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f Staff in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n their Job Satisfaction

장애인 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석여희 (한국감성교육협회 부설 성문화연구소) ;
  • 최희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5.11.17
  • Accepted : 2015.12.07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work environment of staff in group homes on their job satisfaction targeting 148 person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 staff recognize challenge and role ambiguity at the level which is above level ranging from 3.08 to 3.61 points with respect to 6 subdomains of work environment, but showed a relative vulnerability regarding comfortability, monetary reward, role conflict and workload as below average ranging from 1.80 to 2.73 point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challenge and role ambiguity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ff with an opportunity for self-development and challenge by specifying service standards for social rehabilitation teachers in work environment and strengthening group home support system in various ways, enhancing support or advocacy necessary for solving problems.

본 연구는 장애인그룹홈 종사자 148명을 대상으로 종사자의 업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종사자들은 직장의 업무환경의 6개 하위영역 중 도전과 역할모호성에 대해서는 3.08점과 3.61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에서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편안함, 금전적 보상, 역할갈등, 업무량에 대해서는 평균 1.80점에서 2.73점 사이로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상대적 취약성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도전과 역할모호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업무환경에서는 사회재활교사의 업무기준을 명시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그룹홈 지원체계를 강화하여 종사자들의 자기개발과 도전의 기회를 높이고,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원이나 지지를 높여나가야 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봉,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 강명숙,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환경이 시설장애인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 고정미, 장애인 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의 자아탄력성과 동료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대전지역 장애인 거주시설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 김량훈,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 김미령, 장애인 그룹홈 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입소장애인의 지역사회적응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6. 김상욱, 유홍준,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의 행태학적 결정요인 : 전국 패널자료를 사용한 GLM 및 GEE 추정," 한국사회학, Vol.36, No.1, pp.51-81, 2002.
  7. 김종진, "사회복지시설 노동자들의 노동실태와 개선방안," 노동사회, Vol.112, No.0, pp.184-193, 2006.
  8. 김현철,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도시경영연구원, 2013 서울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운영 평가 결과보고서, 서울시, 2013.
  10. 민수화, 장애인생활시설 보육사의 근무 조건과 서비스의 질에 대한 사례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1. 박현숙,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실태조사 연구," 서울특별시 정신박약자복지관, 1993.
  12. 보건복지부, "2010 장애인 통계," 2010.
  13. 서울시그룹홈지원센터, 그룹홈 이해, 서울: 비전북출판사, 2003.
  14. 서울시남부장애자종합복지관, "보라매," 11월호, 1991.
  15. 서울시복지재단, 2010 장애인공동생활가정 평가결과 보고서, 서울시, 2010.
  16. 손태원, 조직행동과 창의성, 경기: 법문사, 2005.
  17. 송미영, 생활재활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신상윤, 공동생활가정(Group Home) 유형 및 운영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한국장애자협회, 1998.
  19. 안현화, 장애인그룹홈 사회재활교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0. 오승택, 장애인 요양시설 사회재활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1. 이문휘,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2. 이상준, 장애인공동생활가정(그룹홈) 사회재활교사의 근무상태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3. 이수진, 정신지체인 그룹홈 사회재활교사의 수퍼비전 실태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4. 이선규, 직무스트레스 유발요인, 대처전략과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25. 이영미, 성규탁,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18호, pp.25-60, 1991.
  26. 이영희, 장애인생활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조직몰입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7. 이윤석, 문승권, "요양보호사의 업무환경 및 제도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Vol.32, No.1, pp.305-321, 2012.
  28. 정혜련, 기혼여성의 결혼전.후 직무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9. 제갈돈,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업무환경의 역할," 지방정부연구, Vol.10, No.6, pp.91-111, 2006.
  30. 한택근, 장애인생활시설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 강원도를 중심으로,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1. 허성한, 장기요양기관의 업무환경이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 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2. A. H. Brayfield and H. F. Rothe,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35, pp.307-311, 1951. https://doi.org/10.1037/h0055617
  33. C. W. Mueller and S. W. Kim. "The Contented Female Worker: Still a Paradox?," Advances in Group Processes, Vol.25, pp.117-149, 2008. https://doi.org/10.1016/S0882-6145(08)25006-X
  34. D. Bernal, D. Snyder, and M. McDaniel. "The Age and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Gerontology, Vol.53, No.5, pp.287-293, 1998.
  35. E. Durbin, "Comparison of Three Methods of Delivering Nursing Care," In The Management of Patient Care: Putting. Leadership Skills to Work, pp.227-233, New York: Basic Books, 1981.
  36. H. C. Smith, Psychology of Industrial, New York, McGraw-Hill, 1955.
  37. J. Hackman and G. Oldham,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16, pp.250-279, 1976. https://doi.org/10.1016/0030-5073(76)90016-7
  38. J. H. Morris and J. D. Sherman, "Generalizability of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4, No.3, pp.512-526, 1981. https://doi.org/10.2307/255572
  39. J. W. Newstrom and K. Davis, Organization Behavior: Human Behavior at Work,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1993.
  40. R. M. Steers and L. W. Porter,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New York: McGraw-Hill Book, 1983.
  41. R. P. Vecchio, Organizational Behavior: Core Concept, Thomson, South-Western, 2002.
  42. S. Jayaratne and W. A. Ches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in Social Work: A National Survey," In B. A. Faber, B. A, Stress and Burnout in the Human services Professions, New York: Pergamon Press, 1983.
  43. T. A. Junge and S. Watanabe, "Another Look at the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8, No.6, pp.939-948, 1993. https://doi.org/10.1037/0021-9010.78.6.939
  44. W. Wolfensberger,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in human services, Toronto : National Institute on Mental Retardation,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