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구도완 (2013), 환경사회학의 쟁점, 경제와사회 제100호, pp.273-91.
- 김기흥 (2012),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아시아리뷰 제2권 제2호, pp. 43-63.
- 김은성 편저(2009),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위험거버넌스: 신기술 및 신종재난을 중심으로, 범문사.
- 김은성 (2011), 나노.융합기술의 지식 거버넌스 분석 및 안전관리전략 연구, KIPA 연구보고서 2011-27, 한국행정연구원.
- 김정선 (2011),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인식, 보건복지Issue& Focus 제117호 (http://www.kihasa.re.kr/html/jsp/public/public_01_01.jsp).
- 김정해 (2009),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정부대응체계 구축: 녹색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 박병옥 (2007), 시민운동 전환의 필요성과 방향, 2007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책포럼 자료집.
- 박순열 (2010), 한국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인식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4호 제2호, pp. 7-52.
-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 1-47.
- 변정욱 외 (2011), 이동통신시장 단말기 가격형성 구조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11-진흥-다-20.
- 산업통상부 (2014), 신재생에너지백서.
- 안세웅.이희선 (2011), 태양광 및 풍력단지의 개발에 따른 환경적, 사회적 문제 분석 및 대응방안, 환경정책연구 제10권 제3호, pp. 3-20.
- 앨런 어윈, 김명진.김병수.김병윤 옮김 (2011), 시민과학: 과학은 시민에게 복무하고 있는가?, 당대[Irwin, A. (1995), Citizen Science, Routledge.]
- 울리히 벡, 박미애.이진우 옮김 (2010), 글로벌 위험사회, 도서출판 길[Beck, U. (2007), Weltrisikogesellschaft, Frankfurt: Suhrkamp Verlag.]
- 이병천 (2003), 샹탈 무페, 시티즌십이란 무엇인가, 시민과세계 제3호, pp. 374-378.
- 이영희 (2010), 참여적 위험 거버넌스의 논리와 실천, 동향과전망 제79호, pp. 281-314.
- 이영희 (2014),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두 유형과 전문성의 정치:과학기술 대중화 정책과 '차일드세이브'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제92호, pp. 174-211.
- 이해진 (2012),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경제와사회, 제96호, pp. 43-76.
- 임영신 외 (2013), 국가와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계강화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월드리서치 (2008), 기후변화 대응 대국민 인시기도 조사(2차) 결과보고서, 환경부.
- 정인경 (2014), 1970-1990년대 미국 여성건강운동의 전개를 통해서 본 전문지식권력과 시민권의 정치. 한국여성학 제30권 제2호, pp. 233-265.
- 조성배 (2014), 가로림 조력발전소 건설갈등의 장기화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제4권 제2호, pp. 36-79.
- 현재환.홍성욱 (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2호, pp. 33-79.
- 홍덕화.이영희 (2014), 한국의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시티즌십:유형과 특징,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8권 제1호, pp. 7-44.
- 황나미.장인순.박승미.채수미 (2013), 2012년도 난임부부 지원사업 결과분석 및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 Arnason, V. (2012), "Scientific citizenship in a democratic societ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22, No. 8, pp. 927-40. https://doi.org/10.1177/0963662512449598
- Blue G. & Medlock, J. (2014), "Public engagement with climate change as scientific citizenship: a case study of world wide views on global warming". Science as Culture. Vol. 23, No. 4, pp. 560-79. https://doi.org/10.1080/09505431.2014.917620
- Davies, K. & Wolf-Phillips, J. (2006), "Scientific citizenship and good governance: implications for biotechnology". TRENDS in Biotechnology. Vol 24, No. 2, pp. 57-61. https://doi.org/10.1016/j.tibtech.2005.12.007
- Frankenfeld, P. (1992), "Technological citizenship: a normative framework for risk studi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pp. 459-484. https://doi.org/10.1177/016224399201700403
- Funtowicz, S. & Ravetz, J. (1999), "Post-Normal Science: an insight now maturing," Futures Vol. 31, pp. 641-646. https://doi.org/10.1016/S0016-3287(99)00023-3
- Irwin, A. (2001), "Constructing the scientific citizen: science and democracy in the bioscienc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0, No. 1, pp. 1-18. https://doi.org/10.1088/0963-6625/10/1/301
- Jasanoff, S. (1990), The fifth branch: science advisers as policymaker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Mejlgaard, N. (2009), "The trajectory of scientific citizenship in Denmark: Changing balances between public competence and public participation",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36, No. 6, pp. 483-496. https://doi.org/10.3152/030234209X460962
- Renn, O. (2008), Risk Governance: Coping with Uncertainty in a Complex World. London: Earthscan.
- Rose, N. (1993), "Government, authority and expertise in advanced liberalism", Economy and Society, Vol. 22, No. 3, pp. 283-299. https://doi.org/10.1080/03085149300000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