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 (2006-2014), 줄기세포연구시행 계획(각년호).
-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 (2006-2014),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각년호).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줄기세포 R&D 투자 재점화 - 줄기세포 유망 연구팀 6개 선정, 60억원 지원 -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2009),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안)
- 권기창.배귀희 (2006), "과학기술정책의 거버넌스 변화",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0권 3호, pp.27-53.
- 강명구.김학재.이성민. (2006). 애국적 열망과 숭고한 과학.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31-453.
- 김동광 (2005). "무대 위의 과학". 과학기술학연구, 5(2), 23-47.
- 김병수 (2011),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과학관리 전공 박사학위 논문.
- 김병수 (2014), 한국생명공학 논쟁, 알렙.
- 김은성 (2009),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위험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신기술 및 신종재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 김은성 (2010), 짙은 정책학: 탈실증주의 정책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정책학회보, 제19권 4호, pp.155-176.
- 김종영 (2006), [특집-과학기술학 (STS) 자들이'황우석 사건'을 본격 분석하다] 복합사회현상으로서의 과학과 과학기술복합동맹으로서의 황우석, 역사비평, pp.82-114.
- 김종영 (2007), 황빠현상 이해하기: 음모의 문화, 책임전가의 정치, 한국사회학 제41권 6호, pp.75-111.
- 김종영 (2011), 대항지식의 구성 :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한국사회학 제 45권 1호, pp. 110-153.
- 김환석 (2006), 황우석 사태의 원인과 사회적 의미, 경제와사회, 제71호, pp.237-255.
- 박진희.김명진.조아라 (2011), 한국의 과학기술 시민참여, 평가와 과제, 시민의 과학, 사이언스북스. pp.123-160.
-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2호, pp.1-47.
- 배그린.강민아 (2013),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보건행정학회지, 제23권 4호, pp.314-325.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07), Bio-Vision 2016.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2010-2013),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 (각년호).
- 서이종 (2005), 배아복제의" 공중의 이해" 와 인터넷 공론, 과학기술학연구, 제5권 1호, pp.125-148.
- 성지은 (2006), 과학기술정책결정구조의 변화 : 참여정부의 과학기술 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4권 1호, pp.243-264.
- 송위진 (2012),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시민참여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pp.217-234.
- 손향구 (2009), "국내 줄기세포 정책연결망 분석 : 1997-2005", 고려대학교 대학원 : 과학기술학 협동과정 과학관리 전공 박사학위논문
- 식품의약품안전청(2010),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전망 그리고 쟁점, (2010.11.18.)
- 식품의약품안전청(2011), 줄기세포치료제 심사평가 가이드라인(안).
- 식품의약품안전청(2012),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2-3호, (2012,02.16)
- 식품의약품안전처(2014), 식약처,'차세대 줄기세포기반제제 평가 연구 사업단' 운영 - 올해부터 4년간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2014.02.27.)
- 식품의약품안전처(2014), 줄기세포치료제 평가 가이드라인.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2014), 공고 제2014-134호줄기세포치료제 심사 평가 가이드라인.(2014.12.02.)
- 윤석환.강근복 (2003), 대형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의 체계적 도입 방안,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4호, pp.15-76.
-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사회적 조정으로서 거버넌스,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4호, pp.321-338.
- 이영희 (2007). 황우석 사태는 얼마나 한국적인가?, 과학기술학연구, 제7권 2호, pp.23-46.
- 이영희 (2010), 핵폐기물 관리체제의 국제비교- 기술관료적 패러다임 대 과학기술사회론적 패러다임, 경제와 사회 제 85호, pp.67-92.
- 정병걸 (2007), 관료적 조직 경쟁과 기획의 과잉-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4권 1호, pp.65-86.
- 정병걸.성지은 (2005), 과학기술과 상징 정치- 참여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1호, pp.27-4.
- 조성겸.조은희.윤정로 (2009), 생명과학 이슈에 대한 한국 여론의 특성, 사회과학연구, 제20권 1호, pp.169-187.
