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validity of reference points for edentulous patient

무치악 환자를 위한 참고점들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 Park, Jeong-Ja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yung-Jo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정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
  • 김명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Received : 2015.06.25
  • Accepted : 2015.10.08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reference points for edentulous patient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teeth and face, and intraoral anatomic landmarks.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a facial outline, length, bizygomatic width, nasion - gnathion length, glabella - nasion distance in 270 men and 280 women satisfied with inclusion criteria from Seoul National School of Dentistry. The shap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mesiodistal crown width and length of maxillary 6 incisors, distance from incisive papilla to labial surface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perpendicular distance from incisive papilla to intercanine line were measured in the stone model. We analyzed the ratio and relevant relation statistically. Results: The probability on having the same shape of face and the relative same shape maxillary incisor was 55.56% and 46.43% for men and women. The facial length proved to be a more valuable measurement in women in the tooth selection. The ratio of bizygomatic width to mesiodistal width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the ratio of bizygomatic width to width of maxillary 6 incisors were 16.8 : 1 and 3.0 : 1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 distance of the canines from the maxillary incisal papilla was $1.33{\pm}1.28mm$.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incisal papilla and the labial surface of their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9.23{\pm}1.20mm$. Conclusion: It was showed that anatomical reference points in tooth selection and arrangement for edentulous patient are useful and have validity in our limited study.

목적: 한국 성인 유치악자를 대상으로 치아와 안모 사이의 크기 및 형태적인 상관관계, 구강 내 해부학적 기준점들과 치아배치 양상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총의치 제작 시 무치악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기준점들의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학교 치의학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상악 6전치가 정상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성인 남성 270명 여성 280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악안면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는 외과적 치료를 받은 경우, 교정치료를 받은 경우, 선천적으로 상악 전치부 치아 형태 및 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상악 전치부 치관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수복치료를 받은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항목은 안모의 외형, 협골궁 폭경, 안모의 길이, 상악중절치의 형태 및 장경, 상악6전치의 치관 폭경, 견치간 거리, 절치유두 중심에서 중절치 순면까지의 거리, 절치유두 중심에서 양견치 첨단을 지나는 선까지의 수직거리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안면계측항목과 모형계측항목간의 비율 및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모의 외형과 상악 중절치의 형태가 일치하는 비율은 남성 55.56%, 여성 46.43%, 전체 50.91%이었다. 1) 협골궁 폭경과 상악중절치 폭경, 상악6전치 연합폭경의 비율은 각각 16.8 : 1, 3.0 : 1이며 통계적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2) 상모학상 안모의 길이(Trichion-Gnathion)와 상악중절치 치관 장경, 코뿌리점-턱끝융기점간 거리(Nasion-Gnathion)와 상악중절치 장경과의 비율은 각각 19.7 : 1, 11.6 : 1이었고 남성에서는 코뿌리점-턱끝융기점간 거리가, 여성에서는 안모의 길이가 더 큰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절치유두 중심과 양 견치첨단을 연결하는 선 사이의 수직거리는 $1.33{\pm}1.08mm$이었다. 4) 절치유두 중심에서 중절치 순면까지의 거리는 $9.23{\pm}1.20mm$이었다. 결론: 총의치 제작에 사용되는 기준점들은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경우에도 통계적으로 효용성을 가지며, 중요한 해부학적 지표가 임상적으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수치에서 차이를 보이고 개별적인 편차를 가지므로 인공치아의 선택이나 배열 후 환자의 동의를 받는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Williams JL. A new classification of human tooth forms, with special reference to a new system of artificial teeth. Dent Cosmos 1914;56:627-8.
  2. Sears VH. An analysis of art factors in full denture construction. J Am Dent Assoc 1938;25:3-12.
  3. Sears VH. Principles of anterior tooth selection principles and technics for complete denture construction. St. Louis: C.V. Mosby Co; 1949. p. 198-234.
  4. Sears VH. Selection of anterior tooth for artificial dentures. J Am Dent Assoc 1941;28:928-35.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41.0155
  5. Wright WH.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artificial teeth for complete prosthetic dentures. J Am Dent Assoc 1936;23:2291-307.
  6. DeVan MM. The appearance phase of denture construction. Dent Clin North Am 1957;2:255-68.
  7. Krajicek DD. Simulation of natural appearance. J Prosthet Dent 1962;12:28-33. https://doi.org/10.1016/0022-3913(62)90004-5
  8. Berry FH. Is the theory of temperaments the foundations of the study of prosthetic art? Dentist's Mag 1906. p. 405-13.
  9. Pound E. Personalized Denture Procedures. Anaheim: Denar Co; 1973, p. 22.
  10. Hong KT. A statistical study on the vertical dimension in Korean. J Korean Dent Assoc 1973;11:739-44.
  11. Yun SD, Kim CH. A statistical study on distances between the biometric landmarks of the face and the size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Acad Stomatol funct Occlu 1982;2:29-46.
  12. Lim SC, Lee BW, Chio MK, Kim KH. The Bolton's tooth ratio analysis in Korean. J Korean Dent Assoc 1978;16:219-24.
  13. Yamanda E.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Japanese teeth. J Nippon Dent Assoc 1932;25:15-46.
  14. Scandrett FR, Kerber PE, Umrigar ZR. A clinical evaluation of techniques to determine the combined width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 J Prosthet Dent 1982;48:15-22. https://doi.org/10.1016/0022-3913(82)90041-5
  15. Young HA. Selecting the anterior tooth mold. J Prosthet Dent 1954;4:748-60. https://doi.org/10.1016/0022-3913(54)90041-4
  16. Kern BE. Anthropometric parameters of tooth selection. J Prosthet Dent 1967;17:431-7. https://doi.org/10.1016/0022-3913(67)90140-0
  17. Schiffman P. Relation of the maxillary canines to the incisive papilla. J Prosthet Dent 1964;14:469-72. https://doi.org/10.1016/S0022-3913(64)800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