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 비교

A Comparison of Resilience and Task Commit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Non-gifted Students

  • 투고 : 2015.09.30
  • 심사 : 2015.11.30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을 비교하고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은 어떤 상관이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교육지원청부설영재교육원 초등학생 6학년 55명, 단위학교의 영재학급 초등학생 6학년 77명, 그리고 초등과학영재와 같은 지역의 초등학교 일반학생 5학년 14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회복탄력성 검사도구는 류형선(2013)의 검사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과제집착력은 신복진(2007)이 제안한 하위요인에 대한 검사도구를 각각 수집하여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세 집단 간에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분량분석과 $Scheff{\acute{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에서 일반학생, 영재학급 초등과학영재, 영재교육원 초등과학영재의 순으로 회복탄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에 대한 $Scheff{\acute{e}}$ 사후검증에서 영재학급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과 뚜렷하게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 사이에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 간에 회복탄력성 및 과제집착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회복탄력성과 과제집착력의 상관관계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between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non-gifted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2 gifted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or gifted classes and 147 non-gifted students, all of whom were in the 6th grade. In order to examine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 5-point Likert scale-styl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mong groups,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Scheff{\acute{e}}$ test.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mong group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between students of gifted classes and ordinary elementary studen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students of gifted classes. Second, task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belonged to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non-gifted students. Third, there were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task commitment among the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정영미 (2015). 학교 규모별 초등단위 영재 학급 교육대상자 선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6(2), 157-175.
  2.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교육부.
  3. 김우경, 김응준 (2012). 여가활동참여 대학생들의 몰입상태 척도의 타당화. 한국체육학회지, 51(3), 295-303.
  4. 김재권 (2005). 영재아의 창의적 성격 특성과 과제 집착력 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6.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 위즈덤하우스.
  7. 김학준, 여상인 (2014). 영재교육기관별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흥분성과 사회적 자아개념 비교. 과학교육연구지, 38(2), 401-414.
  8. 류형선 (2013). 수.과학영재선발을 위한 회복탄력성의 활용 가능성. 창의력교육연구, 13(3), 91-106.
  9. 박미진, 이용섭 (2011). 과학영재학생의 학습동기와 과제집착력과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4), 961-977.
  10. 송인섭 (2010). 영재판별의 타당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단계 복합 판별방법. 아동교육, 19(4), 49-61.
  11. 신복진 (2007). 교육용게임에서 학습자의 사회성에 따른 인간 기계 상호작용성이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신우열, 김민규, 김주환 (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20-131.
  13. 신우열, 최민아, 김주환 (2009). 회복탄력성의 세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학보, 26(3), 43-81.
  14. 윤경미, 김정섭 (2006). 영재판별의 새로운 변인 : 문제발견력. 교육심리연구, 20(3), 587-604.
  15. 이병임, 이희수, 류형선 (2012). 과학영재들의 회복 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2(1), 155-178.
  16. 이상로, 변찬진, 진위교 (1989). 성격진단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7. 이신숙 (2013).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이용섭, 신명렬 (2013). UCC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메타인지와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4(1), 271-290.
  19. 이윤희 (2003). 온라인 탐구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전략, 학업성취도의 관게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재영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찬주, 주영아 (2014). 부모공감 및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대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121-145.
  22. 장정은, 김성원 (2014). 과학 영재의 과제집착력 특성 수준 측정을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57-666.
  23. 장정은, 정윤숙, 최양희, 김성원 (2013). 과학 영재들의 과제집착력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1-16.
  24. 정진숙, 최선영 (2015). 영재학생의 시험선발과 자동진급방법에 따른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9(2), 278-289.
  25. 정문호 (2008).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 평가 기준 개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홍현기, 김희송, 김진하, 김종한 (2012).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BSCS)의 타당화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31(4), 1193-1210.
  27.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28.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Y: Basic Books.
  29. Davis, G. A. & Rimm, S. B. (1998).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MA: Allyn & Bacon.
  30. Gallagher, J. J. (2004). On being a survivor, Poeper review, 27(1). 17-17.
  31. Jackson., S. A. & Marsh, H. W.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 17-35. https://doi.org/10.1123/jsep.18.1.17
  32. Kim, S., Murry, V. M., & Brody, G. H. (2001).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an application of second-order growth curve model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eattle, Washington, April 10-14.
  33. McClelland, D. C. (1985). Human Motivation. London: Scott, Foresman.
  34. Meece, J. L., Blumenfeld, P. C., & Hoyle, R. H. (1988).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4), 514-523. https://doi.org/10.1037/0022-0663.80.4.514
  35. Midgley, C, Kaplan, A., Middleton, M., Maehr, M. L., Urdan, T., Anderman, L. H., Anderman, E., & Roser, R. (199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assessing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Contemporary education psychology, 23(2), 113-131. https://doi.org/10.1006/ceps.1998.0965
  36.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G J. E. Davidson. Conception of giftednes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https://doi.org/10.1023/A:1009429218821
  38. Reivich, K., & Shatte A. (2003). The Resilience Factor. NY: Breadway Books.
  39.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https://doi.org/10.1111/j.0022-3506.2004.00263.x
  40. Taylor, R. I. & Sternberg, I. (1989). Exceptional children: integration research and teaching. College of Education. Florida Atlantic Univ. Boca Ro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