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Graduate School Choice Conviction Related in Dental Hygienics

치위생학 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의 대학원 선택 확신 영향 요인 분석

  • Moon, Hak-Ji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
  • Lim, Soon-Ry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
  • Lee, Geun-Yu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
  • Han, Ye-Seul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 문학진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임순연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이근유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한예슬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5.07.14
  • Accepted : 2015.07.30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In this study, it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influencing choice conviction of dental hygiene major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is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dental hygienic profession. The study method was complete enumeration of the master's graduate 84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n the country 8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of graduate school choice, factors of financial accessibility factor related marriage factor. Factor of the education program were more unmarried.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found to have recognized high financial accessibility of factors, education program. Also the carrier is low, factor of the education program it was found to be high. The result of graduate school choice conviction, the more unmarried chosen choice conviction score in high, it choice conviction score was related to monthly income.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external reputation, future, education program if high, it was found to have conviction of graduate school. In graduate school choice conviction external factors of education program and future factor was found to influence the choice of graduate school but internal factors was not found to influence. Therefore, we must seek the support measures that can deepe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ental hygiene of the dental hygienist.

이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치과위생사들이 대학원 선택 후에 자신의 대학원 대학원 선택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과 대학원 선택동기인 외적요인과 내적요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에 따른 대학원 특성 지각요인 중 재정접근성요인은 기혼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프로그램요인에서는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재정 접근성요인, 교육프로그램요인 평균 점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낮을수록 교육프로그램요인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차이를 검증한 결과 미혼일수록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점수가 높았고, 월 평균 소득에 따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선택동기 외적요인 중 교육프로그램요인과 장래성요인은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적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치과위생사가 치위생학과 대학원에 진학하고 대학원 확신 선택요인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교육프로그램(교수 명성과 질, 전공프로그램의 질, 교수 학생 관계, 교수학생 비율, 학술활동)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래성(학위 취득 후 진로선택 유리, 소득과 수입에서 유리, 사회 진출, 박사과정 개설) 또한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필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대학원은 치위생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치과위생사에게 교육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학문의 발전과 전문가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치과위생사의 인적자원을 양성함에 있어 치위생학과 대학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서 론

