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ntent Analysis on Learning Experience of K-MOOC(Korea-Massive Open Online Course) : Focused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한국 대학생의 K-MOOC 학습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 박태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선진화센터) ;
  • 나일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Received : 2016.08.29
  • Accepted : 2016.11.01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learning experienc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K-MOOC. Analyses on the major motivation of the enrollment in a certain MOOC class, the actual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lass and the perception of the achievement of the class were the three main foci of the current study. The study employed inductive content analysis as a major analysis tool. Reflective journals from 94 students who enrolled in K-MOOC clas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students selected the specific K-MOOC classes based on their general interests on the topics the class offered. Other factors such as intellectual curiosity, practical reasons for their study or work and popularity were also influential on the selection of MOOC classes. Watching videos, taking quizzes and taking tests were the three major sources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Most students felt that K-MOOC is technically satisfactory. However, some students reported on simple errors and absence of advanced functions in the platform. Students perceived positivel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of obtaining knowledge(remembering and understanding), attitudes (receiving), and skills through K-MOOC. This study ultimately showed a new awareness of learning experiences around K-MOO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ent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the students' performance in MOOC classes.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이 K-MOOC을 활용하여 학습함에 있어 강좌 선정의 동기, 학습활동 및 기술과 관련한 학습경험 및 그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K-MOOC 강좌를 수강하여 학습한 94명의 한국 대학생이 작성한 개인별, 그룹별 성찰일지를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특정 K-MOOC 선정 및 수강의 주된 동기는 해당 주제에 대한 평소 관심과 흥미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호기심, 전공공부 및 진로탐색, 오프라인 강좌와의 비교, 인기도 등이 그 뒤를 따랐다. K-MOOC 학습활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긍정적 경험과 부정적 경험은 주로 동영상 시청과 퀴즈 및 시험에서 야기된 것으로 드러났다. K-MOOC 기술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나 일부 학생들은 기술적 단순오류뿐 아니라 고급 학습분석 플랫폼 기술의 부재로 부정적 경험을 보고하였다. K-MOOC 학습경험을 통한 학습효과에 있어서는 지식(기억, 이해), 태도(감수), 기술 순이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대중 온라인 학습환경인 K-MOOC 수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비정형화된 자유 서술식 형태의 성찰일지를 통해 실제 학습자의 인식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추후 학습경험과 학습효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 Lin and P. Craton, "Informal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Age of MOOCs," IGI Global, 2015.
  2. http://nation.time.com/2013/09/26/online-learning-will-make-college-cheaper-it-will-also-make-it-better/
  3. 나일주, 묵스의 이해, 학지사, 2015.
  4. http://www.futuristspeaker.com/2013/07/by-2030-over-50-of-colleges-will-collapse/
  5. 배예선, 전우천,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005-3012, 2014. https://doi.org/10.6109/JKIICE.2014.18.12.3005
  6. 김성숙, 김성조, "대중 공개 강좌 (MOOC) 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사례: 글로벌 MOOC와 K-MOOC,"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제44호, pp.85-129, 2016.
  7. 김자미, 구양미, 이원규, "영국의 FutureLearn 과 프랑스 FUN 이 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비교교육연구, 제25호, pp.293-320, 2015.
  8. 최미나, 노혜란, "MOOCs 에 기반한 대학이러닝의 융복합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3권, 제7호, pp.9-21, 2015.
  9. 조문흠, 변문경, "MOOCs을 활용한 정규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유형별 학습 패턴 분석," 교육학연구, 제53권, 제4호, pp.193-223, 2015.
  10. 명순구, "MOOC 에 의한 민법 교육, 경험과 진단-고려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법학, 제80호, pp.227-261, 2016.
  11. 민경배, 무크 10대 이슈, 커뮤니케이션스북스, 2016.
  12. http://blog.naver.com/kmooc_kr
  13. 김상연, "스마트 교육 경험 집단과 비 경험 집단간 활용 의도 경로계수 차이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83-395, 2012.
  14. K. Lasater, "High-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linical judg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6, No.6, 2007.
  15.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례,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83-193, 2009. https://doi.org/10.5977/JKASNE.2009.15.2.183
  16. 박태정, 이러닝 환경에서의 감성적 어포던스 설계원리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7. R. Lehman, "The role of emotion in creating instructor and learner presence in the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Journal of Cognitive Affective Learning, Vol.2, No.2, pp.12-26, 2006.
  18. 황정규, 이돈희, 김신일, 교육학 개론, 교육과학사, 2011.
  19. J. Dewey,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Books, 1938.
  20. D. A. Kolb,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1984.
  21. 김동일, 손지영, 김경선, 김주연, 김효정, "장애대학생 대상 IT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경험의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1권, 제1호, pp.287-312, 2012.
  22. 진동섭, 최현진, 한은정, "[스마트폰 영화 제작 활용 교수법] 에서 나타난 학습 경험 특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1권, 제1호, pp.25-47, 2014.
  23. 허희옥, "사이버학습환경에서 교육적 경험을 지원하는 교수자의 역할 모형 설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3권, 제2호, pp.195-223, 2007.
  24. 임철일, 김성욱, 최소영, 김선희,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지속적 성찰 중심 교수설계 모형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9권, 제4호, pp.751-782, 2013.
  25. L. Rourke, T. Anderson, D. R. Garrison, and W. Archer,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content analysis of computer conference transcripts," International J.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IJAIED), No.12, pp.8-22, 2001.
  26.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Sage, 2004.
  27. 박양주, 우영희, "국내 교육공학분야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적용에 대한 방법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2호, pp.263-287, 2012.
  28. S. Elo and H. Kynga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2, No.1, pp.107-115, 200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29. 시기자, 성태제, "PPT, CFT, CAT에서 검사매체와 검사시행 모형에 따른 피험자 응답 적합도의 비교," 교육평가연구, 제19호, pp.65-87, 2006.
  30. U. H. Graneheim and B. Lundman,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nursing research: Concepts, procedures and measures to achieve trustworthiness," Nurse Educ Today, Vol.24, pp.105-112, 2004. https://doi.org/10.1016/j.nedt.2003.10.001
  31. 홍원준, 임철일, 박태정, "동영상 강의 분할시간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1048-105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1048
  32. R. Kop and H. Fournier, "Peer2peer and open pedagogy of MOOCS to support the knowledge commons," In C. J. Bonk, M. M. Lee, T. C. Reeves, and T. H. Reynolds (Eds.), MOOCs and Open Education Around the World, pp.303-314, Routledge, 2015.
  33. D. R. Krathwohl,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Vol.41, No.4, pp.212-218, 2002.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4_2
  34. D. R. Krathwohl, B. S. Bloom, and B. B. Masia,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ii: affective domain, David McKay Company, Inc., 1964.
  35. K. F. Hew, "Promoting engagement in online courses: What strategies can we learn from three highly rated MOOC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47, No.2, pp.320-334, 2016. https://doi.org/10.1111/bjet.12235
  36. 조영환, 허선영, 최효선, 김정연, 이현경, "고등교육 분야 온라인 학습 연구의 동향: 생태계적 접근,"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4호, pp.725-755, 2015.
  37. Y. Wang, X. Han, and J. Yang, "Revisiting the Blended Learning Literature: Using a Complex Adaptive Systems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8, No.2, pp.380-393, 2015.
  38. R. S. D. Davies, L. Dean, and N. Ball,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61, No.4, pp.563-580, 2013. https://doi.org/10.1007/s11423-013-93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