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가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Han, Yang-Keu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ealth Institute of Technology) ;
  • Kim, Han-Hong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Gangdong College)
  • 한양금 (대전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김한홍 (강동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5.07.15
  • Accepted : 2015.07.27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706 female students who majored in dental hygiene at randomly selected colleges, which were located in Daejeon, Ulsan,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Data were gather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20, 2014 to April 13, 201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was 3.32, The average of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3.55. As for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by general and practice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gree of satisfaction for major, as fo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degree of satisfaction for major, number of clinical experience, practice organization and admission motive. The relationship of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mage of dental hygienists. As a result of analyzing which variables affected image of dental hygienists, it's found that image of dental hygienists were under the influence of number of clinical experience, practice organiza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fluenced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erefore, dental hygiene students are given a chance to have positive image through well-structured clinical practice.

본 연구는 치위생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70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10월 20일부터 2015년 4월 13일까지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평균은 $3.32{\pm}0.46$점,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평균은 $3.55{\pm}0.42$점이 었다.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임상실습 만족도는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학년이 높을수록(p=0.013),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1), 실습경험 횟수가 많을수록(p=0.009), 실습기관 형태가 병원급 일수록(p=0.003), 입학 동기는 적성이 맞거나 치과위생사에 대한 깊은 인상이 되어 있는(p=0.039)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간의 상관 분석 결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실습횟수(p=0.009), 실습기관 형태(p=0.003), 임상실습 만족도(p<0.001)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위생 전공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에 대한 실습 경험이 자신의 직업에 미치는 긍정적 이미지 함양을 위한 임상 실습지도안을 마련하고 임상실습 후 자신의 부족한 분야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서 론

오늘날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려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1), 미분화 사회에서 분화 된 사회로, 비전문화 사회에서 전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2). 구강보건의료분야의 전문화, 세분화가 이루어져 치과의사만으로는 국민이 필요로 하는 질 높은 구강보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변화요구에 의해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인으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더욱 크게 대두되며3), 치과위생사에 대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직임에도 불구하고 잦은 이직과 직업적 자긍심의 부족으로 인해 이미지 수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4).

이미지는 지극히 주관적인 개인의 생각 속에 존재하는 것으로 어쩌면 허상일 수 있으나 현실에서 매우 강력한 힘을 지닌 채 모든 크고 작은 일들에 영향력을 행사한다5). 또한 개인이 지닌 자신의 생각, 신념 전체인 자아개념, 이미지는 그의 성격과 정신건강에도 직접적으로 관련되며, 개인의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6). 즉 개인의 정신세계 속에 내재하는 이미지는 개인의 선호도를 결정하고 의사결정과 행동 전반을 지배하게 되므로, 치과위생사가 부정적인 이미지로 비추어질 경우, 이는 치과위생사의 신념과 가치 자존심을 손상시키고 그들의 삶과 포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결국 치과위생사의 업무수행 효율성을 떨어뜨리게 된다7,8). 반면 긍정적인 이미지는 치과위생사의 신념과 가치,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치과위생사의 업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전문직인 치과위생사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처럼 어떤 전문직에 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그 분야의 발전에 있어서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9).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치위생을 전공하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처음으로 마주하게 되는 임상실습 현장에서 임상 치과위생사가 보여주는 모습에 의해 학생들의 개개인의 가치가 구조화될 것이다.