우리나라 치위생 교육은 1965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기술수련원의 수습기관 2년 교육과정으로 시작되어 1994년에 3년제로 개편되었다. 이후, 2002년 4년제 학사과정이 신설되었으며 2014년 현재, 54개 전문대학과 28개 일반대학으로 총 82개교의 치위생학 과정이 설치되어있다1). Rowe등2)은 치위생학계도 간호학 분야처럼 학업적, 업무적 성취, 전문적 성장을 위해 전문학사보다 일반학사 학위자를 늘려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국내 치위생학계는 전문대학의 재학 연한인 2∼3년 동안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에 부족함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다. 4년제 학사과정 외에 전문대학 졸업생들을 위하여 전공과정을 심화하여 학습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 개정안을 통해 2006년부터 학점 은행제를 통한 계속 심화교육과 일반학사 학위 취득의 기회가 마련되었다3). 치위생학 학사가 배출되고 치과위생사의 수도 증가되며 임상 및 사회에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진료보조에 국한되지 않고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치료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되면서 임상에 배출되기전 전문인력으로서 더욱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간호학의 경우, 일반학사와 전공 연계성을 갖는 석·박사학위과정을 설립하여 고급인력을 양성하면서 간호학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정확한 방향을 제시하였다4). 과거에는 국내 치과위생사들이 치위생학의 독자적인 전공 연계 교육 과정이 존재하지 않아 석·박사 과정을 구강보건학, 치의학, 해부학, 조직·생물학, 의료경영학 등의 전공 대학원에서 이수하여 우리나라 치위생계의 교육을 담당해왔다. 점차 치위생 교육이 체계를 갖추어가면서 치과위생사의 학문 연구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치과위생사의 대학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치위생학계에서도 독자적인 학문 발전과 치과위생사의 전문성 확대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유사 계열의 학문 외에 치위생학이라는 독자적인 과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치위생학 전공의 대학원 과정이 개설되기 시작하였다. 2007년 일반대학원의 치위생학 석사과정의 개설을 시작으로 2014년 일반대학원에서 치위생학 박사과정이 처음 개설되었으며 현재 국내에는 8개 대학원에서 치위생학 전공의 학위자를 배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치위생학 학사 졸업자들은 치과대학, 보건대학, 임상대학원으로 진학을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치과위생사들은 직장 근무를 병행하는 환경에서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직장생활과 학업을 병행해야 하므로 대학원을 선택하는 데 고려하는 사항이 다양해지고 진학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에 따라 현재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에 진학한 대학원생의 진학 선택 동기를 파악하고 대학원 선택에 확신을 갖는 요인을 규명하여 치과위생사가 전문적인 학술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과 임상 현장에서 구강보건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기 위한 학문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치과위생사들의 대학원 선택에 확신을 결정짓는 동기에는 개인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이 작용한다. 국외 소수의 연구를 통해 대학원 진학 선택 결정요인은 대학 진학 선택 결정요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5). Millett6)의 연구에서 대학원은 진학을 선택하는 순간에 개인의 내부적인 특성보다 외부적인 환경과 배경의 영향으로 인해 진학 선택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크게 작용한다고 하였다. 외국 대학원과 국내 대학원의 사회적 환경 및 개인의 사상의 차이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외적요인과 내적요인을 함께 파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치위생 학문과 관련된 교육 연구에서 치위생학의 대학원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치과위생사들의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 진학 동기를 파악하여 교육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치위생학이 추구하는 전문직의 중요성과 학문의 자립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국내 개설된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에 재학 중인 석사과정 대학원생 전수를 조사하여 우리나라 치위생학계의 고등교육 환경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독자적 학문 발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첫 걸음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전공 대학원에 진학하는 동기를 파악함으로써 치위생학 대학원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동기 및 대학원 확신요인의 차이를 파악한다.

둘째,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 선택 시 확신을 갖도록 영향을 주는 동기요인을 파악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국내 8개 대학원에서 치위생학을 전공하는 석사과정 대학원생 8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수조사이다(Table 1). 전수조사 방법은 각 대학원 치위생학과 교수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고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총 81부(96.4%)가 회수되어 분석에 활용하였다.

Table 1.Values are presented as n (%).

본 연구대상자는 총 81명으로 26세에 이상에서 29세 이하가 30명(37.1%)으로 가장 많았고 미혼인 사람은 66명 (81.5%)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가 58명(71.6%)으로 공공기관, 대학에서 근무하는 비임상 치과위생사보다 많았다(Table 2).

Table 2.Values are presented as n (%). KRW: Korean Won.

2. 연구 도구

1) 대학원 선택 동기 외적요인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은 대학원의 지각 특성을 측정하고자 Hwang7)과 Shin과 Lee8)의 도구를 Shin9)이 수정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기존 도구에서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 특성에 적합하지 않은 14개 문항을 삭제하고, 그 외 문항은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의 특성에 적절하게 적용하여 수정하였다. 외적요인은 대외평판(대학원의 명성과 질, 사회적 인식, 장기적 전망, 대학평가, 학생수준) 5문항, 재정 접근성(입학조건, 등록금, 대학원생활 총비용, 장학금제도, 지리적 위치, 통학용이) 6문항, 장래성(진로선택, 소득, 사회진출, 박사과정 개설) 4문항, 교육 프로그램(교수의 명성, 전공 프로그램, 교수와 학생의 관계, 교수와 학생의 비율, 학술활동 기회)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형 척도로 ‘전혀 중요한 것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1점, ‘별로 고려하지 않았다’ 2점, ‘보통이다’ 3점, ‘약간 고려하였다’ 4점, ‘매우 중요한 것으로 고려하였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원 선택에 중요하게 고려한 지각 요인을 의미한다. Shin9)의 연구에서 대학원 특성 지각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0.78이었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0.76이었다.

