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guideline and outcome about powered wheelchair u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동휠체어 적용 지침 및 성과

  • Kim, Mijung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Kim, Seoeun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
  • Ma, Hyunjeong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Ilsa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 김미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김서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 마현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일산직업능력개발원)
  • Received : 2015.07.01
  • Accepted : 2015.08.03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Purose :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of guideline and expressing outcome about powered wheelchair u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 : The chosen studies were 38 published in Korea or abroad from 2000 to 2014, and the key research is 2 review articles among them. And 19 studies were used by first search and 2 review articles to find outcome factors and categorize followed ICF terminology. Moreover, 2 studies were analysed to find the guidelines about powered wheelchair u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 : All reviewed researches were published abroad. These suggested that powered wheelchair us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idn't affect delayed development but many advantages. And they recommended checking information about the guideline, child, parents and environmental support befor applying the powered wheelchair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lso, they usually used participation level to express outcome about powered mobility use. Conclusion : The power wheelchair was useful means of mobility for children who were delayed movement, and it was important strategy to apply the powered wheelchair early for promote children's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normally. Finally, professionals needed to intervene contextual approaches concerning children's families and environment, also institutional and social effort.

목적 : 본 연구는 이동에 제한이 있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동휠체어 적용 시 고려해야할 지침과 적용 성과의 표현에 포함되는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2000년 이후 2014년까지 게재된 국 내외 논문을 검색하여 1차 검색된 38편의 논문 중 포함준거에 따라 체계적 문헌연구 2편을 핵심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1차 검색 및 핵심 논문 2편에 고찰대상으로 포함된 18편의 논문 전문을 검토하여 성과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ICF에 따라 분류하였다. 논문 검색에는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의 원문정보서비스와 구글 학술검색을 이용하였다. 또한 아동 대상의 전동휠체어 적용 지침을 알아보기 위한 문헌 2편을 추가로 검토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지침을 포함하여 고찰한 문헌 19편은 모두 해외 문헌이었다. 이 문헌들은 공통적으로 장애아동에게 전동휠체어를 적용 시 다양한 이점이 있으며 발달 저해 등의 우려는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었다. 또한 적용 전 확인해야할 장애 아동 및 부모의 특성, 환경적 지원 등을 규정하면서 지침에 따라 성공적인 전동휠체어 적용을 권고하였다. 또한 각 문헌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전동휠체어 적용성과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와 변수를 ICF의 각 요소로 분류한 결과 참여 수준의 성과를 주로 다루고 있었다. 결론 : 독립적 이동이 제한된 장애아동에게 전동휠체어는 유용한 이동 수단이며 전동휠체어의 조기 적용은 정상적인 발달과 참여를 위해 중요한 전략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뿐 아니라 아동 주변의 사람과 환경을 포함한 맥락적 접근이 필요하며 법 제도적, 사회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