치위생학은 실용학문으로 단순한 이론적 지식의 습득이 아닌 실제를 통하여 적용될 수 있을 때 그 가치를 지니므로10) 임상실습은 치위생 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11). 임상실습은 전문직 간호사가 되기 위하여 실무에서 지식, 기술, 태도를 직접 체험하는 중요한 교과과정으로12), 대상자에게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잠재력, 창의력, 응용력을 길러주는 학습과정이다13). 또한 의료팀과 협조하여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직접 서비스와 자기관리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14). 임상실습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적인 지식을 통합할 수 있고,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갖는 예비 치과위생사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체험이 될 것이며, 이 과정에서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가 형성될 것이다. 치과위생사에 대한 사전적 이미지와 임상 실습 시 임상지도자로 역할을 하는 치과위생사로부터 경험하게 되는 치과위생사 이미지 역시 학생들이 전문직 치과위생사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규치과위생사로 구강보건영역에서 없어서는 안 될 역할을 맡게 될 치위생과 학생의 미래 자신의 모습에 대한 기대감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9). 그러므로 치과위생사 이미지를 확인하는 것은 치과위생사의 전문직 발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라 할 수 있다15).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관계를 알아보고,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나은 치과위생사 이미지를 정립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충청북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의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하여 720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무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14부를 제외한 70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2014년 10월 20일부터 2015년 4월 13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 방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연구목적을 설명하였고, 응답의 비밀보장, 연구 참여에 대한 익명성 보장 및 오직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됨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해 동의서 작성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작성된 후 그 자리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 9문항, 임상실습만족도 30문항, 치과위생사 이미지 31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1) 임상실습 만족도

Cho와 Kang6)이 간호과 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도구를 Lee 등11)이 수정ㆍ보완하여 작성한 측정도구에 연구의 대상과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실습교과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 6문항,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 9문항,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 6문항,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 3문항, 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 3문항으로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까지 5점 Likert식 척도이며, 2개의 역문항(6, 9번)은 역환산하여 계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Lee 등11)의 연구에서의 도구 신뢰도는 Cronbach’s α값이 0.86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0.83이었다.

2) 치과위생사 이미지

Yang16)이 개발한 간호이미지 측정도구를 연구의 대상과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전통적 이미지 12문항, 사회적 이미지 7문항, 전문적 이미지 6문항, 개인적 이미지 6문항으로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5점 Likert 척도이며, 3개의 역문항(26, 27, 31번)은 역환산하여 계산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이미지가 높음을 의미한다. 도구의 신뢰도는 Yang16)의 연구에서 Chronbach’s α값은 0.94였고, 본 연구에서는 0.91이었다.

3.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0.0 (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 및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평균은 빈도분석을 하였고,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실습 만족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이때 범주형 변수들은 가변수(dummy)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통계학적 유의검정 수준은 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연령은 21세 미만의 학생이 61.6%로 많았고, 학년은 2학년이 49.7%, 3학년이 50.3%로 비슷하였으며, 대도시 학생이 70.8%로 중소도시 학생들보다 많았다. 입학 동기는 높은 취업률 고려가 49.9%로 가장 높았고, 전공 만족도는 보통이 44.3%로 가장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실습경험 횟수는 1회 49.7%, 2회 50.3%로 비슷하였고, 실습기관형태는 병원급이 54.2%로 높았다. 실습지도 담당은 치과위생사가 89.5%로 가장 높았고, 실시 시 어려웠던 관계로는 임상치과위생사와의 관계가 5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able 1.General an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706)

2.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정도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정도에 관한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의 평균은 3.32±0.46점,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평균은 3.55±0.42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교과에 대한 만족도는 3.73±0.63점,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3.09±0.49점,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3.32±0.63점,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3.47±0.58점,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는 3.34±0.77점, 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3.09±0.81점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전통적 이미지는 3.92±0.58점, 사회적 이미지는 3.32±0.56점, 전문적 이미지는 3.67±0.51점, 개인적 이미지는 3.21±0.39점으로 나타났다.

Table 2.Mean Scores of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n=706)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임상실습 만족도는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학년이 높을수록 (p=0.013),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1), 실습경험 횟수가 많을수록(p=0.009), 실습기관 형태가 병원급 일수록 (p=0.003), 입학 동기는 적성이 맞거나 치과위생사에 대한 깊은 인상이 되어 있는(p=0.039)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able 3.SD: standard deviation. a∼cValu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using the Scheffe method at α=0.05. *p<0.05, **p<0.01, ***p<0.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test and one way ANOVA.

