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진숙 (2008). 한국 비판언론학의 질적 연구방법 적용사례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43호, 81-113.
- 강진숙.강연곤.김민철 (2012). 인터넷 팬덤문화의 생산과 공유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6권 1호, 7-42.
- 강진숙.이광우 (2012). 문화예술 프로그램 생산자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EBS <문화공감> 제작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339-364.
- 강형철 (2007).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내용 다양성에 관한 연구-한국 주요 탐사보도 프로그램 내용 분석. <한국방송학보>, 21권 1호, 7-46.
- 고우람.이오현 (2011). 영화 <디 워>를 둘러싼 수용자 담론의 사회문화적 함의에 관한 연구: MBC <100분 토론> 인터넷 게시판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19권 3호, 2-44.
- 고재정 (2012). 독립 언론의 실험실, 메디아파르 Mediapart 사례연구. <인문학연구>, 17호, 5-20.
- 김건우.김균 (2013). 사주의 퍼포먼스와 신문 조직의 문화적 통제: 조선일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62호, 223-243.
- 김경희.윤영민 (2008). 시민기자로서의 블로거의 활동 동기와 뉴스 생산 과정: 방송사 블로그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미디어경제와 문화>, 6권 4호, 40-84.
- 김동원 (2010). <한국 방송산업의 유연화와 비정규직의 형성>.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미숙.이기형 (2013). 심층인터뷰와 질적인 분석으로 조명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들의 정체성과 노동의 단면들: 보람과 희열 그리고 불안감이 엮어내는 동학. <언론과사회>, 21권 3호, 5-63.
- 김서중 (2013). 요원해지는 방송공공성 회복. <황해문화>, 79호, 320-326.
- 김사승 (2012A). 취재영역과 편집영역의 긴장관계에 관한 일고찰.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55-79.
- 김사승 (2012B). 취재현장과 뉴스룸 내부의 조직적 특성에 관한 일고찰. <한국방송학보>, 26권 4호, 7-46.
- 김상균.한희정 (2014). 천안함 침몰 사건과 미디어 통제: 탐사보도 프로그램 생산자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66호, 242-272.
- 김세은 (2012). 해직 언론인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연구. <한국언론학보>, 56권 3호, 292-319.
- 김수정 (2010). 수용자연구의 해독모델과 존 피스크에 대한 재평가. <언론과사회>, 18권 1호, 2-46.
- 김연식 (2011). 방송저널리스트의 PD 저널리즘 인식 연구. <언론과학연구>, 11권 2호, 69-96.
- 김연식 (2014). 방송 저널리스트의 방송 통제요인 인식 변화 연구: 2008년과 2013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8권 1호, 283-421.
- 김연식.박홍원 (2011). 방송 저널리즘 통제요인에 관한 연구-직능 및 방송사별 차이를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15권 1호, 5-30.
- 김영찬 (2007). '미드'(미국 드라마)의 대중적 확산과 방송사 편성 담당자의 '문화 생산자' 그리고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19권 2호, 35-61.
- 김예란 (2009). '참여'의 디지털 문화산업적 형성에 대한 연구: UCC 생산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3권 5호, 406-428.
- 김호영.윤태진 (2012). 한국 대중문화의 아이돌(idol) 시스템 작동방식: 아이돌문화 생산.소비의 이중적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권 4호, 45-82.
- 나미수(2005).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커뮤니케이션이론>, 1권 2호, 68-105.
- 나미수.전오열 (2006). TV시사다큐멘터리의 서사 비교연구: '트랜스젠더' 주제 <추적60분> <그것이 알고 싶다>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6권 4호, 89-132.
- 류웅재.박진우 (2012). 서바이벌 포맷 프로그램에 침투한 신자유주의 경쟁 담론: 프로그램의 채택과 제작과정에 대한 생산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4권 1호, 139-165.
-
민병현 (2009). TV시사프로그램의 의미구조분석 연구: '버지니아 사건' 주제 <추적60분>
<그것이 알고 싶다>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9권 1호, 78-120. - 박인규 (2010). 구조적 통제 하의 저널리즘: KBS 시사 프로그램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4권 6호, 209-245.
- 박인규 (2015). 공론장의 회복 가능성: 한국방송공사(KBS)를 중심으로. <현상과 인식>, 39권 3호, 171-195.