2) 대학원 선택 동기 내적요인

대학원 선택 동기의 내적요인을 측정하고자 Jung10)의 질적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 중 Lim11)이 수정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내적요인은 주변 권유, 학위 취득, 승진, 지식 습득, 배움의 흥미, 인간관계, 여가의 내용인 총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형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았다’ 1점, ‘그렇지 않았다’ 2점, ‘보통이다’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원 선택의 내적 동기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0.61이었다.

3)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을 측정하고자 Hwang7)과 Shin과 Lee8)의 도구를 Shin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은 재진학 의도, 다른 대학 편입 의도, 대학 추천 의도, 좋은 구전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형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별로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원 선택확신이 높음을 의미한다. Shin9)의 연구에서 대학원 선택확신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0.82였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0.85였다.

3. 자료분석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동기 외적요인 및 내적요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의 평균비교는 t-test, one-way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정을 위하여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대학원 선택 동기 외적요인과 내적요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ver. 18.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검정 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동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과 내적요인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Table 3.SD: standard deviation, KRW: Korean Won. a~cThe same characters were not significant by Scheffe’s test at α=0.05. The same letters indicate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Scheffe multiple comparision test. Data was analysed by t-test and ANOVA among groups. *p<0.05, **p<0.01.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은 결혼 여부, 직업, 월 평균소득, 임상 경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외적요인의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면, 결혼 여부에서는 재정접근성요인과 교육프로그램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은 미혼에 비하여 재정접근성요인의 점수가 높았고 미혼은 기혼에 비하여 교육프로그램요인에서 점수가 높았다. 직업 형태에 따라 임상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가 재정접근성요인에서 더 높은 지각을 하였으며 월 평균 소득은 높을수록 재정접근성요인이 높고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프로그램요인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월 평균 소득에 따른 재정 접근성요인의 사후검정 Scheffe test 결과 월 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 집단은 100만원 이상에서 200만원 미만 집단과 차이가 나타났으며 300만원 이상 집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경력이 없거나 비교적 낮을수록 교육프로그램요인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동기의 내적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의 차이 결과는 Table 4와 같다.

Table 4.KRW: Korean Won.

결혼 여부와 월 평균 소득에 따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혼일수록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인 경우 대학원 선택에 더 높은 확신을 나타냈으며, 그 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 및 내적요인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의 상관관계

대학원 진학 결정 시 고려한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 및 내적요인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able 5.*p<0.05, **p<0.01.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 하위요인 중 대외평판요인은 내적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321).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외적요인으로는 대외평판요인(r=0.275), 장래성요인(r=0.331), 교육프로그램요인(r=0.341)으로 나타났으며, 내적요인(r=0.189)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대학원의 대외적 평판이 좋을수록, 장래성이 보장될수록, 교육 프로그램이 좋을수록 본인의 대학원 선택에 확신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대학원 선택 확신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 동기요인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과 내적요인이 대학원 선택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Table 6.SE: standard error.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원 선택 동기요인은 외적요인 중에서 장래성요인(p<0.05)과 교육프로 그램요인(0<0.05)으로 나타났고 대외평판요인과 재정접근성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내적요인은 대학원 선택 확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대학원의 장래성과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 평가할수록 대학원 선택의 확신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고 찰

치위생학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사계열 전공자보다 치위생학 학위자가 배출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치위생학의 독자적인 학문 발전을 위함이기도 하며 다양한 환경에서 치과위생사의 질 높은 전문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은 석사과정이 개설된 이래 세계최초의 박사과정까지 개설될 만큼 발전하였으며 대학원 진학으로 학문적 발전과 전문가로서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치위생학 대학원을 진학하는 치과위생사들의 대학원 선택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는 제시되어있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치과위생사의 치위생학 전공 대학원의 선택확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원 진학 결정 시 고려한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을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 월평균소득, 경력, 교육비 부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른 외적요인 중 대학원 특성 지각요인 중 재정접근성요인은 기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프로그램요인에서는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Kang12)의 연구에서 기혼여성 경우 대학원생활과 가정생활에 경제적인 상황은 상호영향을 주며 기혼여성의 고등교육 진입단계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미혼인 경우 출산과 양육에 대한 부담이 없어 학문의 발전과 전문가로서의 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요인 점수를 높게 인식하였다.