4. 임상실습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요인간의 상관관계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성은 보통이었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이미지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들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Table 4.**p<0.01, ***p<0.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5.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실습횟수(p=0.009), 실습기관 형태(p=0.003), 임상실습 만족도(p< 0.001)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able 5.SE: standard error. **p<0.01, ***p<0.001,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고 찰

어떤 직업이든 그 직업에 적합한 이미지가 존재한다17). 이미지는 직접 경험이나 간접 경험에 의해 형성되는데 치위생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간접적 기회로는 교과서나 매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 직접적인 기회는 임상실습을 통하여 직접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이미지와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연구하여 치위생을 학문하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 확립과 전공 분야에 대한 동기부여와 관심을 유발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실습관련 특성 중 임상 실습 시 실습지도 담당은 치과위생사가 89.5%로 가장 높았고, 실습 중 어려웠던 관계로는 임상치과위생사와의 관계가 5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임상 실습을 하는 과정에서 많이 접촉하는 사람이 임상치과위생사였고, 또한 가장 어려워 한 사람도 치과위생사였다. 이는 학생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Moon18)은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을 돕기 위해 역할을 하는 간호교육자는 간호 학생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간호교육자는 임상실습에 흥미와 자부심 및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직접적인 관계이다. 그러므로 임상실습 지도에 앞서 인간적으로 관계를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습 지도를 치과조무사가 담당하였다고 대답한 학생이 4.0%였다. 이는 전문직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일을 해야 하는 예비 치과위생사에게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신념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치위생학 교과과정 중 치위생학개론, 의료관계법규 등의 과목을 통하여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업의식 및 업무 범위에 대해 배우지만 임상에서의 현실은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Cho19)는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에서 치과위생사는 구강보건교육과 예방업무를 담당하는 전문요원으로 인식되어야 하고, 명찰 착용 등을 통하여 치과조무사와 구분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다른 복장의 착용 등 다른 직종과 차별화를 통해 치위생 직업에 대한 개념과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또한 치과의사와 임상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직업정신에 대한 소명의식이 먼저 바뀌어야 하고 학교에서는 임상에서 이런 일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교육을 철저히 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정도에 관한 분석 결과, 임상실습 만족도의 평균은 3.32점이었다. 이는 Lee20)의 3.40점, Kim13)의 3.44점보다 낮았지만, Han21)의 3.23점, Lee 등11)의 2.91점보다 높았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 요인별 순위를 보면 실습교과에 대한 만족도(3.73점)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3.47점), 실습시간에 대한 만족도(3.34점),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3.32점), 실습평가 및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3.09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20)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Kim과 Oh22) 그리고 Lee10)의 연구에서는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와 본 연구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현실적으로 의과대학이나 치과대학처럼 부속병원을 가지고 있지 못하여 여러 병원 또는 여러 형태의 병원으로 실습을 나가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실습병원 선택에 대해 지리적인 접근 및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등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또한 임상실습 현장의 지도자 및 치과의사와 학교의 교수가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하고 있어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이전의 연구결과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Kim과 Oh22) 그리고 Lee10)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임상실습 중 진료 내용과 다양한 환자를 접할 수 있도록 학교와 임상실습 현장과의 유기적인 산학협동 체계를 잘 이루어 체계적인 실습 내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실습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Lee20), Kim13)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실습에 대한 평가는 임상실습 점수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한다. 또한 기대했던 점수보다 낮은 평가가 이루어지면 만족도도 낮게 평가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임상현장에서의 지도자와 학생들에게 공개하고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평균은 3.55점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이미지를 연구한 Lee20)는 3.68점, Lee 등11)은 3.49점, Yang12)은 3.38점,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를 한 Lim9)은 3.54점, Youn 등23)은 3.40점, Lee 등24)은 3.53점이었다. Hwang과 Lee15)는 3.26점으로 본 연구결과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임상 실습 환경의 변화, 임상가 등의 인식 변화, 체계적인 교육 제도 등이 개선되어짐에 따라 나타난 긍정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하위 요인별 순위를 보면 전통적 이미지(3.92점)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전문적 이미지(3.67점), 사회적 이미지(3.32점), 개인적 이미지(3.21점)순으로 나타났다. Lee20)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고 Lee 등11)은 전문적 이미지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이미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와 같이 사회적 이미지보다 전문적 이미지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간호사나 치과위생사는 단순한 일 이상을 하며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직업이며 가치 있는 일을 하는 직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Lee 등11)은 전문직의 특성으로 자율성은 전문직업인이 직무수행과정에서 그들 자신의 업무기능을 스스로 통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전문직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사회적 이미지가 낮은 것은 전문직 발전의 장애요인이라 할 수 있다. 