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 분석

The Analysis Level of Implementation b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 Care Teachers

  • 유희정 (한신대학교 심리아동학부)
  • 투고 : 2015.06.15
  • 심사 : 2015.10.17
  • 발행 : 2015.10.31

초록

본 연구는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행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계수 방법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결과 첫째,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특히 실행 및 지원인식은 이론적 근거 및 성격과 높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만3~4세 누리과정에서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역시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실행수준의 평가와 관계가 있으며 실행 및 지원의 만족도는 자료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 실행 및 지원 인식은 실행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평가 실행수준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alysis level of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of age 3 ~ 4 child-care teachers. It recognized general tendencies about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 among level of implementation and perception, satisfaction of the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care teachers. And it also recognized the effect of level of implementation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 survey was therefore administered to 264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oung-gi do. The collected data were by mean, standard deviation for recognize general tendency about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ther data were by pearson 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general perception on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care teachers were a littl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teacher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Specially perception of practice and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oretical basis and character. Secondly, general tendency of satisfaction were above average, and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and teacher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Specially satisfaction of curriculu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ssessment and practice and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ing material. Thirdly, the practice and support perception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teacher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and satisfaction of curriculum exerted influence on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 level of implemen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녀 (2012).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와 실행수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부.
  3. 권은희, 성영혜 (2012). 누리과정 담당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벤처창업연구, 7(4), 187-200.
  4. 김경옥 (2013).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관심 및 적용정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청구학위논문.
  5. 김말숙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 비교.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소라 (2014).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지침서에 대한 이해수준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순영 (2005).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은미 (2014).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실천적 지식 및 교사효능감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지희 (2014). 3.4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행수준에 따른 유아의 누리과정 성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남정달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적용실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노정미 (2013).만5세 누리과정 도입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류아영 (2014).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만족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문연심, 양성숙 (2015). 3-5세 누리과정 시행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만족도와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아동복지학, 49, 1-23.
  14. 문지현 (2014).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이 누리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만옥 (2004). 보육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박승렬 (2008).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지은 (2013).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배혜자 (2008). 영유아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서은주, 홍순옥 (200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아동교육, 18(3), 37-54.
  20. 손수연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 및 프로그램 평가.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신문희 (2014). 누리과정 교사의 전문성, 교육과정 운영 및 직무만족도 관계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신장미 (2008).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안선희 (2012). 유아 보.교육 일원화 체제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교사와 학부모 인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안정미 (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어은희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전문성 지각 수준과 직무 만족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유수정, 강문숙, 김석우 (2013). 누리과정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에 관한 연구. 어린이문학연구, 14(4), 435-458.
  27. 윤명희 (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이기섭 (2010). 유아교육 보육 이원화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수영 (2012). 만5세 누리과정 교사들의 누리과정 이해와 교사 효능감, 직무 만족도 비교.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윤옥 (2012). 누리과정 교육연수 경험과 근무기관 형태에 따른 5세 누리과정의 영역별 목표와 세부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6(3), 103-124.
  31. 이정욱, 양지애 (2012). 5세 누리과정 정책과 교육내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4), 167-192.
  32. 이한은 (2008).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실행정도와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임미정 (2013). 누리과정 유아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사례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전혜미, 서영숙 (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방과 후 아동지도, 9(1), 23-35.
  35. 정계숙 (2013). 누리과정 실시에 대한 교사 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조숙영, 이용주 (2014).유아교사의 경력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실행수준 및 요구. 아동교육, 23(3), 425-446.
  37. 조은주 (2012).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지성애, 홍혜경, 정정희, 이민정, 고영미 등 (2014).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과 발전방안. 유아교육연구, 34(4), 5-34.
  39. 태성란 (2013). 유아교사의 5세 누리과정 실행 수준 및 실행시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허유진 (2007).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현상원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수준.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황세림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및 적용과정,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홍혜라 (2013).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Marsh. C. J., & Willis, G. (2003).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3rd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45. Ornstein. A. C., & Hunkins, F. P.(2004). Curriculum: Foundation, principles, and issues, Boston, MA: Pearson Education.
  46. Purula, A. (2000).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education in twelve countries. Curriculum and Teaching, 15(2), 29-48. https://doi.org/10.7459/ct/15.2.03
  47. Roseveare, D., & Taguma, M. (2011). Investing in high-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KOREA policy forum, 6-26.

피인용 문헌

  1. An Aanalysis of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 Teacher's Perception of the Nuri Curriculum Based on Curriculum Autonomy and Diversity vol.11, pp.1, 2015, https://doi.org/10.5718/kcep.2017.1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