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t Views of the US and Korea about Mathematical Terminologies, 'Ratio' and 'Rate'

수학용어에 대한 논쟁을 통해 본 비(比)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관점차

  • Kim, Soo Mi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5.07.15
  • Accepted : 2015.08.03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 shape of confusion surrounding mathematical terminologies, 'ratio' and 'rate' in both the US and Korea and to get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For this, various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and materials for kids and teachers, dictionaries, educational internet web sites, the past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s and etc are reviewed with respect to the terminologies related to 'ratio' and 'rate'. As a resul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US and Korea have different views with ratio and rate. Secondly, Korean terminologies related to ratio and rate are not enough to treat the essentials of the concept of ratio and rate.

이 연구는 비(比) 관련 수학용어를 둘러싼 혼란이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혼란의 실체를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미국의 수학교과서, 교사교육용 교재, 사전, 수학전문 인터넷 사이트, 한국의 역대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등 다양한 출처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비(比) 관련 수학용어들을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비(比) 관련 수학용어를 사용함에 있어 미국과 한국이 상이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한국 초등교육과정에 포함된 수학용어 '비'와 '비율' 만으로는 비(比)에 내재된 본질적 속성을 다루기에 부족한 면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 2007-79호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IV).
  2. 교육인적자원부(2002). 수학6-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선희, 김경희(2009). 교육과정에 근거한 TIMSS 2007 공개 추이문항의 정답률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9(1). 99-120.
  4. 김성희, 방정숙(2005).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초등학교 '비와 비율' 단원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5(3). 251-272.
  5. 문교부(1954). 셈본 5-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6. 문교부(1956).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 문교부(1962).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8. 문교부(1965a).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문교부(1965b).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박교식(2011). 수학용어 다시 보기: 다시 보기 시리즈 2. 서울: 수학사랑
  11. 박희옥, 박만구(2012). 비와 비율 학습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론적 장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제 15권 제 2호. pp. 159-170.
  12. 장혜원(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 비의 값과 비율 개념의 구별에 대한 논의. 학교수학 제 4권 제 4호. pp. 633-642.
  13. 정은실(2003). 비 개념에 대한 교육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제 13권 제 3호, 247-265.
  14. 한국사전연구원(1994). 최신 수학사전. 서울: 교육문화원.
  15. Bassarear, T.(2001).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6. Freudenthal, H. (1983).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17. Monroe, E. E.(2006). Math dictionary. Boyds Mills Press, Inc.
  18. Math League(2015) (http://www.themathleague.com/index.php/about-the-math-league/mathreference?id=80)
  19. Math Forum(2015) (http://mathforum.org)
  20. Math Planet(2015) (http://www.mathplanet.com/education/pre-algebra/ratios-and-percent/rates-andratios)
  21. Math Steps(2015) http://www.eduplace.com/math/mathsteps/6/e/)
  22. Merriam-Webster(2015) (http://m-w.com/)
  23. Morror, P., Connelly, R., Jones, D., & etc(2006). Math Makes Sense grade 6. Pearson Education Canada Inc.
  24. The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Mathematics Project(1999). Everyday mathematics: teacher's reference manual, grade 4-6. Chicago : Everyday Learning Corporation.
  25. Thomson, P.(1994)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speed and its relation to concepts of rate. In G. Harel & J. Confrey(Eds.). The development of multiplicative reasoning in the learing of mathematics(pp.179-234). Albany, NY:Sunny Press.
  26. Van de Walle, J. A. (1998).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3rd Ed.). Addison Wesley Longma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