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sthuman Queer Body in Ghost in the Shell (1995)

<공각기동대>의 현재성과 포스트휴먼 퀴어 연구

  • Received : 2015.08.05
  • Accepted : 2015.09.08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An unusual success engendering loyalty among cult fans in the United States, Mamoru Oshii's 1995 cyberpunk anime, Ghost in the Shell (GITS) revolves around a female cyborg assassin named Motoko Kusanagi, a.k.a. "the Major." When the news came out last year that Scarlett Johansson was offered 10 million dollars for the role of the Major in the live action remake of GITS, the frustrated fans accused DreamWorks of "whitewashing" the classic Japanimation and turning it into a PG-13 film. While it would be premature to judge a film yet to be released, it appears timely to revisit the core achievement of Oshii's film untranslatable into the Hollywood formula. That is, unlike ultimately heteronormative and humanist sci-fi films produced in Hollywood, such as the Matrix trilogy or Cloud Atlas, GITS defies a Hollywoodization by evoking much bafflement in relation to its queer, posthuman characters and settings. This essay homes in on Major Kusanagi's body in order to update prior criticism from the perspectives of posthumanism and queer theory. If the Major's voluptuous cyborg body has been read as a liberating or as a commodified feminine body, latest critical work of posthumanism and queer theory causes us to move beyond the moralistic binaries of human/non-human and male/female. This deconstruction of binaries leads to a radical rethinking of "reality" and "identity" in an image-saturated, hypermediated age. Viewed from this perspective, Major Kusanagi's body can be better understood less as a reflection of "real" women than as an embodiment of our anxieties on the loss of self and interiority in the SNS-dominated society. As is warned by many posthumanist and queer critics, queer and posthuman components are too often used to reinforce the human. I argue that the Major's hybrid body is neither a mere amalgam of human and machine nor a superficial postmodern blurring of boundaries. Rather, the compelling combination of individuality, animality, and technology embodied in the Major redefines the human as always, already posthuman. This ethical act of revision-its shifting focus from oppressive humanism to a queer coexistence-evinces the lasting power of GITS.

본 논문은 <공각기동대>의 주인공인 사이보그 여전사 쿠사나기 소령에 초점을 맞춰, 포스트휴머니즘과 퀴어이론의 시각에서 <공각기동대>를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비평에서 쿠사나기 소령의 몸이 여성해방의 상징으로 극찬 받거나, 아니면 그 성적 함의로 인해 여성성의 상품화란 비난을 받았다면, 포스트휴머니즘과 퀴어 이론은 인간/비인간, 남성(성)/여성(성)이란 이분법을 넘어 소령의 몸을 보다 급진적으로 해석할 여지를 준다. 즉, 이분법의 해체를 통해 이미지에 함몰된 현실 속에서 과연 현실이라는 것이 얼마나 "현실적"이며, 현실 속의 다양한 대립범주들이 얼마나 인위적인 것인지 재고해 보게 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의 틀로 본다면, 쿠사나기 소령의 몸은 현실 속 여성상의 "반영"이라기보다 그 자체로 존재의의를 지닌 아니메 속 허구 존재, 인간/비인간, 여성/남성의 범주에 속하는 대신 SNS와 정보화사회 속에 점점 내면을 잃어가는 현대인의 불안을 구현해주는 혼종적 존재이다. 많은 포스트휴머니즘 이론가과 퀴어 이론가들이 경고하듯, "포스트휴먼"이나 "퀴어"란 용어는 너무도 종종 인간중심적 사고를 재확인하기 위해 대중문화텍스트에서 남용된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며, 본 논문은 소령의 혼종적 몸이 인간과 기계의 결합이기에 의미 있는 몸이라고 단순하게 주장하거나, 혹은 피상적인 포스트모던 읽기를 통해 경계를 넘나드는 해방적 몸이라고 미화하지 않을 것이다. <공각기동대>가 거두고 있는 성취는, 소령의 몸 속에 어지럽게 구현되고 있는 개인성, 동물성, 그리고 기술의 결합이 인간이 "언제나, 항상" 포스트휴먼적 존재였음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다. 본 논문은 <공각기동대>가 유려한 영상을 통해 그려내는 이러한 인식의 전환, 즉 억압적인 인간중심 휴머니즘에서 퀴어한 존재들과의 공존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윤리적 함의를 지녔음을, 그리고 이러한 윤리적 시도가 바로 이 영화의 가장 핵심적인 성취이자 지속적인 매력임을 주장하려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외국어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