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인기부자들의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의 매개효과와 삶에 대한 감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rivate Donors' Emotional or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Moderation Effect of the Gratitude for their lives

  • 이원준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16.10.05
  • 심사 : 2016.10.31
  • 발행 : 2016.11.28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을 후원하는 개인기부자들이 기부행위를 통해서 경험하는 정서적 효용감 및 가시적 효용감이 이들의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 자기수용의 매개효과, 그리고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함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혔다. 주요 발견점을 요약하면, 첫째, 후원활동을 하면서 삶에 대한 감사함이 증가한 개인기부자 집단의 경우, 기부활동을 통한 정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정적 직접효과를 미쳤지만, 가시적 효용감은 정신적 웰빙에 유의미한 직접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자기수용은 정서적 효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는 자기수용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둘째, 후원 후 자신의 삶에 대한 감사함이 증가하지 않은 집단에서도, 정신적 웰빙에 정서적 효용감은 정적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가시적 효용감은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자기수용은 가시적 효용감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정서적 효용감이 자기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고, 자기수용의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후원 후 삶에 대한 감사 증가여부에 의한 조절효과가 실증적으로 규명되었고, 기부 후 삶에 대한 감사가 증가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신적 웰빙은 물론, 자기수용, 정서적, 가시적 효용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져, 기부활동을 통한 정신적 웰빙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감사성향을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실천과제임을 제시하면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s at verifying the effects of private donors' emotional or demonstrable utility on their mental health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acceptance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the gratitude for their lives. As a result of causal analysis of the variabl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group of private donors with increased gratitude for their lives through sponsorship, while emotional utility from donative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donor's mental health, demonstrable utility does not have it. The indirect effect of self-acceptance is proved between emotional or demonstrable utilities and mental health. Second, among the donors without increased the gratitude, emotional utility has direct effect on donor's metal health but demonstrable utility does not affect the metal health. While the self-acceptance shows a full mediation effect between demonstrable utility and mental health, emotional utility has no mediation effect. In conclu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for their lives is empirically proved and the donors who their gratitude for life has increased due to donative activity show better metal health, self-acceptance level, higher emotional and demonstrable utility, therefore, the gratitude for life is a key for metal health through don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정은, 신현덕,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의 게시글 정보가 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54-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054
  2. 권혁인, 이승하, 나윤빈, "크라우드펀딩의 성공.실패 사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125-136, 2014.
  3. 정민주, 비영리기관에 대한 개인기부자들의 기존 경험만족이 기부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아름다운재단, 제 12회 국제기부문화심포지엄, 기빙코리아 2012 자료집, (2012.10.17)
  5. 이원준, 사회복지기관 개인기부자들의 기부효용감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 정선희, 한국기부문화의 현황과 과제 비영리지식포럼 자료집, 2002.
  7. 강철희, 정무성,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의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9권, pp.343-378, 2002.
  8. 변은지, 사회복지조직 기부자의 충성도(Donor Loyalty)에 관한 연구 -기부자의 인식요인과 조직의 기부자 관계관리 요인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협동과정, 박사학위논문, 2010.
  9. 최진균, 아동복지시설의 결연사업에 있어서 후원자관리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10. 조소라, 사회복지가관 후원자들의 후원행위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1. 박종미, 사회복지기관의 후원자관리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2. 서혜경, 후원노력과 후원지속기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3. A. Sargeant and E. Jay, Fundrais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2004.
  14. A. Sargeant and E. Jay, Redefining Commitment, Final Report, 2005.
  15. 정호영, 사회복지시설 기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16. C. A. Scott, "Modifying socially- conscious behavior: The foot-in-the-door techniq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3, pp.156-164, 1977. https://doi.org/10.1086/208691
  17. W. Grasty and K. Sheinkopf, The annual fund: How to grow perennial rewards from an annual campaign? LA.: The Grantsmanship Center, 1982.
  18. S. Scribner and F. Green, "Asking for money," Grantsmanship Center News, Vol.11, No.2, p.9, 1983.
  19. H. A. Rosso, Achieving excellence in fund raising: A comprehensive guide to principles, strategies, and methods. Jossey-Bass, 1991.
  20. C. Smith, "The new corporate philanthropy," Harvard Business Review, Vol.72, No.3, pp.105-114, 1994.
  21. 이원준, "사회복지기관 개인기부자들의 기부효용감이 기부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제66권, 제1호, pp.333-361, 2014.
