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융복합수업모형으로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 : 대학교양미술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PBL in a College General Art Class

  • 강인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문화예술교육공학)) ;
  • 이현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문화예술교육공학))
  • 투고 : 2015.05.29
  • 심사 : 2015.06.30
  • 발행 : 2015.11.28

초록

지식기반 IT 사회, 그리고 다문화사회로 특징되는 현시대는 다른 어느 시대보다도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력, 소통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교육에서는 융복합 전공 및 교육을 개설하여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적합한 역량을 지닌 인재 함양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융복합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모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학습자 중심 학습모형이자 21세기 학생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수법의 하나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PBL(Problem Based Learning:문제기반학습)을 융복합적 수업모형의 하나로 선택하여, 대학교양 미술수업의 한 강좌를 PBL 수업의 특징에 따라, 실생활 연결된 과제를 주고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개별적, 혹은 그룹별 학습활동으로 개발, 적용하였다. 이후 수업을 실시한 뒤에는 학생들의 성찰저널, 심층면담과 SNS 대화내용을 분석하여 학습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로서, 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자신감, 재미 및 학습자간 소통력, 다양성에 대한 이해, 서로에 대한 배려 등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이해 등을 경험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교육에서의 융복합적 수업을 위한 수업모형으로서 PBL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e current society characterized by knowledge-bas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multiculturalism put more emphasis on problem-solving skills,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an any other periods did. In response to the demand of the current times, multidisciplinary, or convergence courses and majors are being created and conducted in college education, yet, with the lack of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convergence cours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BL as an instructional model for the convergent approaches in classroom, since PBL has been regarded as a model for fostering the 21st century learning capabilities for student coupled with the learning principles of authentic tasks, learner-centeredness,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after conducted a PBL course for the general art education during the summer semester of 2014, analyzed the result using data collected from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in-depth interviews, and SNS posts among the students. The result presented students' enhanced self-respect, increased interest in their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value on diversity and empathetic attitudes toward each others. In conclusion, PBL showed its potential a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model for the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learning in college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애, 우리 시대의 구성주의, 문음사, 2003.
  2. 김현우, PBL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 설연경, "문화예술활동 기반 교육 개발사례에서 미적경험이 주는 교육적 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제14권, 제2호, pp.517-52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517
  4. D. N. Lynn and P. N. Douglas, "Creativity in 21st-century education," UNESCO IBE, Prospects, Vol.44, No,4, pp.575-589, 2014. https://doi.org/10.1007/s11125-014-9322-1
  5. P. T. M, Marope, "Learning and competences for the 21st-century," UNESCO IBE, Prospects, Vol.44, No.4, pp.483-486, 2014. https://doi.org/10.1007/s11125-014-9333-y
  6. M. S. Paredes, Exploring the convergence of the liberal arts model and the Ecuadorian culture in a Latin American University, Doctor dissertation, Capella University, Minneapolis, USA, 2013.
  7. 이성흠, 윤옥한, "교양교육 강좌성격에 따른 융복합교육을 위한 수업지원체제 모형의 탐색," 교양교육연구회, 제8권, 제2호, pp.129-160, 2014.
  8. 이영준, 김윤철, 이동연, 김동훈,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제 간 융.복합 교과목 개발 연구: 인문학과 예술,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양교육연구소와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공통교양교과 개발 보고서, 2012.
  9. 고은실, "미술대학의 인문교양교육 강화 교과과정의 연구: 미국 미술대학 교육과정 사례," 조형교육학회, 제42권, 제42호, pp.1-29, 2012.
  10. 김선아, "21세기 융복합 교육을 위한 미술교육의 역할과 특성 탐색," 조형교육학회, 제43권, pp.81-99, 2012.
  11. 김지현, "학제적 교양교과과정의 특징과 의의:하버드대학 '새 교양교육(New General Education)'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회, 제8권, 제3호, pp.193-247, 2014.
