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관광 위성계정의 작성방법

A Methodological Approach of Estimating Rural Tourism Satellite Accounts

  • 김현숙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 서영창 (공주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종상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Kim, Hyeon-Suk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eo, Young-Cha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Jong-Sang (Faculty of Regional Development,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5.08.25
  • 심사 : 2015.09.20
  • 발행 : 2015.09.30

초록

Recently, the demand of rural tourism has been increased to promote farm household income and rural economy.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to promote rural tourism. One of the most difficult tasks in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tourism industry is how the industry should be defined in terms of an economic sector, since tourism is not defined in national Input-Output (I-O) tables or in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code. Moreover, there is no specified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for rural tourism. The purpose of the study aims to examine specified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of rural tourism using the I-O model analysi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s of rural tourism.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wo components considered as inputs. One is the inputs that final demand can move to input of rural tourism in I-O tables. The other is one that the final demand was provided by farm household as intermediate inpu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신겸. (2005). 농촌관광과 문화마케팅전략. 문화경제연구, 8(1):81-95.
  2. 김성혁 & 손태환. (1999). 관광산업의 구조경로분석. 관광학연구, 23(1):87-103.
  3. 농촌진흥청. (2014). 2014 도시민 농촌관광실태조사.
  4. 문화관광부. (2000). 한국 관광위성계정 개발.
  5. 박시현, 김용렬, 권인혜 & 류경선. (2012). 농촌관광의 새로운 방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서정헌 & 손대현. (2001). 산업연관표에서 관광을 산업으로 규정하는 새로운 접근. 관광학연구, 25(1):9-26.
  7. 손은호, 박덕병 & 윤준상. (2014). 농촌관광 육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1(3):155-179.
  8. 손태환 & 임은순. (2007). 산업연관분석과 관련된 두가지 연구 제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관광활동의 내생화와 Ritz-Spaulding 승수분석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1(6):313-330.
  9. 이강욱 & 최승묵. (2003). 관광산업의 지역경제 기여효과분석.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10. 이강욱. (2010). 관광산업의 경제효과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1. 조록환. (2003). 농촌관광사업 지역의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한국관광공사. (1993). 관광산업의 국민경제 파급효과에 관한 투입-산출분석. 서울: 한국관광공사.
  13. 한국관광연구원. (2000). 한국 관광위성계정 개발. 서울: 한국관광연구원.
  14. 한국관광연구원. (2010). 2008년 기준 한국관광위성계정 KTSA. 서울: 한국관광연구원.
  15. 한국은행. (2015). 2013년 산업연관표. 서울: 한국은행.
  16. OECD. (1999). Guidelines for a tourism satellite account. Paris: OECD.
  17. Smith, S. L. J. (1994). The tourism product. Annals of Tourism Research, 21(3), 582-595. https://doi.org/10.1016/0160-7383(94)90121-X

피인용 문헌

  1. 농촌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vol.23, pp.3, 2015, https://doi.org/10.12653/jecd.2016.23.3.0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