  22. C. D. Ryff and C. L. M. Keyes,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No.4, pp.719-727, 1995.
  23. P. C. Watkins, K. Woodward, T. Stone, and R. L. Kolts, "Gratitude and happin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gratitude, and relationships with subjective well-being,"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31, No.5, pp.431-451, 2003. https://doi.org/10.2224/sbp.2003.31.5.431
  24. A. Sargeant, J. B. Ford, and D. C. West, "Perceptual determinants of nonprofit giving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9, No.2, pp.155-165, 2006. https://doi.org/10.1016/j.jbusres.2005.04.006
  25. G. C. Homans, Social behavior in elementary forms. A primer of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CA: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61.
  26. P. M. Blau, "Interaction: Social Exchang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Vol.7, pp.452-458, 1968.
  27. D. B. Arnett, S. D. German, and S. D. Hunt, "The identity salience model of relationship marketing success: The case of nonprofit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67, No.2, pp.89-105, 2003. https://doi.org/10.1509/jmkg.67.2.89.18614
  28. R. Eisenberger, P. Fasolo, and V. Davis-LaMastr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diligence, commitment, and inno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5, No.1, pp.51-59, 1990. https://doi.org/10.1037/0021-9010.75.1.51
  29. D. M. Rousseau and J. McLean Parks, "The contract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5, pp.1-43, 1993.
  30. S. M. Farmer and D. B. Fedor, "Volunteer participation and withdrawal," Nonprofit Management and Leadership, Vol.9, No.4, pp.349-368, 1999. https://doi.org/10.1002/nml.9402
  31. J. Andreoni, "Giving with impure altruism: applications to charity and ricardian equivalenc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97, No.6, pp.1447-1458, 1989. https://doi.org/10.1086/261662
  32. C. R. Rogers, The significance of the self-regard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1950.
  33. 이수연, 자기수용과 자기존중감 및 완벽주의 성향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34. J. Powell, Why Am I Afraid to Tell You WhoI Am, Chicago: Argus Communications, 1969.
  35. 이정민, 자기애와 공격성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6. C. R. Rogers,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newer concepts in practice, 1942.
  37. C. R. Rogers and R. F. Dymond, Psychotherapy and personality change, Co-ordinated research studies in the client-centered approach. Edited by CR Rogers and RF Dymon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4.
  38. D. L. MacInnes, "Self‐esteem and selfa cceptance: 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13, No.5, pp.483-489, 2006.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6.00959.x
  39.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 "정신적 웰빙 척도 (MHC-SF) 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2호, pp.369-386, 2012.
  40. C. L. M. Keyes,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3, No.2, pp.207-222, 2002. https://doi.org/10.2307/3090197
  41. C. L. M. Keyes, Complete mental health: An agender for the 21st centry, In C. L. M. keyes & J. Haaidt(Eds.), flourishing: Positive Psychology and the Life Well-Live(pp.293-312), Wa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2003.
  42.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o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43.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t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No.6,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44. R. M. Ryan and E. L. Deci,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No.1, pp.141-166, 2001.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41
  45. E. Diener,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5, No.2, pp.276-302, 1999. https://doi.org/10.1037/0033-2909.125.2.276
  46. 손선희, 박정양, 서경현, "여성 직장인의 감사성향과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직무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스트레스연구, 제23권, 제4호, pp.215-223, 2015.
  47. D. L. M. Keyes, "Social well-b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61, No.2, pp.121-140, 1998. https://doi.org/10.2307/2787065
  48. A. M. Wood, J. Maltby, N. Stewart, P. A. Linley, and S. Joseph, "The role of gratitude in the developmental of social support, stress and depression: Two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42, No.4, pp.854-871, 2008. https://doi.org/10.1016/j.jrp.2007.11.003
  49. M. E. McCullough, R. A. Emmons, and J. A. Tsang,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2, No.1, pp.112-27, 2002. https://doi.org/10.1037/0022-3514.82.1.112
  50. R. A. Emmons and M. E. McCullough,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4, No.2, pp.377-389, 2003. https://doi.org/10.1037/0022-3514.84.2.377
  51. 노혜숙, 신현숙, "청소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2호, pp.147-168, 2008.
  52. 이승연, 한미리, "노인의 감사성향 및 감사표현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제29권, 제3호, pp.53-73, 2016.
  53. 김유리, 이희경,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연구, 제25권, pp.19-35,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12.
  54. 이지은, 김정호, 김미리혜, "감사일지 작성이 우울 성향이 있는 여대생의 우울, 주관적 웰빙, 낙관성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21권, 제1호, pp.19-4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