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중국·일본·미국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in Korea, China, Japan, and USA

  • 투고 : 2015.06.03
  • 심사 : 2015.09.21
  • 발행 : 2015.09.30

초록

본 연구는 글로벌 초등수학교육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4개 국가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면밀하게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형 영역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a of Korea, China, Japan, and USA, as a part of efforts to compose contents of global elementary mathematics. This paper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mathematical contents in the domain of geometry. On the basi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this paper included implications that are expected to be informative in the revision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8].
  2. 김도한, 박혜숙, 이재학, 김홍종, 백석윤, 박경미 외 13인(2009). 2009년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3. 김선희, 박경미, 이환철(2015).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 수학교육, 54(1), 65-81.
  4. 김지원, 박교식, 이정은(2014). 2011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CCSSM 비교.분석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79-295.
  5. 박경미, 권오남, 박선화, 박만구, 변희현, 강은주 외 5인(2014). 문.이과 통합형 수학과 교육 과정 재구조화 연구 최종보고서. 교육부.
  6. 방정숙, 황현미(2010). 입체도형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49-568.
  7. 신준식(2011). 핀란드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초등수학교육, 14(3), 225-236.
  8. 신항균, 황혜정(2006). 영국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도형과 측정 영 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5(4), 407-438.
  9. 이종영(2005).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공간감각 내용에 관한 고찰. 학교수학, 7(3), 269-286.
  10. 일본문부과학성(2008). 소학교학습지도요령. 동경: 대장성인쇄국.
  11. 임해미, 김부미(2014).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학교수학, 16(2), 259-283.
  12. 임현수, 강홍재(2010). 한.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37-353.
  13. 정영옥(2004). 쌓기나무 단원 지도 방안 탐색-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과서와 미국의 MIC 교과서 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7(2), 75-101.
  14. 정영옥(2007). 네덜란드의 초등학교 기하 교육과정에 대한 개관. 학교수학, 9(2), 197-222.
  15. 조윤동, 운용식(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수학교육학연구, 24(10), 45-65.
  16. 중국교육부(2011). 전일제의무교육 수학과정표준. 북경: 북경사범대학 출판사.
  17. 황혜정(2008). 미국 조지아주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수와 연산 및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29-654.
  18.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2010). Common core standards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wp-content/uploads/Math_Standards.pdf
  1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