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인애, 우리 시대의 구성주의, 문음사, 2003.
- 김현우,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 개발사례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제14권, 제2호, pp.517-52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517
- D. N. Lynn and P. N. Douglas, "Creativity in 21st-century education," UNESCO IBE, Prospects, Vol.44, No,4, pp.575-589, 2014. https://doi.org/10.1007/s11125-014-9322-1
- P. T. M, Marope, "Learning and competences for the 21st-century," UNESCO IBE, Prospects, Vol.44, No.4, pp.483-486, 2014. https://doi.org/10.1007/s11125-014-9333-y
- M. S. Paredes, Exploring the convergence of the liberal arts model and the Ecuadorian culture in a Latin American University, Doctor dissertation, Capella University, Minneapolis, USA, 2013.
- 이성흠, 윤옥한, "교양교육 강좌성격에 따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의 탐색," 교양교육연구회, 제8권, 제2호, pp.129-160, 2014.
- 이영준, 김윤철, 이동연, 김동훈,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제 간 융.복합 교과목 개발 연구: 인문학과 예술,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양교육연구소와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공통교양교과 개발 보고서, 2012.
- 고은실, "미술대학의 인문교양교육 강화 교과과정의 연구: 미국 미술대학 교육과정 사례," 조형교육학회, 제42권, 제42호, pp.1-29, 2012.
- 김선아, "21세기 융복합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과 특성 탐색," 조형교육학회, 제43권, pp.81-99, 2012.
- 김지현, "학제적 교양교과과정의 특징과 의의:하버드대학 '새 교양교육(New General Education)'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회, 제8권, 제3호, pp.193-247, 2014.
- 김형숙,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한국미술교육학회, 제24권, 제1호, pp.51-92, 2010.
- 노관범, 대학 교양교육 진흥을 위한 정책 제언, 경제인문연구회, 2010.
- 백수희, 임병노, "교양예술프로그램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의 효과와 방안 모색,"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30호, pp.179-188. 2014.
- 박일우, 기정희, "인문학. 예술 융복합 신규 교과목 <그림읽기로 세상보기> 개발," 교양교육연구회, 제7권, 제6호, pp.11-41, 2013.
- 백수희, 김규정, "대학교양과정에서 다학제적 프로그램으로서 미디어 아트 교수모델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연구회, 제8권, 제3호, pp.11-20, 2008.
- E. Morin, 미래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7가지 원칙, 당대출판사, 2001.
- 이재경,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김은진, 임병노,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3호, pp.102-11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102
- 손동현, "융복합 교육의 수요와 철학교육," 철학연구회, 제83호, pp.231-261, 2008.
- Arts Education Partnership, The arts and education: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Arts Education Partnership, 2004.
- 강인애, 문제 중심문제 중심 학습: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김종문(편저), 구성주의 교육학, pp.211-242, 교육과학사, 1998.
- 강인애,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제8권, 제1호, pp.23-44, 1998.
- 강인애, "성인학습환경으로서 PBL 가능성," 간호학탐구학회, 제11권, 제1호, pp.26-54, 2002.
- 강인애,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7.
- 김창식, "교사중심의 구성주의 미술감상 교육: 듀이의 탐구적 비평 방법과 문제중심 학습 방법 (PBL)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제3권, pp.105-121, 2002.
- 김현우, PBL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주현재, 박주희, "의료정보 교육을 위한 웹기반 PBL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46-254,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46
- 육정학, "영화교육에 적용한 PBL 수업 모형연구," 한국영화교육학회, 제13권, pp.107-128, 2011.
- 주현재,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이론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S. Barrow,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Springer Pub, 1985.
- S. Barrow,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Pub, 1995.
- J. Conway, P. Little, and V. Parker, "Cultural congruence or cultural conflict: challenges in implementing problem based learning across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8, No.5, pp.235-239, 2002. https://doi.org/10.1046/j.1440-172X.2002.00379.x
- R. Forgarty, Problem-based learning & other curriculum modes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 classroom, IRI SkyLigh Pub, 1997.