치과위생사의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으로 변경과 정부의 보건기관과 치과의사단체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과 치과위생사단체들이 유기적인 노력을 하여 치과위생사 만의 파워를 키워야 한다고 생각된다. 개인적 이미지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는데 이를 높이는 데에 학생들, 임상실습 현장에 있는 임상 치과위생사들 모두 개개인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개개인의 신념이나 마음가짐 등이 고취될 수 있도록 학술대회 등을 이용하여야 자긍심과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Choi 등25)의 임상만족도와 수행경험과의 관계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습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실습기관 형태가 병원급일수록, 입학 동기가 적성이 맞아서 또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깊은 인상을 받은 경우에 치과위생사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고 이는 Youn 등23)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았다. 이는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가 이루어지면서 지식과 기술을 연마함으로써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사회의 요구와 실정에 맞는 학습이 이루어지고, 학생 개개인의 스스로가 자신의 이미지를 쌓아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는 이상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예측변인을 연구한 Lim9)은 성취동기가 높을수록 치과위생사 이미지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Youn 등23)은 임상실습 경험에 상관없이 성취동기가 증가할수록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긍정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신이 치과위생학을 해야겠다고 하는 동기가 분명하여 치과위생사 이미지 점수가 높다고 생각된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Kelly26)는 이미지에 대한 관심을 가지는 일은 자신의 정체감을 찾는 과정이라고 하였고, Lee 등11)은 직업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은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데 기여한다고 하였다. 즉, 임상현장에서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수록 치과위생사의 이미지가 높게 나타나고 정체성이 더욱 확고히 된다고 볼 수 있다.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는 실습횟수가 많을수록, 실습기관 형태가 병원급일수록, 임상실습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실습횟수가 많아져 학습과 연계하여 이해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치위생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져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의원급보다는 병원급에서 실습한 학생들은 여러 파트의 임상을 경험하게 되어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며, 이들의 통합으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의 만족도도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보이는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치위생 전공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있어서 전통적 이미지와 전문적 이미지는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개인적 이미지는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의 재학기간 중 임상실습의 세부적인 내용들의 체계화를 통해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를 긍정적 이미지로 확립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본 연구의 일부 지역의 치과위생사들을 편의 추출하여 측정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나, 치위생 전공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에 대한 실습 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직업에 미치는 긍정적 이미지를 더욱 확고히 하기 위한 임상 실습 지도안을 마련하고 임상실습 후 자신의 부족한 분야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본 연구는 치위생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70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10월 20일부터 2015년 4월 13일까지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 평균은 3.32±0.46점,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평균은 3.55±0.42점이었다.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임상실습 만족도는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3)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 이미지는 학년이 높을수록(p=0.013), 전공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1), 실습경험 횟수가 많을수록(p=0.009), 실습기관 형태가 병원급 일수록(p=0.003), 입학 동기는 적성이 맞거나 치과위생사에 대한 깊은 인상이 되어 있는(p=0.039)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만족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 간의 상관분석 결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는 실습횟수(p=0.009), 실습기관 형태(p=0.003), 임상실습 만족도(p<0.001)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위생 전공 학생들이 학교생활에서 자신의 전공 분야에 대한 실습 경험이 자신의 직업에 미치는 긍정적 이미지 함양을 위한 임상 실습지도안을 마련하고 임상실습 후 자신의 부족한 분야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생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Kim JI: An approach to the social scientific model of health administration. Collection of Wonkwang University 25: 325-350, 1991.
  2. Jeong JS: Survey on nurse's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998.