-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6), 줄기세포 기술경쟁력 현황 및 대안전략.
- 디지털타임즈 (2009), '국내 줄기세포 연구 불 지피나 ',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31202011357731002, (2009.03.12.)
- 매일경제 (2009), '줄기세포, 美는 대통령이 나서는데...,'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09&no=173407, (2009.03.19.)
- 매일경제 (2017), 줄기세포연구 다시 불 붙인다...10년간 4300억원 투자,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544876, (2007.10.09.)
- 서울경제 (2009), '자칫하단 '줄기세포 식민지' 전락 우려', http://economy.hankooki.com/lpage/entv/200906/e2009062617545494230.htm, (2009. 06.26)
- 서울경제 (2011), MB "줄기세포 지원 신속.과감하게" , (2011.09.16.), http://economy.hankooki.com/lpage/politics/201109/e2011091617571096380.htm.
- 세계일보 (2009), '줄기세포 연구 지원 적극 나서야', http://www.segye.com/content/html/2009/03/13/20090313003550.html, (2009.03.13.)
- 중앙일보 (2009), '오바마 지원에 미국 급성장 ... 외국 배아줄기세포 연구의 현주소 -일본.유럽도 한국보다 앞서,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3590411&ctg=(2009.04.30.)
- 파이낸셜뉴스 (2007), 침체 줄기세포 연구 재도약 나선다, http://www.fnnews.com/news/200710091418056861?t=y, (2007.10.09.),
- 한겨레 (2009), '줄기세포 경쟁력 10위권 밖...투자 절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366551.html (2009.07.19.)
- Collingride, D., Reeve, C. (1986), Science Speaks to power : the role of the expertise in policy making. London: Frances Printer.
- Dryzek, J. S. (1990), Discursive Democracy: Politics, Policy and Politic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iorino, D. (1990), Citizen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Risk: A Survey of Institutional Mechanisms, Science Technology Human Values, Vol 15 No. 2, pp. 226-243. https://doi.org/10.1177/016224399001500204
- Fischer, F. (2000), Citizen, Experts, and the Environment.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 Funtowicz, S., Ravetz, J.(1992). Three Types of Risk Assessment and the Emergence of Post Normal Science in S. Krimsky and D. Golding eds.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 Herbert G, Triendl. R. (2006). South Korean policy failure and the Hwang debacle. Nature Biotechnology. Vol. 24, pp.141-143. https://doi.org/10.1038/nbt0206-141
- Irwin, A. (1997), Valley of Fear. Ulverscroft Large Print Books Ltd.
- Irwin, A. (2008), "STS Perspectives on Scientific Governance." in E. J. Hacket, O. Amsterdamska, M. W. Lynch, J. Wajcman and W. E. Bijker. eds.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pp. 583-607, Cambridge, MA: MIT Press.
- Jessop, B.(2000), Governance Failure in G. Stoker(ed.),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 pp.11-32. St, Martin Press.
- Kim, S. H. (2013), The Politic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Contesting National Sociotechnical Imaginaries, Science as Culture, Vol. 23 No.3, pp.293-319. https://doi.org/10.1080/09505431.2013.860095
- Konrad, K. (2010), Governance of and by expectations. Tentative Governance in Emerging Science and Technology. Actor Constellation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Strategies. Enschede: University of Twente, pp.67-77.
- Rajan, K. (2006), Biocapital : The Constitution of Postgenomic Life.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 Rose, N.,(2007), The Politics of Life Itself. Biomedicine Power and Subjectiv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Wohn, D. Y. (2012), "Korea okays stem cell therapies despite limited peer-reviewed data", Nature Medicine, Vol 18 No.3, pp.329-329.
- Yoon, J. R., Cho, S. K., & Jung, K. W. (2010), The challenges of governing biotechnology in Korea,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Vol 4 No. 2, pp.335-348. https://doi.org/10.1215/s12280-010-91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