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between Numerical Results of 1D Beam and 2D Plane Stress Finite Element Analyses Considering Aspect Ratio of Cantilever Beams

캔틸레버보의 형상비에 따른 1차원 보와 2차원 평면응력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비교

  • Kang, Yoo-Jin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 Sim, Ji-Soo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 Cho, Hae-Sung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 Shin, Sang-Joon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강유진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 심지수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 조해성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 신상준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 Received : 2015.04.20
  • Accepted : 2015.06.25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There exist different kinds of aircrafts, such as conventional airplane, rotorcraft, fighte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Their shape and feature are dependent upon their own assigned mission. One of the fundamental analyses performed during the aircraft design is the structural analysis. It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requires severe computations because of the recent complex trends in aircraft structure. In order for efficiency in the structural analysis, a simplified approach, such as equivalent beam or plate model, is preferred. However, it is not clear which analysis will be appropriate to analyze the realistic configuration, such as an aircraft wing, i.e., between an equivalent beam and plat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limitation for both the one-dimensional beam analysis and the two-dimensional plate theory. Thus, in this paper, the static structural analysis results obtained by EDISON solvers were compared with the three-dimensional results obtained from MSC NASTRAN. Before that, EDISON program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from MSC NASTRAN program and other analytic solutions.

항공기는 목적에 따라서 민간 항공기, 무인항공기, 전투기, 헬리콥터 등 다양한 항공기가 존재한다. 이 각각의 항공기는 특정한 목적에 맞게 형상 및 설계가 된다. 특히 항공기 개발과정에서 중요한 해석과정 중 하나가 구조해석이다. 하지만 항공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3차원 모델로 구조해석을 하게 되면 시간과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해석 효율성을 위해서 1차원 등가 보나 2차원 평면 응력 조건을 이용하여 실제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모델링한다. 하지만 이런 모델링은 실제 구조와 차이가 있으므로 실제 구조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구조형태에 따라서 1차원 등가 보와 2차원 평면응력 조건을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EDISON에 업로드 된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차원 구조해석과 2차원 구조해석을 검증하고 구조형태에 따라서 1차원 해석과 2차원 해석을 각각 3차원 MSC NASTRAN 구조해석과 비교하여 적절한 해석방법을 찾고자 한다. 비교결과 길이 대 높이 비가 증가할수록 1차원 해석과 3차원 해석의 오차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이 비율이 18보다 증가하였을 때는 1차원 해석이 2차원 해석보다 3차원 해석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aul, A.L. (2008) Simple Beam Theory, Department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ecture note, http://web.mit.edu/16.unified/www/SPRING/materials/Lectures/M4.4-Unified09.pdf (accessed Apr., 1, 2015)
  2. Carlos, A.F. (2004) 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 Methods, Ch 14.
  3. Francis, I.B. (1981) When is a Beam a Plate?, Communications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C-86.
  4. Vanam, B.C.L., Rajyalakshmi, M., Inala, R. (2012) Static Analysis of an Isotropic Rectangular Plate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FEA), J. Mech. Eng. Res., 4(4), pp.148-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