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간 Ro-Ro 부두 수요 및 적정 규모 추정

Estimation of Demand for and Proper Capacity of Ro-Ro Berths in Korea-Japan Trade

  • 김율성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이경남 (한국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 강달원 (한국해양대학교)
  • 투고 : 2015.08.07
  • Accepted : 2015.09.21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기업들의 국제물류체계는 물류비용과 시간의 절감뿐만 아니라 물류의 부가가치 창출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급속히 발전할 전망이다. 글로벌 공급체인 운영방식인 Ro-Ro 운송은 운송시간의 정확성, 비용절감, 신속성, 안전성 향상 등에서 경쟁력이 높아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일간 교류 물동량 분석을 통해 Ro-Ro 부두 조성의 적정 수요와 규모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일간 Ro-Ro선의 운항속도에 근거한 운항거리를 바탕으로 1권역과 2권역으로 구분하여 부산항과의 물동량(컨테이너와 일반화물)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물동량을 바탕으로 Ro-Ro선 이용 가능성이 높은 품목의 비중을 추정한 후 한일간 Ro-Ro 부두의 이용가능 물동량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2만톤급 2개 선석과 장치장 10만$m^2$ 정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항에 Ro-Ro 전용 부두 조성을 통해 컨테이너 일변도의 항만정책을 탈피하고, 글로벌 기업들의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International logistics systems for cross-border trading aim not only to reduce costs and time, but also to maximize added value. For accuracy of shipping time, cost reduction, rapidity, and safety improvement, demand for Ro-Ro shipping as a global supply chain operating system has increased. To anticipate these demands, this study estimates the optimal demand and scale of Ro-Ro berth construction by analyzing shipping volumes between Korea and Japan. Based on Ro-Ro shipping speeds and distanc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hipping volume (container and general cargo) of Busan port is sorted into two separate zones. After analyzing the ratio of items that have great potential benefits from using Ro-Ro shipping, we estimate possible shipping volumes using Ro-Ro berth provision. The results reveal that two berths for 20,000t vessels are additionally required to accommodate the estimated volume. Results suggest the construction of an exclusive Ro-Ro berth in Busan port. This would not only accommodate the demand between Korea and Japan, but also provide a way to avoid the lean-to-one-side port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관세청.한국관세무역개발원(2010-2014), 수출입물류통계 연보.
  2. 김상현.김남철.김효철.이승회(2008), "목포-제주 해상물류 분석에 기초한 연안운송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4권 제3호, 235-240.
  3. 김율성.김상열(2011), "항만 배후부지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집 제4호, 73-90.
  4. 김율성.허윤수.이은진.금성근(2011), "부산-큐슈지역 연계운송체계 활성화 방안", 부산발전연구원.
  5. 김율성(2012), "한일해협권 Ro-Ro 부두 및 공동물류센터 조성 기초연구", 동아시아물류동향 7/8월호, 부산발전연구원.
  6. 김율성(2011), "글로벌 기업의 물류전략 변화와 부산시의 대응", BDI 포커스, 부산발전연구원.
  7. 물류신문(2011), "일본의 서플라이체인 재구축과 시사점", 2011. 11. 17.
  8. 부산광역시(2011),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글로벌기업 유치전략 설계".
  9. 신동선(2008), "한중일 연계 트럭일관수송체계 구축", 한국교통연구원.
  10. 오용식.구경모(2015), "한중 및 한일 카페리항로의 시장 여건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1집 제2호, 1-21.
  11. 조계석(2002), "Ro-Ro 화물선의 경제적 효과", 월간해양 수산, No. 219,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2. 해양수산부(2006), "전국 무역항 항만배후단지 개발 종합 계획".
  13. 해양수산부(2006),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정비(안)".
  14. Rodrigue J., P. Comtois C. and Slack B(2006),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New York: Routledg.
  15. 부산본부세관(http://www.customs.go.kr)
  16. 부산항만공사(http://www.busanpa.com)
  17. 해운항만물류정보센터(http://www.spid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