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년과 노년의 자가 평가 건강수준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for Self-rated Health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 윤은자 (건국대학교 간호학과) ;
  • 권영미 (경인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 이영미 (부산가톨릭대학교 노인복지보건학과)
  • 투고 : 2015.08.11
  • 심사 : 2015.10.02
  • 발행 : 2016.02.28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과 노년을 대상으로 자가 평가 건강수준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40-64세의 중년 142명과 65세 이상의 노년 2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년에서는 건강증진 생활양식, 기분상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자가 평가 건강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보유질환 여부,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개념인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책임, 기분상태의 하위개념인 피로, 화, 긴장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 평가 건강수준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3.6%였다. 노년에서는 건강증진 생활양식,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자가 평가 건강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개념인 신체활동, 보유질환 여부, 기분상태의 하위개념인 혼동, 운동여부가 자가 평가 건강수준을 40.4% 설명하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과 노년의 차별화된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 상담, 건강검진,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의 방법을 통한 신체 정서 사회적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eal the factors determine self-rated health status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living in commun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42 middle aged and 201 elders who lived in 3 cities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from March to July, 2014.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 Statistics program. The determinants on self-rated health status were present illness, stress management, health responsibility, fatigue, anger, tension, and social support among the middle-aged persons and physical activity, present illness, confusion, and exercise among elderly person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we should develop differenti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rough education, counselling and health examination for the middle-aged adults and elderly.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2011.
  2. 강성옥, 하규수, "중년층의 성공적 노화인식과 노후준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디지털정책 및 관리학회, 제11권, 제12호, pp.121-144, 2013.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2.121
  3. 강서영, 박인혜, "일 장수 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02-313,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02
  4. 임소진, 어성연,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5권, 제4호, pp.129-147, 2011.
  5. 권영미, 윤은자, "도시노인의 자가평가 건강수준 및 관련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289-1305, 2009.
  6. 신경림, 김정선,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4권, 제5호, pp.869-880, 2004.
  7. 장숙희, "노인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제8권, 제1호, pp.36-46, 2006.
  8. K. Okamoto, Y. Momose, A. Fujino, and Y. Osawa,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Health(SRH) and 6-year Mortality Risk among the Elderly in Japa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47, pp.311-317, 2008. https://doi.org/10.1016/j.archger.2007.08.013
  9. H. Y. Shin, M. H. Shin, and J. A. Rhee,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ated Health and Hypertension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BMC Public Health, Vol.12, 2012.
  10. 염지혜, 박준식, 김동현,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pp.1101-1118, 2012.
  11. 이미영, 최미혜, 정연강, 허은희, "중년기 성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계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40-153, 1999.
  12. 김효정, 박영숙,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4권, 제2호, pp.283-300, 1997.
  13. 서기순, "노인건강행위와 관련요인간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1201-1212, 2008.
  14. 김숙영, 최경원, 오희영, "도시 취약계층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건강수준과의 관계," 재할간호학회지, 제13권, 제1호, pp.53-61, 2010.
  15. 김태면,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행태 및 건강수준과의 관련성," 보건교육.보건증진학회지, 제23권, 제3호, pp.99-119, 2006.
  16. 김의철, 홍천수, 이정권, 박영신,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원 및 질병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제11권, 제2호, pp.143-181, 2005.
  17. M. Bergner,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Vol.23, No.5, pp.696-704, 1985. https://doi.org/10.1097/00005650-198505000-00028
  18. S. N. Walker, K. R. Sechrist, and N. J. Pender, "The Health-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 Nursing Research, Vol.36, No.2, pp.76-81, 1987.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19. E. J. Yeun and K. K. Shin-Park,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Cross-cultural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62, No.9, pp.1173-1180, 2006. https://doi.org/10.1002/jclp.20269
  20. P. A. Brandt and C. Weinert, "The PRQ-A Social Support Measure," Nursing Research, Vol.30, No.5, pp.277-280, 1981.
  21. 서미혜, 오가실,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3호, pp.467-486, 1993.
  22. 오현수, "여성 관절염 환자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대한간호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17-630, 1993.
  23. 윤은자, 권영미, 이영분, "재가노인의 건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9권, 제2호, pp.611-627, 2007.
  24. 김주현, 한경혜, "베이비붐 세대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유형," 한국인구학, 제35권, 제3호, pp.57-85, 2012.
  25. M. W. Kraus, N. Adler, and T. D. Chen, "Is the Association of Subjective SES and Self-rated Health Confounded by Negative Mood? an Experimental Approach," Health Psychology, Vol.32, No.2, pp.138-145, 2013. https://doi.org/10.1037/a0027343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정책보고서, 2014.
  27. 서연숙, "중년기 남녀의 건강행위와 건강수준 연구," 사회복지리뷰, 제15권, pp.35-51, 2010.
  28. J. H. Kim, "The Mediating Effects of Lifestyl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Vol.73, No.2, pp.153-173, 2011. https://doi.org/10.2190/AG.73.2.c
  29. S. Arve, S. Lauri, and A. Lehtonen, "Clinical Pathway of Elderly Persons with Lowered Mood in the Health Care Service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14, No.3, pp.191-198, 2000. https://doi.org/10.1111/j.1471-6712.2000.tb00583.x
  30. E. J. Giltay, A. M. Vollaard, and D. Kromhout, "Self-rated Health and Physician-rated Health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in Elderly Men," Age and Ageing, Vol.41, No.2, pp.165-171, 2011. https://doi.org/10.1093/ageing/afr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