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ifferences of the Government Social Support for Unmarried Mother Child-rearing between at the Home and in the Facilities

재가와 시설의 양육미혼모 정부지원 차이에 대한 연구

  • 박영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5.10.20
  • Accepted : 2015.11.10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governmental parts in social supports for unmarried mothers at home and those at facilities and to look at policy alternatives. Despite of the rising number of unmarried child rearing mothers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al support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aid even the most basic sustenance. The research on the governmental supports shows that unmarried child-rearing mothers at home were more aged, more employed, more educated and had children of more month ages than those at facilities. Single mothers at facilities were getting more governmental supports excluding crisis support and paternity test than those at home who appeared to be experiencing more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ork, more realistic governmental policies are proposed to help a stable settlement of unmarried child-rearing mothers.

이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와 시설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지지 중 정부지원의 차이를 조사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최근에는 양육미혼모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의 지원은 충분하지 못하며, 가장 기초적인 생계유지에도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정부지원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재가 양육미혼모가 시설 양육미혼모보다 연령과 학력이 높았으며, 직업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월령 또한 재가 양육미혼모의 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지원과 친자검사를 제외한 정부지원은 시설 양육미혼모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가 양육미혼모가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육미혼모들의 안정된 정착을 위한 현실성 있는 정부정책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경, 도미향, 문혜숙, 박충선, 손홍숙, 오정옥, 홍달아기,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1.
  2. 이원숙, 가족복지론, 학지사, 2012.
  3. 이복숙, 전영주, "미혼모 생애사 연구," 여성연구논집, 제16권, 2005.
  4. 통계청, 한부모가구비율, 2014.
  5. 김만지, "청소년 임신과 스트레스," 한국사회복지학회, No.1, 2000.
  6. 남미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한국아동복지학회, Vol.44, 2013.
  7. 통계청, 연도별 요보호아동 발생 및 조치현황, 2014.
  8. 여성가족부, 한부모가족지원사업 안내지침, 2014.
  9.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2014.
  10. 여성가족부, 미혼모부자 거점기관 직원교육자료, 2014.
  11. 안산시건강가정지원센터, 내부자료, 2013; 2014; 2015.
  12. 김만지, 미혼모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2.
  13. 문정숙, 원가족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3.
  14. 임해영, 이혁구, "입양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3, 2013.
  15. 이은주, 최규련, "시설미혼모의 양육/입양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47-260, 2014.
  16. 전은희, 사이코드라마가 미혼모의 우울, 충동성,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효과, 경회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4.
  17. 박혜경, 미혼양육모가 경험하는 심리현상,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4.
  18. 김영신,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경험,"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5, No.1, 2011.
  19. 권희정, "미혼모성의 경험을 통해 본 근대의 탈모성화 역사," 구술사연구, Vol.5, No.2, 2014.
  20. 서정애, 십대여성의 임신과 '모성선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9.
  21.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 육경험: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 Vol.26, No.4, 2010.
  22. NASW, Encyclopedia of social work, 15th, Washington DC: NASW Press, 1965.
  23.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전문가와 양육미혼모의 지원방향을 논하다, 2012.
  24. 보건복지가족부, 가족통계, 2008.
  25. http://withmom.mogef.go.kr/
  26. 경기도여성가족연구원, 경기도 미혼모부자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 방안연구, 2010.
  27. 문순영, "미혼모자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2호, pp.73-103, 2015.
  28. 서울특별시, 미혼모지원시스템 정비를 위한 연구, 2014.
  29.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혼모 자녀 양육 및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과제, 2012.
  30. 이현심, 한규철, 전기복, "한부모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2013.
  31. 홍봉선, 남미애, "청소년 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9호, 2012
  32. 박진영, 부성숙,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2014.
  33. 한국미혼모가족협회, 미혼모 지원정책 개선방안: 미혼모지원정책포럼, 2011.
  34. N. Lin, Social Capit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1.
  35. W. Lonja, S. Ralf, and F. Matthias, "Long-term efficacy of an attachment-based parental training program for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 f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uboic Health, Vol.22, No.2, pp.139-153, 2014. https://doi.org/10.1007/s10389-013-06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