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Esteem among Elderly Living Alone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이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곽경화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 Received : 2015.07.08
  • Accepted : 2015.08.17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and to explore whether those of socioeconomic status influenced self-esteem among elderly living alone. From the data of 2009 National Elder Abuse Investigation, 1,333 older adults who were over 65 years and living alone were analyzed. Latent class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of this study found 5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named as high education-low income group, low education-low income group, middle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high income group, and low education-high income group. Nex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5 latent classes of socioeconomic status. Finally, compared to low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low income group, middle education-low income group, high education-high income group, and low education-high income group showed higher levels of self-esteem,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nd public policy for elderly living alone.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을 분류한 후, 사회경제적 지위 잠재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9년도 전국노인학대실태조사의 자료 중, 65세 이상 독거노인 1,33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재유형분석 및 일원변량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지위는 5개의 잠재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고학력-저소득 집단, 저학력-저소득 집단, 중간학력-저소득 집단, 고학력-고소득 집단, 저학력-고소득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저학력-저소득 집단이 저학력-고소득 집단, 고학력-저소득 집단, 고학력-고소득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중간학력-저소득 집단이 고학력-저소득 집단과 고학력-고소득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저학력-고소득 집단의 자아존중감이 고학력-고소득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학력-저소득 집단에 비해 고학력-저소득 집단, 중간학력-저소득 집단, 고학력-고소득 집단, 저학력-고소득 집단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통제변수가 추가 투입된 모형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독거노인의 하위집단별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와 그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ubCont
  2. 권중돈, 엄태영, 김유진,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고독감의 영향 및 무망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89-114, 2012.
  3. 김영주,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333-344, 2009.
  4. 김영태, "독거노인의 개인적 속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59권, pp.187-208, 2013.
  5. 이수천, 강선옥, 장미정, 윤승비,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영성이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44권, pp.139-161, 2014.
  6. 이정관, 김준현, "서울특별시 독거노인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3호, pp.191-211, 2013.
  7. R. Giarrusso and V. L. Bengston, "Self-esteem," In J. E. Birren (Eds.), Encyclopedia of Geront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Vol.2, pp.459-466, 1996.
  8. M. Rosenberg,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979.
  9. 김남희, 최수일, "여성 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241-25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241
  10. 송대현, 박한기, "한국노인들의 자존심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12권, 제1호, pp.79-96, 1992.
  11. 서경현, 김영숙,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9권, 제1호, pp.115-137, 2003.
  12. U. Orth, K. H. Trzesniewski, and R. W. Robins, "Self-esteem Development from Young Adulthood to Old Age: A Cohort-sequential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8, No.4, pp.645-658, 2010. https://doi.org/10.1037/a0018769
  13. R. W. Robins, K. H. Trzesniewski, J. L. Tracy, S. D. Gosling, and J. Potter, 'Global Self-esteem across the Life Span," Psychology and Aging, Vol.17, No.3, pp.423-434, 2002. https://doi.org/10.1037/0882-7974.17.3.423
  14. J. Wagner, F. R. Lang, F. J. Neyer, and G. G. Wagner, "Self-Esteem across Adulthood: The Role of Resources," European Journal of Ageing, Vol.11, pp.109-119, 2013.
  15. 김태현, 한은주,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3호, pp.81-106, 2004.
  16. 강혜원, 조영태, "서울시 남녀노인의 건강불평등:사회경제적 지위와 사회통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4호, pp.164-201, 2007.
  17. 이상록, 이순아, "노인가구의 소득유형 및 소득원이 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3호, pp.71-95, 2014.
  18. D. O. Clack, T. E. Stump, D. K. Miller, and S. Long, "Educational Disparities in the Prevalence and Consequence of Physical Vulnerability,"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2B, pp.S193-S197, 2007.
