디지털정책 및 관리학회, 제11권, 제12호, pp.121-144,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121
- 강서영, 박인혜,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02-313,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 임소진, 어성연,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29-147, 2011.
- 권영미, 윤은자, "도시노인의 자가평가 건강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289-1305, 2009.
- 신경림, 김정선,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5호, pp.869-880, 2004.
- 장숙희, "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8권, 제1호, pp.36-46, 2006.
- K. Okamoto, Y. Momose, A. Fujino, and Y. Osawa,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SRH) and 6-year Mortality Risk among the Elderly in Japa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47, pp.311-317, 2008. https://doi.org/10.1016/j.archger.2007.08.013
- H. Y. Shin, M. H. Shin, and J. A. Rhee,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Hypertension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BMC Public Health, Vol.12, 2012.
- 염지혜, 박준식, 김동현,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pp.1101-1118, 2012.
- 이미영, 최미혜, 정연강, 허은희,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40-153, 1999.
- 김효정, 박영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283-300, 1997.
- 서기순, "노인건강행위와 관련요인간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1201-1212, 2008.
- 김숙영, 최경원, 오희영, "도시 취약계층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수준과의 관계," 재할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3-61, 2010.
- 김태면,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보건교육.보건증진학회지, 제23권, 제3호, pp.99-119, 2006.
- 김의철, 홍천수, 이정권, 박영신,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제11권, 제2호, pp.143-181, 2005.
- M. Bergner,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Vol.23, No.5, pp.696-704, 1985. https://doi.org/10.1097/00005650-198505000-00028
-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 E. J. Yeun and K. K. Shin-Park,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9, pp.1173-1180,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69
- P. A. Brandt and C. Weinert, "The PRQ-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Vol.30, No.5, pp.277-280, 1981.
-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467-486, 1993.
- 오현수,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17-630, 1993.
- 윤은자, 권영미, 이영분, "재가노인의 건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9권, 제2호, pp.611-627, 2007.
- 김주현, 한경혜,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유형," 한국인구학, 제35권, 제3호, pp.57-85, 2012.
- M. W. Kraus, N. Adler, and T. D. Chen, "Is the Association of Subjective SES and Self-rated Health Confounded by Negative Mood? an Experimental Approach," Health Psychology, Vol.32, No.2, pp.138-145, 2013. https://doi.org/10.1037/a0027343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책보고서, 2014.
- 서연숙, "중년기 남녀의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사회복지리뷰, 제15권, pp.35-51, 2010.
- J. H.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73, No.2, pp.153-173, 2011. https://doi.org/10.2190/AG.73.2.c
- S. Arve, S. Lauri, and A. Lehtonen, "Clinical Pathway of Elderly Persons with Lowered Mood in the Health Care Servic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14, No.3, pp.191-198, 2000. https://doi.org/10.1111/j.1471-6712.2000.tb00583.x
- E. J. Giltay, A. M. Vollaard, and D. Kromhout, "Self-rated Health and Physician-rated Health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in Elderly Men," Age and Ageing, Vol.41, No.2, pp.165-171, 2011. https://doi.org/10.1093/ageing/afr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