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ecasting Demand of Childcare Teachers using Time Series Analysis

시계열 분석을 통한 보육교사 수급 전망

  • Received : 2016.10.15
  • Accepted : 2016.12.04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ecast demand of childcare teachers based ion four different scenarios. In order to, the demand for childcare teachers from 2015 to 2024 were forecasted using time series techniques with data on the number of childcare teachers from 2003 to 2014.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ly, the demand for childcare teachers was expected to increase until 2019, but after 2020 steadily decreased in terms of scenario 1(child teacher ratio regulation). According to scenario 2(child teacher ratio based on 17 cities and provinces), the demand for childcare teachers was expected to need 440 teachers more until 2016. Then, according to scenario 3(two teachers each class), Scenario 4-1(one teacher and one staff each 2 toddler class and 3 older class) and scenario 4-2(one teacher and one staff each class), the demand of childcare teachers and staffs were estimated.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childcare teachers and staffs supply policy w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forecast demand.

Keywords

References

  1. 김현철 (2000). 중장기 초등교원 수급예측(I): 교원수 예측. 교육행정연구, 18(2), 91-113.
  2. 김현철 (2000). 중장기 유아교육 수요예측(II): 원아수 예측. 유아교육연구, 20, 117-139.
  3. 김현철 (2002). 시계열분석에 의한 초등교원의 수요 예측: 설명변수의 탐색과 분석방법간 예측결과의 비교. 한국교육, 29(2), 113-130.
  4. 김현철 (2009). 보육과 유아교육 수요규모 예측과 시사점. 교육문제연구, 35, 117-139.
  5. 고영미, 이상희 (2009). 우리나라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수급정책의 장, 단기 발전 방안. 순천향인문과학논총, 24, 175-195.
  6. 김은영, 권미경, 조혜주 (2012). 교사양성과정 내실화를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일과운영 및 교사의 직무분석(연구보고 2012-07).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7. 박진아, 박창현, 엄지원 (2015). 유아교육과 보육 중장기 수요 예측 및 재정 지출 전망(연구보고 2015-13). 육아정책연구소.
  8. 보건복지부 (2016). 2016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 (2015). 2015년 보육통계.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 MENU_ID=03&MENU_ID=0321&CONT_SEQ=330820&page=1에서 2016년 4월 15일 인출
  10.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 (2014).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4.005
  11. 이미화, 신나리, 김현철, 김문정 (2007). 보육교사의 수요 전망. 아동학회지, 28(5), 285-296.
  12. 이미화, 강은진, 박진아, 윤재석, 조아라, 신혜원 등 (2015). 보육교직원 자격체계개편 연구(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1540-01).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3. 이미화, 강은진 (2016).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양성과정과 보수교육과정의 쟁점 및 연계성 분석. 육아정책연구, 10(2), 105-123.
  14. 이미화, 김은설, 양미선, 오유정 (2012). 보육 중장기 수급 추계 및 양성체계 개편 방안 연구(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0823-01).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5. 이소희 (1996). 보육교사 수요체계와 공급체계의 적정성 검토 및 개선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3, 19-57.
  16. 유재언 (2015). 어린이집 정원충족률에 따른 폐쇄위험과 수급조절 방안. 보건사회연구, 35(4), 462-490.
  17. 유해미, 강은진, 조아라 (2015). 2015 보육정책 성과와 과제(연구보고 2015-2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8. 정덕희 (2015).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이야기.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77-99.
  19. 최윤경, 민정원, 이세원 (2013). 미래 육아지원정책 수요 전망 연구(연구보고 2013-16).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 표갑수, 허선 (1999). 보육시설 및 인력의 수급에 대한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7, 1-26.
  21. 통계청 (2014. 12. 11). 장래인구추계 시도편: 2013-2040. 보도자료.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bSeq=&aSeq=332518&pageNo=8&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에서 2016년 4월 15일 인출
  22. William, J. H., & Tabitha, M. B. (2016). Projections of Education Statistics to 2024. Retrieved April 15, 2016 from https://nces.ed.gov/pubsearch/pubsinfo.asp?pubid=201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