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Volume 48 Issue 4
- /
- Pages.110-125
- /
- 2015
- /
- 3022-8085(pISSN)
DOI QR Code
A study on the variant placement method of the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rafter
전통 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 연구
- Hong, Eun-ki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Chang, Hun-duc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5.09.28
- Accepted : 2015.11.03
- Published : 2015.12.30
Abstract
This study is objected to investigate the repairing method and the modification period of rafters via the transformation traces left in the superciliums, where repair process takes places frequently. This is the basic research of analyz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Deokkeori, one of the additional-rafter methods. Deokkeori method can be described as using Deokdori in the top section of Hayeon, and placement of Sangyeon above it. This method was started to be used sinc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middle 18th Century) and mainly used at 19th Century to resist the transformation caused by repairing. It had been gradually developed from non-application stage to application stage including additional usage of complement.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Deokkeori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First, the usage of Deokdori to connect Sangyeon to the top section of Hayeon. It reduct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Sangyoen and Hayeon, therefore give constructive benefits and prevent the downfall of the eaves by increasing the power which pressing the top section of Hayeon. Second, it gives the autonomy to the inside structure of ceiling by comprising it. By using Deokdori, the limit of top section's longitude was eliminated while also simplify the upper section by blocking the inside structures with ceiling. In addition, the complements occasionally seen in several buildings increase the power which pressing Hayeon. Third, the ceiling's slope has been changed to be concerned with Sangyeon, instead of Hayeon which was highly related with it before. The last factor is the thickness of rafters which used in Deokkeori. The diameter is thiner in Sangyeon than Hayeon.
본 연구는 잦은 수리가 이루어지는 평연(平椽) 부분을 대상으로 서까래에 나타나는 변형의 흔적을 통해 서까래 배치에 대한 수리 방식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시기 등을 고찰하고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이 사용된 건물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에 덧서까래 방식의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던 '덧걸이'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기초 연구로써 하연(下椽)과 상연(上椽)이 엇갈려 결구되지 않고, 하연 끝뿌리에 덧도리가 사용되고 덧도리 상부에 상연이 새롭게 배치되는 방식이다. 조선 후기(18세기 중반) 이후부터 건물의 수리 중에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등장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19세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덧걸이 방식이 사용된 26동의 건물을 중심으로 덧도리가 사용되지 않던 유형에서 덧도리가 사용되고 추가 보강재가 사용되는 단계로 차츰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덧걸이 방식이 갖는 구조적 특징은 크게 4가지로 첫째, 하연 뒷뿌리에 상연을 받기 위한 덧도리가 사용되었다. 덧도리의 사용은 상연을 배치할 때 하연과의 관계성이 적어져 시공상의 편리성을 제공하였고 하연의 뒷뿌리를 눌러주는 힘이 증가해 처마의 처짐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반자가 구성되어 반자 내부의 구성에 자율성이 부여되었다. 천장을 이용해 내부가구를 가림으로써 상부가구의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하연 뒷뿌리가 빠져나가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지게 되었다. 또한 일부 건물에서 보이는 추가 보강재들은 상연을 한번 더 눌러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셋째, 기존 엇걸이 방식에서는 하연과의 연계성이 더 크던 지붕 기울기가 덧걸이 방식에서는 상연과의 연계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덧걸이 방식에 사용된 서까래는 상연이 하연의 굵기에 비해 얇은 특징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