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Physical Education on Self-Efficacy of th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과학·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6.06
  • Accepted : 2015.07.29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physical education on self-efficacy of the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o,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during the 8 hours on two subjects, we investigated the cause and effect through the pre-post test of self-efficacy and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it would have a meaningful effect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gifted students who performed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physical education convergence. Especially, the results of 'confidence', 'difficulty preferences' was statistic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physical education enhanced confidence and challenge of consciousness of students. Especially, when products of gifted students are applied to real-world valued the higher confidence. Therefore, we foun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gifted students' self-efficacy, gifted education program is configured by applying the products to the actual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그래서 초등영재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2주제 8시간의 과학 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자아효능감 검사와 면담을 통해 영향과 원인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체육 융합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 체육 융합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영재 학생들에게 자신감과 도전의식을 심어줄 수 있으며 특히 산출물이 실제 현장에 적용될 때 자신감을 더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영재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출물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 단계까지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김태훈 (2014). 초등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영재교육연구, 24(6), 1025-1038.
  2. 김금화, 박기수, 유미현 (2014). "비행기" 주제의 과학영재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실험활동에 대한 태도,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8(2), 415-429.
  3. 김동일, 이윤희, 전호정, 오정수 (2014).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중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와 특성 분석: 다층메타분석을 통한 효과크기 검증. 열린교육연구, 22(4), 161-180.
  4. 김미진 (2012).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 비교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5. 김종백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19-32.
  6. 김주현 (2001). 과학영재의 다중지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 김주효, 전선혜 (2013). 방과 후 체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2(6), 143-153.
  8. 김홍정, 홍옥수, 조향숙, 임성민 (2013). 융합인재교육(STEAM) 실시에 따른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변화 분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13(3), 269-289.
  9.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 981-1001.
  10. 박기문 (2014).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234-257.
  11. 박미진, 서혜애, 김동화, 김지나, 남정희, 이상원, 김수진 (2013). 과학.수학 영재의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 성향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3(5), 697-713.
  12. 박아름 (2014). 아동의 체육영재활동 참여에 따른 체력과 인지능력의 변화.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3. 서주희, 신영준 (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과학교육논총, 25(1), 1-14.
  14. 신은희 (2014).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인재 양성을 위한 수학교과와 체육교과와의 통합 교수 학습자료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30(5), 7-1
  15. 안혜란 (2015).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6. 엄복순, 정미경 (2008) 초등실과 바느질 단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논총, 24(2), 115-137.
  17. 오상표, 김영식 (2010). 정보과학교육: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강점지능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1), 137-142.
  18. 우희정 (1994). 아동의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12(2), 60-67.
  19. 이미송, 김방출 (2012). 음악줄넘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18(2), 135-144.
  20. 이영재 (1997). 다중지능이론의 교육학적 의의. 발달장애연구, 1(1), 135-148.
  21. 이호선 (2004). 초등학교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에 따른 아동의 자아효능감 변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2. 이현미, 김아운, 홍영식 (2010). 초등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나만의 온도계 만들기'. 교과교육학연구, 14(3), 453-467.
  23. 유수창, 홍경선 (2012). 초등 영재학생들의 다중지능 특성 탐색. 과학영재교육, 4(3), 198-206.
  24. 정남숙 (2014). 동기강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기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학연구, 21(1), 135-154.
  25. 정상윤, 손정주 (2013).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지구와 달" 단원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7(2), 359-373.
  26. 정희선, 신현기 (2007).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 기반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읽기 이해와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8(3), 117-142.
  27. 최보라 (2013). 영재학생들의 창의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합인재교육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8. 최선철 (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간의 체격과 체력 비교.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9. 최유미, 문영순 (2014). 키넥트기반 요가 콘텐트를 통한 효과적인 체육과 과학의 융합교육에 관한 연구-초등대상 예체능 핵심역량 함양 교육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3(4), 153-169.
  30. 태진민 (2014).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4), 703-728.
  3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스포츠랑 과학이랑.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32. 현동걸, 이명수, 신애경, 임성만, 김성운, 양경식 (2014). 인터랙티브 아트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흥미와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8(3), 691-702.
  3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4. Eden, D., & Aviram, A. (1993). Self-efficacy training to speed reemployment :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3), 352-360. https://doi.org/10.1037/0021-9010.78.3.352
  35. Lamb, J. R., Householder, C. E., & Bailey, D. L. (2000). Integrating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in middle school technology-rich environments: A study of implementation and chang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1), 27-3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0.tb17317.x
  36. Martocchio, J, J. (1994). Effects of conceptions of ability on anxiety, self-efficacy, and learning in train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6), 819-825. https://doi.org/10.1037/0021-9010.79.6.819
  37. Ross, W. M., Hogaboam-Gray, A. (1998). Integratio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ffects on students. International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20(9), 1119-1135.
  38. Sherer, M., Maddux, J. E., Merca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 663-671.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