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에 있어 사업효과 분석지표의 개선에 대한 연구이다. 하수관거정비 임대형민자사업의 평가지표 중 침입수에 대한 평가지표는 단일평가항목으로 17.5점의 높은 점수가 부여되고 있다. 침입수에 대한 평가지표는 침입수의 발생량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되고 있으며, 현재 '야간 생활하수 평가법'에 따라 계산되고 있다. 그러나, 본 평가지표가 제주지역의 지질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운영단계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평가지표에 따른 계산 결과와 실제 침입수의 발생량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제주도내 5개 지역에 대하여 '야간 생활하수 평가법'에 따른 침입수 발생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적으로 침입수가 발생하는 조건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하수위가 하수관거보다 밑에 분포되고 있으며, 하수관거의 기능에 대한 검증 결과 하수관거의 결함 등에 의한 침입수 발생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재 평가지표로 활용되고 있는 '야간 생활하수 평가법'은 제주지역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으며, 제주지역만의 침입수 관련 기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roject performance analysis indicators for BTL sewer rehabilitation projects. Among the assessment indicators for BTL sewer rehabilitation projects, an infiltration assessment indicator is given a high score of 17.5 points as a single assessment item. This infiltration assessment indicator is assessed focusing on the amount of infiltration, and presently calculated according to 'Nighttime Domestic Flow Evaluation' method. However, this assessment indicator's failure to reflect the geological features of Jeju region is emerging as a problem in the operational stage. Thus,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alculation result depending on the assessment indicators and the actual amount of infiltration, centering on Jeju region.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amount of infiltration in five areas of Jeju Province calculated according to 'Nighttime Domestic Flow Evaluation' method. Also,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was carried out about the conditions for actual infiltration occurr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ground water level is distributed lower than the level of sewer pipes. The results of a sewer pipe function test show there was no infiltration occurrence caused by sewer pipe defect. So, it is concluded that 'Nighttime Domestic Flow Evaluation' method, which is utilized for the current assessment indicator, is not appropriate to apply to Jeju region, and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infiltration criteria specialized for Jeju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