  3. Lee SM: A Q-methodological study on the professional image of a dental hygieni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999.
  4. Kang JK, Kim KM: Study on the professional attitude and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6: 263-269, 2006.
  5. Kim HJ: (A) Study on the image of the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000.
  6. Cho KJ, Kang HS: Study on self-concep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14: 63-74, 1984.
  7. Kalisch BJ, Kalish PA: Improving the image of nursing. Am J Nurs 83: 48-52, 1983.
  8. Mendez D, Louis M: College student's image of nursing as a career choice. J Nurs Educ 30: 311-319, 1991.
  9. Lim JE: The predictors of dental hygienist image among student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6.
  10. Lee SE: A study on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 direction for clinical education: focused on maternity nursing practic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7: 333-348, 2001.
  11. Lee SH, Kim SY, Kim JA: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Adm 10: 219-231, 2004.
  12. Yang JJ: Nurses' image perceived by student nurses before and after their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9: 64-72, 2003.
  13. Kim YH: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16: 307-315, 2009.
  14. Lee YM: Factors related to clinical laboratory students' satisfaction of clinical clerk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1991.
  15. Hwang MY, Lee SM: A study of dental hygienists' image impressed o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Bulletin of Dongnam Health College 21: 117-125, 2003.
  16. Yang IS: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determinants the image. J Korean Acad Nurs Adm 4: 289-306, 1998.
  17. Kang BW: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Acad Dent Hyg Educ 6: 1-12, 2006.
  18. Moon MS: Nursing students' initial clinical experience. J Korean Acad Soc Nurs Educ 4: 15-27, 1998.
  19. Cho SH: A study on the image of dental hygien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2000.
  20. Lee KH: Mediation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powerlessness and nursing image. J East-West Nurs Res 16: 26-34, 2010.
  21. Han JJ: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fficacy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2.
  22. Kim EH, Oh YH: An investigational stud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J Korean Acad Soc Nurs Educ 6: 186-198, 2000.
  23. Youn HJ, Jung JO, Lee KH: Dental hygienist image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J Korean Soc Dent Hyg 12: 781-792,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2.12.4.781
  24. Lee KH, Yoon MS, Ha MO: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mage of dental hygienist. J Korean Soc Dent Hyg 10: 831-839, 2010.
  25. Choi OS, Ahn GS, Kim HJ: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n performan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15: 182-189, 2015. https://doi.org/10.17135/jdhs.2015.15.2.182
  26. Kelly LY: Nursing image: a question of identity. Nurs Outlook 28: 202, 1980.

Cited by

  1. Ethical dilemma and related factors in some clinical dental hygienists vol.16, pp.2,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2.321
  2. Influencing factors on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field in dental hygiene students vol.16, pp.3, 2016,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3.391
  3. 치기공과 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vol.38, pp.4, 2015, https://doi.org/10.14347/kadt.2016.38.4.353
  4.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전·후에 대한 만족 정도와 실습 후 진로의사 및 행동과의 관계 vol.17, pp.2,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2.271
  5. 치위생과 학생의 윤리성향, 자아존중감, 임상실습 만족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vol.9, pp.6, 2015, https://doi.org/10.15207/jkcs.2018.9.6.261
  6.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 자아개념간의 관련성 연구 vol.18, pp.3,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3.399
  7.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내용에 따른 실습방법 및 수행 정도 vol.5, pp.2, 2015, https://doi.org/10.17703/jcct.2019.5.2.123
  8. 치위생(학)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vol.19, pp.6, 2015,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89
  9.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성격유형이 임상실습에 미치는 영향 vol.10, pp.7, 2015,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7.176
  10. 예비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vol.20, pp.4, 2020, https://doi.org/10.13065/jksdh.20200038
  11.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 vol.11, pp.4, 2015,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4.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