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s in Gwi-po from Tang to Jin Dynasty in China - Focusing on the connection type of Jwau-dae(左右隊) -

중국 당대~금대 목조 건축의 귀포 변천에 관한 연구 - 좌우대의 결구 유형을 중심으로 -

  • 이병춘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
  • 이호열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 Received : 2015.06.26
  • Accepted : 2015.07.29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changes of Gwi-po(轉角包) by taking the cases of China's medieval wooden buildings as obj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time-periodic transition process of Gwi-po through the cases of 71 wooden buildings which were built from Tang(唐) dynasty(AD 618~690 & 705~907) until Jin(金) dynasty(AD 1115~1234) and also designated as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Protected at the National Level'. This research has taken note of various frame types of Jwau-dae(左右隊), which are architectural components of Gwi-po, to study the chang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Gwi-po.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ransformations of Gwi-po format is the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craftsmen about Jwau-dae, who took charge in the building process. In the early periods, the principles of Yidou sanshen dougong(一斗三升) in constructing ancons of Gwi-po had been well-maintained, while there appeared many different types of Gwi-po in later periods, due to the usage of Jwau-dae and $Shu{\check{a}}$ $t{\acute{o}}u$(?頭) in each Chulmok of Gwi-po. Transitional types of Gwi-po, which were evolved from the earlier ones,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by different forms of Jwau-dae, placed on odd number stages. The first one is 'none-$f{\bar{a}}ng$ $t{\acute{o}}u$(無枋頭) type' of Song(AD 960~1127, 1127~1279) and Liao dynasty(AD 907~1125) buildings, which doesn't have $f{\bar{a}}ng$ $t{\acute{o}}u$(枋頭)s, for the reason that Jwau-dae(左右隊) is in direct contact with Gwihan-dae(耳限大). The second one is '$Shu{\check{a}}$ $t{\acute{o}}u$ $f{\bar{a}}ng$ $t{\acute{o}}u$(?頭枋頭) type' of Song(AD 960~1127, 1127~1279) and Jin dynasty(AD 1115~1234), that has $f{\bar{a}}ng$ $t{\acute{o}}u$(枋頭)s of Jwau-dae(左右隊) identical to $Shu{\check{a}}$ $t{\acute{o}}u$(?頭) in form. The last one is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type' of Jin(AD 1115~1234) and Yuan dynasty(AD 1271~1368), which has $f{\bar{a}}ng$ $t{\acute{o}}u$(枋頭)s of Jwau-dae identical to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in form. The earlier forms of Gwi-po, which appeared between Tang dynasty(AD 618~690 & 705~907) and Five Dynasties periods(907~960) went through transitional forms of 'non-$f{\bar{a}}ng$ $t{\acute{o}}u$(無枋頭) type', '$Shu{\check{a}}$ $t{\acute{o}}u$ $f{\bar{a}}ng$ $t{\acute{o}}u$(?頭枋頭) type' and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type' and finally had its form settled between Yuan(元, AD 1271~1368) and Ming(明. AD 1368~1644) dynasty periods. In Liao(遼) dynasty period(AD 907~1125), as the buildings got bigger and the tendency of longer eave-exposure was implemented, there grew a certain need to structurally reinforce Gwi-po, on which load of the whole roof is concentrated. Especially, the transition from Tōuxīn $z{\grave{a}}o$(偸心造) style to Jì xīn $z{\grave{a}}o$(計心造) style in this period had a great influence on standardization of Gwi-po, along with None-${\acute{A}}ng$(無仰) style. Furthermore, Wing-type Gong(翼型?), which developed in Liao dynasty(AD 907~1125), is also thought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transition from Tōuxīn $z{\grave{a}}o$(偸心造) style to Jì xīn $z{\grave{a}}o$(計心造) style by changing the forms of Gongs(?), such as Gwi-po. However, unlike None-${\acute{A}}ng$(無仰) style, there occurred a gradual change from '$Shu{\check{a}}$ $t{\acute{o}}u$ $f{\bar{a}}ng$ $t{\acute{o}}u$(?頭枋頭) type' to '$Xi{\check{a}}o$ $g{\check{o}}ng$ $t{\acute{o}}u$(小?頭) type' of Gwi-po in $Xi{\grave{a}}$ ${\acute{a}}ng$ style.

이 연구는 중국의 중세 목조건축을 대상으로 귀포(轉角鋪作)의 변천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당대(唐代)부터 금대(金代)에 건축된 목조건축 중 중국정부가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國保)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71동의 건물을 대상으로 귀포의 시기별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귀포를 구성하는 좌우대(左右隊)의 다양한 결구유형에 주목하여 귀포의 변천과 전개과정을 고찰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포의 형식 변화는 건축을 주도했던 장인들의 좌우대에 대한 인식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초기의 귀포에서는 소첨과 대첨으로 구성되는 중공조(重?造) 구성과 일두삼승(一斗三升)의 첨차 구성 원칙이 잘 유지되었으나 건축기술의 발달로 귀포의 출목부(出目部)에 귀잡이한대(말각공)와 좌우대가 결구되면서 다양한 형식이 나타났다. 초기의 귀포에서 진일보한 과도기형 귀포는 홀수 단에 놓인 좌우대의 모양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즉 귀한대에 면해 좌우대의 뺄목이 형성되지 않은 '무(無)뺄목형'(요, 북송)을 비롯한 좌우대의 뺄목이 사두(?頭)와 같은 모양인 '사두뺄목형'(북송, 금)과 좌우대의 뺄목이 소공두(小?頭)와 같은 '소공두형'(남송, 금)이 그것이다. 귀포의 후기형인 정형은 각 출목에 사두가 결구되는 유형으로 비록 요대에 형성되었지만 폭넓게 적용된 시기는 원대이후로 추정된다. 요대(遼代)에 이르러 건물의 지붕이 대형화되고 처마가 길게 돌출되는 변화가 나타나면서 하중이 집중되는 귀포를 구조적으로 보강할 필요가 생겼다. 이 시기에 처음 사용된 귀잡이한대는 귀포의 구조 보강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이후 귀포의 형식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요대(遼代)에 발달한 공포재인 익형공(翼型?)은 귀포를 비롯한 건물의 공포형식이 투심조(偸心造)에서 계심조(計心造)로 변화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이와 같은 변화는 무앙계 건축을 중심으로 귀포의 정형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동시기 하앙계 건축에서는 무앙계에 비해 귀포가 '사두(?頭)뺄목형'에서 '소공두형'으로 바뀌는 변화가 서서히 일어났다. 무엇보다 귀포의 변화에 요대의 건축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주목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