- 박재영.전형준, 이규현, 이진영 (2008). 황우석 사건의 교훈: 기자들은 무엇을 배웠으며 과학보도는 어떻게 변했다고 인식하는가?. <한국언론학보>, 52권 2호, 226-253.
- 박지훈 (2013). 제3세계에 대한 한국 다큐멘터리의 시선: 제작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7권 4호. 45-84.
-
박지훈.류경화 (2010). 국제시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MBC
의 서구와 제 3세계 재현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18권 2호, 2-39. - 박지훈.이진 (2012). 제3세계를 재현하는 다큐멘터리에 대한 제작자와 수용자의 시선: MBC <아프리카의 눈물>을 중심으로.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3권 4호, 83-122.
- 박진우 (2011). 유연성, 창의성, 불안정성. <언론과사회>, 19권 4호, 41-86.
- 박진우.송현주 (2012). 저널리스트 전문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57호, 49-68.
- 송인덕 (2015, 9월). 사회고발 프로그램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지상파TV의 PD 저널리즘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특별 세미나.
- 심홍진.김세은 (2009). PD는 무엇으로 사는가?. <한국방송학보>, 23권 6호, 168-208.
- 안진 (2015). 나는 왜 백인 출연자를 선택하는가?: 어느 TV 제작자의 자기민속지학적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30권 3호, 83-121.
- SBS<그것이 알고 싶다>제작진 (2004). <그것이 알고 싶다: 한국사회를 보는 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SBS<그것이 알고 싶다>제작진 (2015). <그것이 알고 싶다: 세상을 보는 진실의 눈>. 서울: 엘릭시르.
- 연정모.김영찬 (2008). 텔레비전 연예정보 프로그램의 생산자 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KBS 2TV <연예가 중계>의 생산 현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2권 2호, 82-122.
- 유건식.문상현 (2014). 방송드라마 제작방식으로서 문화산업전문회사에 대한 연구: KGCS 문화산업전문회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2호, 172-18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172
- 육서영.윤석민 (2013). 탐사보도 프로그램 제작에서 구성작가의 역할. <방송통신연구>, 81호, 127-155.
- 윤익한.김균 (2011). 통합 뉴스룸 도입 이후 뉴스 생산 노동과정의 변화: CBS 뉴스룸 사례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55호, 164-183.
- 원용진 (2014). <텔레비전 비평론>. 서울: 한울.
- 원용진 (2015).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저널리즘 연구. 조항제.김영찬.이기형 외.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383-415쪽). 서울: 컬처룩.
-
원용진.홍성일, 방희경 (2008).
. 서울: 한나래. - 이기형 (2009). <돌발영상>의 풍자정신 그리고 정치현실에 대한 환기효과를 맥락화하기. <방송문화연구>, 21권 2호, 81-116.
- 이기형 (2010). "현장" 혹은 "민속지학적 저널리즘"과 내러티브의 재발견 그리고 미디어 생산자 연구의 함의: <한겨레 21>의 <노동 OTL> 연작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18권 4호, 107-157.
- 이기형 (2011). <미디어 문화연구와 문화정치로의 초대>. 서울: 논형.
- 이영주.김진혁 (2009). 지식 저널리즘과 텔레비전 문화: <지식채널e>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1권 2호, 49-80.
- 이상길.이정현, 김지현 (2013). 지상파 방송사 비정규직 노동자의 직무인식과 노동경험. <방송과커뮤니케이션>, 14권 2호, 159-208.
- 이오현 (2005). 텔레비전 다큐멘타리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KBS <인물현대사>의 인물선정과정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3권 2호, 117-156.
- 이오현 (2007). 텔레비전 코미디 프로그램의 생산과정에 대한 민속지학적 연구: KBS <개그콘서트> 생산의 제한요인을 중심으로. <언론과사회>, 15권 2호, 131-174.
- 이오현 (2015). 미디어 생산자연구 행하기. 조항제, 김영찬, 이기형 외. <미디어 문화연구의 질적 방법론> (301-347쪽). 서울: 컬처룩.
- 임영호 (2013). 한국 언론학의 제도적 성공담과 내재적 위기론. <커뮤니케이션이론>, 9권 1호, 6-38.