  12. 김형숙,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한국미술교육학회, 제24권, 제1호, pp.51-92, 2010.
  13. 노관범, 대학 교양교육 진흥을 위한 정책 제언, 경제인문연구회, 2010.
  14. 백수희, 임병노, "교양예술프로그램에서 융합인재교육(STEAM)의 효과와 방안 모색,"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30호, pp.179-188. 2014.
  15. 박일우, 기정희, "인문학. 예술 융복합 신규 교과목 <그림읽기로 세상보기> 개발," 교양교육연구회, 제7권, 제6호, pp.11-41, 2013.
  16. 백수희, 김규정, "대학교양과정에서 다학제적 프로그램으로서 미디어 아트 교수모델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연구회, 제8권, 제3호, pp.11-20, 2008.
  17. E. Morin, 미래교육에 반드시 필요한 7가지 원칙, 당대출판사, 2001.
  18. 이재경, 상상력 학습에 기반한 시각적 문해력 함양 연구: 대학교양 미술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9. 김은진, 임병노,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복합 학문의 시대적 흐름-음악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3호, pp.102-11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102
  20. 손동현, "융복합 교육의 수요와 철학교육," 철학연구회, 제83호, pp.231-261, 2008.
  21. Arts Education Partnership, The arts and education: New opportunities for research, Arts Education Partnership, 2004.
  22. 강인애, 문제 중심문제 중심 학습: 또 하나의 구성주의적 교수.학습모형, 김종문(편저), 구성주의 교육학, pp.211-242, 교육과학사, 1998.
  23. 강인애,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제8권, 제1호, pp.23-44, 1998.
  24. 강인애, "성인학습환경으로서 PBL 가능성," 간호학탐구학회, 제11권, 제1호, pp.26-54, 2002.
  25. 강인애, PBL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2007.
  26. 김창식, "교사중심의 구성주의 미술감상 교육: 듀이의 탐구적 비평 방법과 문제중심 학습 방법 (PBL)을 중심으로,"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제3권, pp.105-121, 2002.
  27. 김현우, PBL수업에서 나타난 학습 성과와 학습 정서의 유형 및 단계별 특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8. 주현재, 박주희, "의료정보 교육을 위한 웹기반 PBL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모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246-254, 2010. https://doi.org/10.5392/JKCA.10.10.246
  29. 육정학, "영화교육에 적용한 PBL 수업 모형연구," 한국영화교육학회, 제13권, pp.107-128, 2011.
  30. 주현재, 고등교육에서의 학습자중심 교육이론에 기반한 PBL 모형 개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1. S. Barrow, How to design a problem-based curriculum for the preclinical years, Springer Pub, 1985.
  32. S. Barrow, Practice-Bas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pplied to Medical Education,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Pub, 1995.
  33. J. Conway, P. Little, and V. Parker, "Cultural congruence or cultural conflict: challenges in implementing problem based learning across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Vol.8, No.5, pp.235-239, 2002. https://doi.org/10.1046/j.1440-172X.2002.00379.x
  34. R. Forgarty, Problem-based learning & other curriculum modes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 classroom, IRI SkyLigh Pub, 1997.
  35. C. Richey, D. Klein, and W. Tracey, 교수설계지식기반, 학지사, 2012.
  36. J. Thomas,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based learning,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Pub, 2000.
  37. 강인애, 진선미, 여현숙, "21세기 학습자의 핵심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방법: e-PBL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회, 제14권, 제4 호, pp.331-363, 2014.
  38. 공하림, "대학 작문 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연구,"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제25권, 제1호, pp.7-42, 2014.
  39. 신희선, "PBL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교육 사례연구: '성찰일지'를 통해 살펴본 글쓰기 동기부여전략," 한국교양교육학회, 제8권, 제1호, pp.11-52, 2014.
  40.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1997.
  41. 강인애,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대한 고찰," 초등우리교육학회논문지, 제108호, pp.58-63, 1999.
