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age of Winter Trees in Choi Ha-Rim’s Poems

최하림 시의 겨울나무 이미지

  • Published : 20150000

Abstract

This thesis selects the image of winter trees in Choi Harim’s poemsand analyzes how his deliberation on history, nature, or scenes changeand also the symbolic systems of his poems. The winter tree imageappearing in Choi Harim’s early poems is closely associated withself-denial. It is the very process to discover love towards ‘us’ throughwinter trees and find out the existence of ‘me’ within that. In his laterpoems, he figures out how to respond to nature through winter treesand draws questioning with ‘why’ and learns ‘how beings dream ofwinter’ there.His poetic journey is to reflect himself on ‘winter trees’ standingscanty and bare and discover the process or scene of self-denial to seekfor himself and the exposure of us within the severe historical reality.Therefore, this researcher sees that in his early poems, bare and blackwinter trees appearing excessively often among many other kinds oftrees of four seasons would be the product of his personal fragmentedconsciousness that cannot help but being alienated from the history andsociety. Also, in his mid- and late poems, these winter trees are givingoff vigor gradually, and it may be because his consciousness ofreturning to the source that is exhibited at the rear of the scene doeswork.Accordingly, this article analyzes his early poems from theperspective of ‘self-denial’s poetics’ and his late poems from theperspective of ‘a scene’s poetics’ or ‘affection’s poetics’ respectively.With this, the researcher stresses the fact that the winter tree imagefound in his poems mirrors the process of finding the existence of ‘me’in the collective relationship represented by ‘us’ that is the development of history or community and the process of dialectical introspection toquestion what ‘we’ and ‘source’ really are at the rear of a personalscene again.

이 논문은 최하림의 시에서 겨울나무 이미지를 일별하여 역사와 자연 또는 풍경에 대한 그의 사유의 변모 과정과 시적 상징체계를 분석한 것이다. 최하림의 초기시에 등장하는 겨울나무 이미지는 극기와 긴밀한 관계를 가진다. 그것은 겨울나무를 통해 ‘우리’에 대한 사랑을 발견하고 그 속에서 ‘나’의 실존을 찾는 과정이다. 후기 시는 겨울나무를 통해서 자연에게서 감응하는 법과 ‘왜’라는 질문법을 이끌어내며, 거기서 ‘존재하는 것들의 겨울 꿈꾸기’를 배운다. 그의 시적 여정은 바로 빈약하고 앙상한 채로 서 있는 ‘겨울나무’에 자기 자신을 비춰보며 엄혹한 역사 현실 속에서 자기 자신과 우리 존재의 드러남을 모색하는 극기의 과정 혹은 풍경의 발견에 있다고 하겠다. 그래서 이 논문은 초기시에서 사계절의 나무 중에서 앙상하고 검은 겨울나무가 압도적으로 출현하는 이유를 역사와 사회 속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는 개인의 파편화된 내면의식의 산물로 본다. 또한 후기시에 접어들면서 차츰 이 겨울나무에 생동의 기운이 감도는 것은 풍경의 배후에 드러나는 근원으로의 회귀의식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본다. 따라서 이 논고는 그의 초기 시를 ‘극기의 시학’, 그리고 후기 시를 ‘풍경의 시학’ 혹은 ‘자애의 시학’이라는 관점으로 각각 분석했다. 이를 통해 그의 시에 나타나는 겨울나무 이미지는 역사 발전과 공동체라는 ‘우리’로 표상되는 집단적인 관계에서 ‘나’의 실체를 찾는 과정과 다시금 개인적인 풍경의 배후에서 ‘우리’와 ‘근원’이 무엇인가를 묻는 변증법적인 성찰의 과정임을 역설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