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여자대학교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conversation structure on Talking Culture("說漢語 淡文化") that is one of the conversation textbooks about Chinese culture and investigate Chines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from a integration point of view among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for improving upon the problems on Talking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efore analysing and investigating, considered the concept of language socialization on learn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and on the basis of it, analysed the conversation structure of Talking Culture. And then this study examined how we should organize the structures and contents when making conversations in Chinese textbook related with culture in compared with the Chinese textbook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when composing a conversation textbook with culture, we not only need to pay attention not to have an inclination for conversation structure, but need to make use of the contents in Chinese literary and culture works for organizing convers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among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본고는 문화 소재 중심의 중국어 회화교재인 "설한어(說漢語) 담문화(談文化)(이하 담문화(談文化))"의 대화구조 분석을 토대로 문화를 다루는 방향성을 성찰하고 언어 사회화란 관점에서 어 문 문화 통합성을 지향하는 교재생산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 사회화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교실에서 이뤄지는 외국어 교육과정에서의 사회화에 대해 고찰해본다. 그리고 사회화의 기본 가정중 하나인 언어와 문화 간 관계를 성찰하기 위해 회화교재의 출판경향과 문화 중심의 회화서인 "담문화(談文化)"의 기술 방향 및 회화 속 역할 분담의 경향을 분석한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보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한국과 일본의 문화교재를 검토하고 인문 통합적 성격의 회화교재 생산을 제안한다.
Supported by : 서울여자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