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dapt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도시와 농촌 지역의 차이

  • Received : 2015.05.07
  • Accepted : 2015.06.15
  • Published : 2015.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regarding the effect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s marriage adaptatio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on their quality of the lif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s and families for different areas of residence. This is in order to serve as the preliminary data for prepar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are suited to different areas of residence, so that the quality of lif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may be improved. This study is a correlational research that targeted 304 marriage immigrant wome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148 in urban areas, 156 in rural area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spouses and families, marriage adaption, and the quality of life were lower in rural than in urban areas and that support from spouses and families, and marriag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r all areas of residence. Also,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upport from spouses and families in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dapt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Also, it appeared that this moderating effect was more important in rural than in urban area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at customize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each area of residence be developed so that regardless of the area, migrant women will be able to lead a marriage well and live a fulfilling life.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거주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적응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거주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거주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04명(도시 148명, 농촌 156명)이다. 연구결과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 삶의 질은 농촌이 도시보다 낮았고, 거주 지역별 배우자 및 가족지지, 결혼적응도는 삶의 질과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도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배우자 및 가족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었고, 도시보다 농촌에서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거주지역과 상관없이 결혼이주여성이 결혼생활을 잘 영위하여 풍요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농촌과 도시의 특성에 맞는 거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배우자지지, 가족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해 볼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법무부, 출입국 통계연보, 2012.
  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12월, 2014.
  3. 한국여성복지회, 가족복지론, 청목출판사, 2005.
  4. 통계청, 혼인통계, 2012.
  5. 고은주,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권복순, 차보현, "농촌지역 코시안 가정주부의 의 사소통 능력. 문화적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109-134, 2006.
  7. 임아리, 결혼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8. 김정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보건복지부, 다문화가족의 중장기 전망 및 대책연구 : 다문화가족의 장래 인구추계 및 사회경제적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2009.
  10. 이혜정, 외국인 며느리를 두고 있는 농촌노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1. 보건복지부,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2005.
  12. 양승민, 한국적 다문화상담의 모색을 위한 농촌 지역 결혼이민여성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3. 김수정, 직장-부부의사소통에 따른 직무만족, 결혼생활만족 및 삶의 질-Work & Lifebalance 관점에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신정현, 결혼이주 여성의 가족 및 정서심리적 특성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G. S. Jeong, Y. H. Kim, K. E. Park, E. A. Lee, J. H. Park, and S. A. Lee, Current status and Policy development for social support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in Kyeonggido, Kyeonggido, K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2007.
  16. 박명희, 김창숙, 서영숙, 서희숙, 노현신,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우울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12권, 제2호, pp.67-88, 1998.
  17. 최경숙, 여성 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지지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8. 임효영, 김경신,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 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39권 제12호, pp.189-203, 2001.
  19. 정의정, 하규수,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 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22-2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22
  20. 김혜자,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건강 교육 요구와 삶의 질",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5-11, 2008.
  21. F. Faul, E. Erdfelder, A. Buchner, and A. G. Lan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1, No.4, pp.1149-1160, 2009.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2.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23.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21
  24. G. B. Spanier,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8, pp.15-28, 1976. https://doi.org/10.2307/350547
  25. 이민식, 김중술, "임상분과: 부부관계 적응척도의 표준화 예비연구",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91-299, 1995.
  26.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대한신경정신학회지, 제39권, 제3호, pp.78-88, 2000.
  27. 남인숙, 안숙희,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9-108, 2011. https://doi.org/10.4069/kjwhn.2011.17.2.99
  28.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9. 양순미, 유영주, "농촌부부의 배우자에 대한 역할기대, 역할수행평가, 역할상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1호, pp.75-91, 2002.
  30. 박미정,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민여성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1. 이혜경,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제28권, 제1호, pp.73-106, 2005.
  32. 한건수, "농촌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 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95-243, 2006.
  33. 김진희, 박옥임,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 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제18집, 제1호, pp.127-160, 2008.
  34. 김한곤,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경북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제19집, 제1호, pp.83-120, 2009.
  35. 윤명숙, 이해경,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제32권, pp.103-135, 2011.
  36. 이지혜,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관계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7. S. T. Che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the planning and evaluation of program",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1, pp.123-143, 1988. https://doi.org/10.1016/0149-7189(88)90003-1
  38. 최징자, 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9. 박재규, "농촌과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결정 요인 및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제15권, 제1호, pp.7-33, 2013.
  40. 김희옥, 결혼이주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김해시를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1. 성도경, 이지영,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제22권, 제3호, pp.749-772, 2010.
  42.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 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제21권, pp.1-36,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