- C. Richey, D. Klein, and W. Tracey, 교수설계지식기반, 학지사, 2012.
- J. Thomas,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Pub, 2000.
- 강인애, 진선미, 여현숙, "21세기 학습자의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e-PBL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회, 제14권, 제4 호, pp.331-363, 2014.
-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제25권, 제1호, pp.7-42, 2014.
- 신희선,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 사례연구: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한국교양교육학회, 제8권, 제1호, pp.11-52, 2014.
-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1997.
- 강인애,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고찰," 초등우리교육학회논문지, 제108호, pp.58-63, 1999.
-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 PBL의 실천적 이해: PBL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문음사, 2007.
- 나지연, 정현미, "대학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설계모형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제20권, 제3호, pp.111-140, 2010.
- 박기학, "PBL을 적용한 환경수업이 대학생들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위생학회, 제24권, 제2호, pp.9-16, 2009.
- 박희옥, "일 대학 간호과 신입생의 PBL경험,"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제29권, 제2호, pp.101-110, 2011.
- 서혜경, 김유미, "PBL기반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회, 제12권, 제1호, pp.183-204, 2012.
- 여현숙, 국내.외 e-PBL 동향에 관한 비교분석: 1999년부터 2011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오윤호, "대학 글쓰기의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 한민족문화학회, 제25권, pp.139-164, 2008.
- 이화경, "문제기반학습(PBL)을 통한 대학생들의 사회문제 교수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제66권, pp.227-244, 2013.
- 장용철, (PBL기반)창의설계입문, 동화기술, 2010.
- 정주영, 홍광표, 이정아, (술술풀리는)PBL과 액션러닝, 학지사, 2012.
- 홍혜경, 김준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초등 디자인교육 개선방안," 디자인학연구회, 제25권, 제1호, pp.219-236, 2012.
- 손동현, 박주호, 유기웅, 정종원, 대학 교양기초 교육에 대한 종합적 분석 연구, 연구결과보고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2.
-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북스, 2012.
- 차윤경, 김선아, 김시정, 주미경, 박영석, 이선경, 함승환 외, 융복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 http://www.kuke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07
- http://gscst.snu.ac.kr/kor/m01/?mode=02_01
- http://www.khu.ac.kr/education/hooma.do
- http://liberaledu.snu.ac.kr/
- B. Lavin,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Pub. 2001.
- 김미영, 류영태, "비즈니스 매너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운영 사례연구: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비서학논총, 제23권, 제2호, pp.5-25, 2014.
- 정경숙, "PBL(Problem Based Learning)프로그램을 적용한 실내디자인 설계수업의 사례와 분석 D대학 3학년 설계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회, 제15권, 제1호, pp.553-561, 2014.
-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적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회, 제23권, 제2호, pp.35-65, 2007.
- 손승정,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 타 교과의 통합 교육 방안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제24권, 제1호, pp.445-467, 2010.
- A. Schutz, Collected Papers: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Vol.I. 1982.
- Harvard University, Report of the task force on general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ub, 2007.
- 나승일, 대학에서의 교수법 가이드,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 이원숙, "미술작품 감상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한국교양교육학회, 제7권, 제2호, pp.169-195, 2013.
- 최정임, 장경원, PBL로수업하기. 학지사, 2010.
- 황선하, SNS를 활용한 체험교육 모형개발: 경제 체험교육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강인애, 민진아, "PBL 기반 어린이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한방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교육학회, 제35권, pp.1-31, 2009.
- 손정우, 허민영, "미술활동과 연계한 과학실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제37권, 제1호, pp.68-78, 2013.
- 구병두, 양애경, 최종진,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원, 제45권, 제4호, pp.1-22, 2013.
- UNESCO & UNESCO, Making education a priority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Report of the Global Thematic Consultation on Education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Pairs and New York: UNESCO and UNICEF Pub, 2013.
- 강인애, 임병노, 강윤주, 남선우, 배희은, 손정은, 박정영, 주은진, 이선화, SNS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러닝 교육모형 연구, 경희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사이버사회연구소 보고서,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