월 평균 소득은 재정접근성요인, 교육프로그램요인 점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원 선택은 장기간 적지 않은 등록금을 투자하기 때문에 월 평균 소득이 대학원 지각 특성에 중요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또한 경력이 낮을수록 교육프로그램요인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에 졸업한 학생일수록 학업에 대한 열의가 높다1)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대학원 선택 확신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미혼일수록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im11)의 연구에서 성인학습참여 저해 요인으로 ‘시간부족’, ‘육아나 가사’, ‘비용부족’ 등의 상황적 장애요인을 보고하였다. 이는 미혼이 학업과 양육, 가정 등의 다중역할 부담이 적기 때문에 대학원을 선택하게 된 확신이 높다고 생각된다. 월 평균 소득에 따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와 Lim13)은 소득이 높을수록 대학원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지만, 치과위생사는 월 평균 소득 200만원 미만인 경우 대학원 선택에 높은 확신을 나타냈다. 이는 치과위생사의 월평균소득이 200만원 미만(83.7%)인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14). 또한 부모의 학력에 따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Kim15)의 연구에서는 교육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족배경을 제안하였으며 부의 직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tolzenberg16)의 연구에서는 교육지속성이 가족배경과 관련성이 없고 대학원 진학에 대한 열망은 부모의 영향 없이 스스로의 자발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고한 결과와 본 연구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 및 내적요인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대학원 선택 동기의 외적요인 하위요인 중 대외평판요인은 내적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대학원의 대외적 평판이 좋을수록, 장래성이 보장될수록, 교육프로그램이 좋을수록 본인의 대학원 선택에 확신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치위생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한 치과위생사들이 대학원 선택 후에 자신의 대학원 선택 확신에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적요인인 교육프로그램요인과 장래성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Shin9)의 대학 선택과정에서 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우수성이나 차별성에 대한 지각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결정에 대한 확신 여부나 정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는 결과를 뒷받침해준다. 대학원 진학은 안정된 직업 취득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래성요인 또한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Shin과 Lee의 연구17)에서는 대학 진학 및 학과 선택이 내적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학원 선택 확신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나타났다. 이 결과는 대학원 선택이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Millett6)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또한 Seo18)의 연구에서도 무형적요소인 학교 명성, 교수 명성, 교육 수준, 교수 능력, 학습 분위기 등이 대학만족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결과로 볼 때 대학원 선택확신에 내적요인보다 외적요인이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대학원 선택 동기인 외적요인과 내적요인을 독립변수로,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을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하지만 회귀분석에서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가 높지 않아 선정된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의 특수성을 고려한 세부 요인을 파악하여 후속연구에서는 다각적으로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연구의 대상이 많을수록 신뢰할 수 있는 결과가 측정될 수 있지만 이 연구는 8개 학교 석사학위 대상자 84명을 전수조사 하였다는 점과 치위생학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치위생학과 대학원이 아닌 보건대학원 및 치의학대학원 등에 진학한 치과위생사로 범위를 확대하여 치과위생사의 대학원 선택 확신과 관련된 요인들을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요 약