  42.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 PBL의 실천적 이해: PBL수업을 위한 길라잡이, 문음사, 2007.
  43. 나지연, 정현미, "대학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설계모형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제20권, 제3호, pp.111-140, 2010.
  44. 박기학, "PBL을 적용한 환경수업이 대학생들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위생학회, 제24권, 제2호, pp.9-16, 2009.
  45. 박희옥, "일 대학 간호과 신입생의 PBL경험," 국군간호사관학교 군진간호연구소, 제29권, 제2호, pp.101-110, 2011.
  46. 서혜경, 김유미, "PBL기반 자기주도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회, 제12권, 제1호, pp.183-204, 2012.
  47. 여현숙, 국내.외 e-PBL 동향에 관한 비교분석: 1999년부터 2011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8. 오윤호, "대학 글쓰기의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 한민족문화학회, 제25권, pp.139-164, 2008.
  49. 이화경, "문제기반학습(PBL)을 통한 대학생들의 사회문제 교수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제66권, pp.227-244, 2013.
  50. 장용철, (PBL기반)창의설계입문, 동화기술, 2010.
  51. 정주영, 홍광표, 이정아, (술술풀리는)PBL과 액션러닝, 학지사, 2012.
  52. 홍혜경, 김준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초등 디자인교육 개선방안," 디자인학연구회, 제25권, 제1호, pp.219-236, 2012.
  53. 손동현, 박주호, 유기웅, 정종원, 대학 교양기초 교육에 대한 종합적 분석 연구, 연구결과보고서,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2.
  54.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북스, 2012.
  55. 차윤경, 김선아, 김시정, 주미경, 박영석, 이선경, 함승환 외, 융복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56. http://www.kukey.com/news/articleView.html?idxno=21607
  57. http://gscst.snu.ac.kr/kor/m01/?mode=02_01
  58. http://www.khu.ac.kr/education/hooma.do
  59. http://liberaledu.snu.ac.kr/
  60. B. Lavin,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based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Pub. 2001.
  61. 김미영, 류영태, "비즈니스 매너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운영 사례연구: 교육효과를 중심으로," 비서학논총, 제23권, 제2호, pp.5-25, 2014.
  62. 정경숙, "PBL(Problem Based Learning)프로그램을 적용한 실내디자인 설계수업의 사례와 분석 D대학 3학년 설계 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회, 제15권, 제1호, pp.553-561, 2014.
  63.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적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회, 제23권, 제2호, pp.35-65, 2007.
  64. 손승정,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 타 교과의 통합 교육 방안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제24권, 제1호, pp.445-467, 2010.
  65. A. Schutz, Collected Papers: The problem of social reality, Vol.I. 1982.
  66. Harvard University, Report of the task force on general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ub, 2007.
  67. 나승일, 대학에서의 교수법 가이드,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68. 이원숙, "미술작품 감상과 창의력 증진을 위한 글쓰기," 한국교양교육학회, 제7권, 제2호, pp.169-195, 2013.
  69. 최정임, 장경원, PBL로수업하기. 학지사, 2010.
  70. 황선하, SNS를 활용한 체험교육 모형개발: 경제 체험교육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71. 강인애, 민진아, "PBL 기반 어린이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한방 박물관 교육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조형교육학회, 제35권, pp.1-31, 2009.
  72. 손정우, 허민영, "미술활동과 연계한 과학실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제37권, 제1호, pp.68-78, 2013.
  73. 구병두, 양애경, 최종진, "자기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2000년 이후 발간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원, 제45권, 제4호, pp.1-22, 2013.
  74. UNESCO & UNESCO, Making education a priority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Report of the Global Thematic Consultation on Education in the Post-2015 Development Agenda. Pairs and New York: UNESCO and UNICEF Pub, 2013.
  75. 강인애, 임병노, 강윤주, 남선우, 배희은, 손정은, 박정영, 주은진, 이선화, SNS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러닝 교육모형 연구, 경희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사이버사회연구소 보고서,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