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L. Lin and P. Craton, "Informal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Age of MOOCs," IGI Global, 2015.
- http://nation.time.com/2013/09/26/online-learning-will-make-college-cheaper-it-will-also-make-it-better/
- 나일주,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 http://www.futuristspeaker.com/2013/07/by-2030-over-50-of-colleges-will-collapse/
- 배예선, 전우천,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005-3012, 2014. https://doi.org/10.6109/JKIICE.2014.18.12.3005
- 김성숙, 김성조, "대중 공개 강좌 (MOOC) 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사례: 글로벌 MOOC와 K-MOOC,"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4호, pp.85-129, 2016.
- 김자미, 구양미, 이원규, "영국의 FutureLearn 과 프랑스 FUN 이 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비교교육연구, 제25호, pp.293-320, 2015.
- 최미나, 노혜란, "MOOCs 에 기반한 대학이러닝의 융복합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7호, pp.9-21, 2015.
- 조문흠, 변문경, "MOOCs을 활용한 정규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유형별 학습 패턴 분석," 교육학연구, 제53권, 제4호, pp.193-223, 2015.
- 명순구, "MOOC 에 의한 민법 교육, 경험과 진단-고려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법학, 제80호, pp.227-261, 2016.
- 민경배, 무크 10대 이슈,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16.
- http://blog.naver.com/kmooc_kr
- 김상연, "스마트 교육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간 활용 의도 경로계수 차이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83-395, 2012.
- K. Lasater,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6, 2007.
-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3-193, 2009. https://doi.org/10.5977/JKASNE.2009.15.2.183
- 박태정, 이러닝 환경에서의 감성적 어포던스 설계원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R. Lehman, "The role of emotion in creating instructor and learner presence in the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Journal of Cognitive Affective Learning, Vol.2, No.2, pp.12-26, 2006.
- 황정규, 이돈희, 김신일, 교육학 개론, 교육과학사, 2011.
- J. Dewey,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Books, 1938.
- D. A. Kolb,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1984.
- 김동일, 손지영, 김경선, 김주연, 김효정,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1호, pp.287-312, 2012.
- 진동섭, 최현진, 한은정, "[스마트폰 영화 제작 활용 교수법] 에서 나타난 학습 경험 특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25-47, 2014.
- 허희옥, "사이버학습환경에서 교육적 경험을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 모형 설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195-223, 2007.
- 임철일, 김성욱, 최소영, 김선희,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지속적 성찰 중심 교수설계 모형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4호, pp.751-782, 2013.
- L. Rourke, T. Anderson, D. R. Garrison, and W. Archer,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content analysis of computer conference transcripts," International J.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IJAIED), No.12, pp.8-22, 2001.
-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04.
- 박양주, 우영희, "국내 교육공학분야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적용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2호, pp.263-287, 2012.
- S. Elo and H. Kynga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107-115, 200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 시기자, 성태제, "PPT, CFT, CAT에서 검사매체와 검사시행 모형에 따른 피험자 응답 적합도의 비교," 교육평가연구, 제19호, pp.65-87, 2006.
- U. H. Graneheim and B. Lundma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 Today, Vol.24, pp.105-112, 2004.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 홍원준, 임철일, 박태정,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1048-105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1048
- R. Kop and H. Fournier, "Peer2peer and open pedagogy of MOOCS to support the knowledge commons," In C. J. Bonk, M. M. Lee, T. C. Reeves, and T. H. Reynolds (Eds.), MOOCs and Open Education Around the World, pp.303-314, Routledge, 2015.
- D. R. Krathwohl,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Vol.41, No.4, pp.212-218, 2002.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 D. R. Krathwohl, B. S. Bloom, and B. B. Masia,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i: affective domain, David McKay Company, Inc., 1964.
- K. F. Hew, "Promoting engagement in online courses: What strategies can we learn from three highly rated MOOC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7, No.2, pp.320-334, 2016. https://doi.org/10.1111/bjet.12235
- 조영환, 허선영, 최효선, 김정연, 이현경, "고등교육 분야 온라인 학습 연구의 동향: 생태계적 접근,"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4호, pp.725-755, 2015.
- Y. Wang, X. Han, and J. Yang, "Revisiting the Blended Learning Literature: Using a Complex Adaptive Systems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8, No.2, pp.380-393, 2015.
- R. S. D. Davies, L. Dean, and N. Ball,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61, No.4, pp.563-580, 2013. https://doi.org/10.1007/s11423-013-93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