이 연구는 치위생학과 대학원에 진학한 치과위생사들이 대학원 선택 후에 자신의 대학원 대학원 선택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과 대학원 선택동기인 외적요인과 내적요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에 따른 대학원 특성 지각요인 중 재정접근성요인은 기혼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프로그램요인에서는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은 재정 접근성요인, 교육프로그램요인 평균 점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력이 낮을수록 교육프로그램요인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차이를 검증한 결과 미혼일수록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 점수가 높았고, 월 평균 소득에 따른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선택동기 외적요인 중 교육프로그램요인과 장래성요인은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적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치과위생사가 치위생학과 대학원에 진학하고 대학원 확신 선택요인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교육프로그램(교수 명성과 질, 전공프로그램의 질, 교수 학생 관계, 교수학생 비율, 학술활동)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장래성(학위 취득 후 진로선택 유리, 소득과 수입에서 유리, 사회 진출, 박사과정 개설) 또한 대학원 선택 확신요인에 필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대학원은 치위생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치과위생사에게 교육 프로그램의 관련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학문의 발전과 전문가의 영역을 넓힐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치과위생사의 인적자원을 양성함에 있어 치위생학과 대학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Lee MY, Seo HY, Kim HW, Chung WG, Kim NH: Needs for entering graduate school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bachelor's degree completion program and 4-year course. J Dent Hyg Sci 11: 199-203, 2011.
  2. Rowe DJ, Weintraub JA, Shain S, Yamamoto J, Walsh MM: Outcome assessment related to professional growth and achievement of baccalaureate dental hygiene graduates. J Dent Educ 68: 35-43, 2004.
  3. Yu JS, Bae CU: A study of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advanced course for bachelor of dental hygiene. J Dent Hyg Sci 12: 295-301, 2012.
  4. Lee SW: History of Korean nursing education (1900-2000). J Korean Acad Soc Nurs Educ 6: 303-326, 2000.
  5. Bedard K, Herman DA: Who goes to graduate/professional school? The importance of economic fluctuations, under-graduate field, and ability. Econ Educ Rev 27: 197-210, 2008. https://doi.org/10.1016/j.econedurev.2006.09.007
  6. Millett CM: How undergraduate loan debt affects application and enrollment in graduate or first professional school. J High Educ 74: 386-427, 2003. https://doi.org/10.1353/jhe.2003.0030
  7. Hwang HJ: Case study on university services quality measurement for improvement in students' re-enrollment intention. J Econ Financ Educ 14: 81-107, 2005.
  8. Shin BS, Lee SY: A comparative study on university choice and choice conviction of freshmen of two private universities in Daejeon. Korean J High Educ 14: 27-53, 2003.
  9. Shin BS: A study on college choice conviction perceived by freshme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Korean J High Educ 11: 169-193, 2013.
  10. Jung EH: Learning and change of adult graduat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2005.
  11. Lim SM: Impacts of special graduate school education on life satisfaction in offic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8.
  12. Kang SH: A qualitative study on married women's graduate school life: meaning and confli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3.
  13. Lee YM, Lim JY: Identifying the determinant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graduates' entrance to graduate schools. Korea Res Inst Vocat Educ Train 14: 233-258, 2011.
  14. Jeong KY, Han OS: A study on emotional labor, emotional burnout,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 J Dent Hyg Sci 15: 280-286,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3.280
  15. Kim KH: The impact of family background on educational continuation across school transitions. Korean J Sociol 38: 109-142, 2004.
  16. Stolzenberg RM: Educational continuation by college graduates. Am J Sociol 99: 1042-1077, 1994. https://doi.org/10.1086/230371
  17. Shin HG, Lee JS: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mpact of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college and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adjustment level with intrinsic motivation as mediating variable. J Korea Educ Res Assoc 45: 71-100, 2007.
  18. Seo JH: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 of customer satisfaction of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01.

Cited by

  1. 치과위생사 취업 역량, 업무,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공무원·공기업 취업자·연구원 중심으로 vol.18, pp.4,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43
  2. 치위생학 전공심화과정을 이수한 치과위생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vol.14, pp.2, 2020, https://doi.org/10.12811/kshsm.2020.14.2.067
  3. Korean Dental Hygienists' Job Description Based on Systematic Review vol.20, pp.4, 2020, https://doi.org/10.17135/jdhs.2020.20.4.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