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mote Observatory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in Science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15.10.05
  • Accepted : 2015.10.27
  • Published : 2015.10.31

Abstract

This paper aims at shaping remote observatory system environment for schools, developing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using that system and applying it to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order to figure out effects on their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and attitude. in order to figure out effec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using remote observatory program on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and attitude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est was conducted on gifted students class of 5th grade in A Elementary School(15) and those of 5th grade in B Elementary School(20). The summary of this paper'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mpose remote observatory system, an astronomical telescope available for remote control to transfer actual observed images in real-time was manufactured. Second, learning program for using remote observatory system wad developed by selecting contents through analysis of the curriculum. Third, in order to figure out effec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using remote observatory program on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and attitude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s a result, both of basic investigation ability and integrated investigation abilit, sub-elements of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combining basic and integrated investigation abil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well. Effect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applying remote observatory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its sub-elements, openness, collaboration, patience and creative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curiosity, critics and volunteer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초등과학영재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구축한 후, 이를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과학영재에게 적용하여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A초등학교와 B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학생 35명을 대상으로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본 결과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 기초탐구능력과 통합탐구능력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탐구능력과 통합탐구능력을 종합한 과학탐구능력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소로는 개방성, 협동성, 끈기성, 창의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기심, 비판성, 자진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원격천문대 시스템을 활용한 천체관측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지구 외부 세계와 학습자가 분리된 채 이루어진 천문교육을 스마트 인프라의 적용을 통해 참여와 공유, 융합을 구현하여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근(1994). 천체관측자료의 활용을 통한 탐구력 신장 방안. 현장교육 연구논문 발표대회 연구 보고서, 1-46.
  2.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5-6학년), (주)금성출판사.
  3.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4. 김인철(2013). 초등학생의 일일 과학 체험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남대학교.
  5. 백상호, 이재호(2015).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사)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2), 73-78.
  6. 신명렬, 이용섭(2011a).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7. 신명렬, 이용섭(2011b). IM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 개발.적용이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1(2), 337-356. https://doi.org/10.9722/JGTE.2011.21.2.337
  8. 양종우, 김현문, 김희수(2013). 인터넷 기반 원격천체관측 시스템 개발. 현장과학교육 연구논문, 7(2), 77-84
  9. 유병욱(2012), 천문 중심 현장체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10. 채동현(2000). 천체관측을 통한 학습이 천문성취도, 천문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8(2), 79-101.
  11. 한제준(2010).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천체관측 경험 실태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주교육대학교.
  12. Lelliott A., & Rollnick, M (2010). Big ideas: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aserch 1974-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nomy concepts in the planetari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3), 1771-1779. https://doi.org/10.1080/09500690903214546
  13. Subramaninam, K., & Padalkar, S. (2009). Visualization and reasoning in expla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https://doi.org/10.1080/09500690802595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