- 임영호 (2015). 한국 텔레비전 생산 연구의 실태 진단. <언론정보연구>, 52권 1호, 5-32.
- 임영호 외 (2008). 도덕경제와 에로장르 종사자의 직업 정체성 구성. <언론과사회>, 16권 2호, 107-147.
- 임영호 외 (2009). 문화산업 주변부 종사자의 삶과 커리어: 한국 에로물 감독의 구술 생애사. <언론과사회>, 17권 3호, 2-50.
- 임영호.김정아 (2011). 프리랜서 방송 진행자의 현실인식과 대응전략: 근거이론에 의한 분석. <언론과사회>, 19권 2호, 49-109.
- 장용호.노동렬 (2010).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자기조직화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1권 2호, 39-90.
- 전규찬 (2015A). <그것이 알고 싶다>에 관한 다섯 개 사유의 토막들. SBS <그것이 알고 싶다>제작진. <그것이 알고 싶다: 세상을 보는 진실의 눈>, 9-19. 서울: 엘릭시르.
- 전규찬 (2015B). 재난의 시간, <그것이 알고 싶다>의 사회사적 저널리즘으로서의 가능성. 미발표 원고.
- 조항제 (2014). 한국의 민주화와 언론의 자유.언론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2호, 41-76.
- 지영서.김영찬 (2010). 노인 대상 프로그램 제작진의 인식과 제작환경에 관한 현장연구: 공영방송 KBS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15호, 239-277.
- 최선영.한희정 (2015). 종합편성채널의 독립제작 환경과 관행에 관한 연구: 독립PD, 작가 및 종합편성채널 관계자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73호, 56-91.
- 최영묵 (2012). 이명박 정부 언론장악 실패 '전말기'. <황해문화>, 75호, 10-27.
- 최영재 (2014). 공영방송 보도국의 정파적 분열. <커뮤니케이션이론>, 10권 4호, 476-510.
- 한선.이오현 (2010). 지역신문 기자의 작업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대한 연구: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언론과사회>, 18권 4호, 2-36.
- 한선.이오현 (2011). 지역신문 장의 작동원리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410-435.
- 한선.이오현 (2012). 지역방송의 지역성 개념과 지역성 구현의 문제: 광주지역 방송생산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한국방송학보>, 26권 5호, 271-306.
- 한선.이오현 (2013). 지역방송 프로그램 생산의 제한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광주지역 생산(자)문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7권 4호, 243-268.
- 허진아.이오현 (2009). 지역신문 기사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광주드림 기사 생산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46호, 449-484.
- 허철.박관우, 김성태 (2009). 디지털 시대의 방송뉴스 생산 관행의 변화와 시청자의 뉴스 생산과정 참여: YTN뉴스 사회부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1권 1호, 39-76.
- 홍경수 (2015. 9). <그것이 알고 싶다> 1,000회 성과와 과제: 스토리텔링과 전문직주의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특별 세미나.
- Allan, S. (Eds.) (2010). The Routledge companion to news and journalism. London: Routledge.
- Beck, A. (Ed.) (2003). Cultural work: Understanding the cultural industries. London: Routledge.
- Bird, E. (Ed.) (2009). The Anthropology of news and journalism: Global perspectives.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 Caldwell, J. (2008). Production culture.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 Gitlin, T. (2000). Inside prime tim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Gray, J. and Johnson, D. (Eds.) (2013). A Companion to media authorship. London: Wiley-Blackwell.
- Hartley, J. (Ed.) (2005). Creative industries. Oxford: Blackwell.
- Hesmondhalgh, D. and Baker, S. (2011). Creative labor: Media work in three cultural industries. London: Routledge.
- Holt, J. & Perren A. (Eds.) (2009). Media industries: History, theory, and method. Oxford: Wiley-Blackwell.
- Iorio, S. (Eds.) (2004). Qualitative research in journalism. London: LEA.
- Mayer, V. et al., (Eds.) (2009). Production studies. London: Routledge.
- Mayer, V. (2011). Below the line: Producers and production studies in the new television economy.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 Mayer, V., & Banks, M. (Eds.) (2015). Production studies: Cultural studies of media industries. London: Routledge.
- Usher, N. (2014). Making News at The New York Times.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