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Inquiry on the effect of the formation Jhāpeti-Rites 『Seongmunsanguicho (釋門喪儀抄)』 in 『Osamnanyasinhakbiyoung(五杉練若新學備用)』

『오삼연약신학비용(五杉練若新學備用)』이 다비법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 성립에 미친 영향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06.25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o date, the study of the $jh{\bar{a}}peti$ is small. "Osamnanyasinhakbiyoung" was found in the Gumamodo University in 2006, research has gained a new opportunity. The '연약(練若)' of "Osamyunyaksinhakbiyoung(오삼연약신학비용)" is an abbreviation of ara?ya should be unified in "Osamnanyasinhakbiyoung(五衫練若新學備用)". The second volume contains the following information. Since the Buddhist ritual of ordinary people, this made according to fit the rules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隨方毗尼). Obok(五服) is called according to the meaning Osam(五衫) of dressed standard. Gamguhyodangdo is to install one incense and one lanterns to illuminate their own buddha, is where enshrines the relics(śarīra). Back to the article, which should show the face bitter and sad hearts. Over white paper it should represent an article. Posts containing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must necessarily meant to inform heaven as articles for the dead. Such "Osamnanyasinhakbiyoung" of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second volume was reflected in "Sungmoonsanguicho(釋門喪儀抄)". "Osamnanyasinhakbiyoung" written intent is reflected in the prolegomena of the "Sungmoonsanguicho" it influenced $Jh{\bar{a}}peti$-R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Osamnanyasinhakbiyoung" of prepare after death and "Sunksiyoram(釋氏要覽)" of funeral was incorporated as "Sungmoonsanguicho". It built the $st{\bar{u}}pa$ is a symbol of tranquility achieved a kind of enlightenment. Human life ends with death, and it completed the $Jh{\bar{a}}peti$-Rites in "Sungmoonsanguicho". The significance here is in. Tying the funeral and burial in one enshrine the relics will be shown on the top by the completion of life. In particular, Kankyungdogam(刊經都監) published in the $Jh{\bar{a}}peti$-Rites "Osamnanyasinhakbiyoung" were engraved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That it will have another significance.

2006년 고마자와대학에서 발견된 간경도감본 "오삼난야신학비용"의 출현은 답보상태에 있던 다비법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오삼난야신학비용"은 상권은 일부 낙질이 있고 하권은 가의 일반의례를 담고 있다. 중권은 동아시아 불교상장례의 시원을 담은 내용으로 편집되어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논고에서 중권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속례를 따르던 불교의 상례를 수방비니(隨方毗尼)에 따라 새로이 만들었으며, 오복(五服)은 법의(法衣)의 뜻을 따라 오삼(五衫)이라고 한다. 감구효당(龕柩孝堂)은 자체불(自體佛)을 밝히는 일향일등(一香一燈)을 시설하고, 사리(śarīra)인 골신(骨身)의 전신 사리를 모시는 곳이다. 조위문(吊慰文)은 슬픈 마음과 비통한 용모를 지켜야하고 그 마음을 하얀 종이 위에 글로서 나타내야한다. 제문(祭文)은 죽은 이를 위한 글로서 반드시 고제(告祭)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과 내용은 "석문상의초" 상하권에 반영되었다. 특히 "오삼난야신학비용"의 저술 의도는 "석문상의초" 서문에 반영되고, 이후에 조선시대의 다비법 성립에 영향을 끼친다. 불교상장례의 의미와 절차는 "오삼난야신학비용"의 상례에 "석씨요람"의 장례법을 통합하여 "석문상의초"라는 다비의례서로 완성하게 된다. 다비를 한 후에 탑을 세우는 것은 원적(圓寂)을 이룬 상징이며 깨달음의 한 종류이다. "석문상의초"에서 상례와 장례를 하나로 묶는 편집은 한국불교다비법의 원형을 만들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다비 후에 사리를 탑에 안치하는 것은 불교적 삶의 완성을 보이는 것이다. 특히 불서를 만들던 간경도감에서 다비법의 원형인 "오삼난야신학비용"을 판각하여 제작?보급하였다는데 또 다른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