  19. P. M. Lantz, J. W. Lynch, J. S. House, J. M. Lepkowski, R. P. Mero, M. A. Musick, and D. R. Williams,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Change in a Longitudinal Study of US Adults: The Role of Health-risk Behavior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53, pp.29-40, 2001. https://doi.org/10.1016/S0277-9536(00)00319-1
  20. J. C. Phelan, B. G. Link, A. Diez-Roux, I. Kawachi, and B. Levin, "Fundamental Causes of Social Inequalities in Mortality: A Test of the Theor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5, pp.265-285, 2004. https://doi.org/10.1177/002214650404500303
  21. 이승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3호, pp.135-157, 2002.
  22. N. E. Adler, E. S. Epel, G. Castellazzo, and J. R. Ickovics,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Social Status with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ing: Preliminary Data in Healthy White Women," Health Psychology, Vol.19, No.6, pp.586-592, 2000. https://doi.org/10.1037/0278-6133.19.6.586
  23. D. Operario, N. E. Adler, and D. R. Williams, "Subjective Social Status: Reliability and Predictive Utility for Global Health," Psychology and Health, Vol.19, No.2, pp.237-246, 2004. https://doi.org/10.1080/08870440310001638098
  24. J. Nobles, M. R. Weintraub, and N. E. Adle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Relationships Reconsidered,"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82, pp.58-66, 2013.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3.01.021
  25.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1권, 제3호, pp.127-153, 2007.
  26. 정운영, 정세은, "1인 노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 연구: 저소득가구와 고소득 가구의 비교,"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119-1134, 2011.
  27. 윤명숙, 이묘숙,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32권, 제2호, pp.397-413, 2012.
  28. 홍형옥, 지은영, "사회계층별 노인생활지원주택에 대한 태도와 선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83-95, 2002.
  29. R. A. Rose, S. L. Parish, and J. R. Yoo, "Measuring Material Hardship among the US Popul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Social Indicator Research, Vol.94, pp.391-415, 2009. https://doi.org/10.1007/s11205-008-9428-z
  30. C. Yuan, C. Wei, J. Wang, H. Qian, X. Ye, Y. Liu, and P. S. Hinds, "Self-efficacy Difference among Patients with Cancer with Different Socioeconomic Status: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and Decomposition Analysis," Cancer Epidemiology, Vol.38, pp.298-306, 2014. https://doi.org/10.1016/j.canep.2014.02.012
  31. 박영례, 권혜진, 김경희, 최미혜, 한승희, "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29권, pp.237-258, 2005.
  32. 양점도, 이금자, 박영국, "노인의 자아존중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경북 의성군을 중심으로," 복지행정논총, 제18권, 제1호, pp.1-25, 2008.
  33. R. J. Turner and W. R. Avison, "Status Variations in Stress Exposure: Implications for the Interpretation of Research on Race,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4, pp.488-505, 2003. https://doi.org/10.2307/1519795
  34. C. F. Mendes de Leon, L. L. Barnes, J. L. Bienias, K. A. Skarupski, and D. A. Evans, "Racial Disparities in Disability: Recent Evidence from Self-reported and Performance-based Disability Measures in a Population-based Study of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0B, pp.S263-S271, 2005.
  35.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36. 김도환,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13권, pp.113-144, 2001.
  37. 김양례,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44권, 제6호, pp.183-192, 2005.
  38. 장숙희, 김창숙, 김미란,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4권, 제2호, pp.39-46, 2008.
  39. 정원철, 박선희,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235-24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35
  40. 정경희, 이윤경, 오영희, 손창균, 윤지은, 이은진, 권중돈, 김경호, 2009년도 전국노인학대실태조사, 정책보고서2010-11, 2010.
  41. K. L. Nylund, T. Asparouhov, and B. O. Muthen,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14, No.4, pp.535-569, 2007. https://doi.org/10.1080/10705510701575396
  42. D. S. Nagin,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Cited by

  1.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Hope on Health Conservation of the Vulnerable Elderly with Diabetes vol.28, pp.4,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