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uilding Process of Domestic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and Suggestions for Vitalization

국내 거주용 컨테이너 건축물의 구축현황과 활성화 방안

  • 길빛나 (충북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
  • 김미경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6.10.30
  • Accepted : 2016.12.09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vitalize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by identifying the building process of domestic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and analyzing various problems appeared in the process and status of construction related 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Conclus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the usage was planned mainly for accommodation. Secondly, For planning background of planning preparation stage, economic benefit for long-term residence individuality and diversity for long short term complex residence were the primary planning backgrounds. Thirdly, for floor planning of planning design stage, space planning for various purposes is necessary as creating inter-space, wide LDK space, and loft by using narrow and long container for the long-term residence. Lastly, For construction stage, ways to reduce personnel expenses are being required by reducing the term of works and simplifying the processing stage by running factory production and field construction in parallel. If red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cost through energy saving and mass production system is considered in the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development to dormitory and community hous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essured by housing cost.

Keywords

References

  1. Kramer, S., The box: Architectural Solutions with Containers, Salenstein: Braun Publishing AG., 2014
  2. Slawik, H., Bergmann, J., Buchmeier, M., & Tinney, S., (2nd ed.). Container Atlas; A Practical Guide to Container Architecture, Berlin: Gestalten, 2010
  3. 김구연, 이동식 소형주택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4
  4. 김기형, 재난.재해 구호주택의 건축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오픈 시스템 모듈러 주택을 중심으로, 인하대 박사논문, 2005
  5. 김진엽, 컨테이너를 활용한 모듈러 건축의 유형분석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2015
  6. 김휘연, 컨테이너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공간 디자인 연구, 한세대 석사논문, 2007
  7. 윤자영, 재해.재난민을 위한 임시주거로서의 모듈러 건축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6
  8. 이걸주, 노숙인 자립을 위한 주거 및 케어센터 디자인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3
  9. 조세영, 외국인 관광 도시민박(게스트하우스)의 발달과 입지특성: 마포구 사례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2014
  10. 강승모, 선적용 컨테이너를 활용한 해외 건축물의 환경, 친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자원절약 영역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16권 제1호, 2015.2
  11. 김미경, 현대 컨테이너 건축에 나타난 공간구축특성 및 적용가능성, 생활과학논문집 제15권 제2호, 2011.12
  12. 김미경.문영아.한수지, 유럽 컨테이너 건축물의 사례분석을 통한 국내 적용방안,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6권 제1호, 2015.2
  13. 김사라.남경숙, 이동건축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0권 제4호, 2012.12
  14. 김휘웅.최준성.오덕성, 컨테이너의 건축 적용가능성을 통한 대학생 기숙사 계획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1호, 2012
  15. 문영아.김미경, 임시주거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컨테이너 활용 학생기숙사 사례연구 : 암스테르담의 학생기숙사 '키트보넨 (Keetwonen)'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제29권 제7호, 2013.7
  16. 박수훈.김병진, 주거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POD방식 도시형 생활주택 제안, 대학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
  17. 박정연, 컨테이너를 활용한 공동주거공간 설계 및 디자인 기획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14권 제2호, 2014
  18. 박준석, 컨테이너를 이용한 소규모주거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0
  19. 양희정, 컨테이너 건축에서 나타난 공간구축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20. 유해연.박연정.윤중연, 국내 컨테이너 하우징의 실태조사를 통한 개선방향연구: 수도권 지역의 12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23권 제6호, 2012.12
  21. 유해연.박연정.조종주, 해외 컨테이너 하우징의 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30권 제1호, 2014.1
  22. 이종찬.강윤도.김병선, 해상컨테이너를 이용한 대학생기숙사 거주 활용 계획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제14권 제6호, 2014.12
  23. 이현지, 네덜란드의 수상 컨테이너 아파트, '실로담(SILODAM)', 국토연구, 통권 361호, 2011.11
  24. 김재성, 신나는 공부, '일하며 배우는 청소년 일터학교', 전문직 업교육->취업 길 열린다, 동아일보, 2015.10.27 http://news.donga.com/3/all/20151026/74406808/1
  25. 나세웅, 컨테이너의 화려한 변신...활용도 넓어져 최근 인기, MBC, 2014.8.18 http://imnews.imbc.com/replay/2014/nwtoday/article/3512146_18458.html
  26. 박혜림.박준규, 우후죽순 불법 상업 블로그...공유경제? 공유 범죄? 헤럴드경제, 2015.7.7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707000613&md=20150710005908_BL
  27. 정은지, 해운사, "비용 더주면 화물도 VIP...'급' 달라진다", 2010.6.9, http://www.ebn.co.kr/news/view/441205
  28. http://www.law.or.kr
  29. http://www.mobilehousing.co.kr
  30. http;//www.naver.com
  31. http://www.phiko.kr
  32. http://www.ygp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