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과학의 본성 분석

Analysis of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투고 : 2015.06.04
  • 심사 : 2015.08.04
  • 발행 : 2015.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이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우선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 8종을 새롭게 도입된 학년군과 내용 영역에 따라 과학사의 도입 자료와 제시형태를 도출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과학사와 관련된 내용을 박세기, 이기영, 이면우(2011)가 개발한 3차원 조합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사의 도입 내용을 분석하고, Leite(2002)가 개발하고 최윤희(2005)와 정고은(2013)이 수정한 분석틀을 보완하여 과학의 본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자료는 총 26개로 학년군 및 내용 영역별로 자료의 분포가 고르지 않았다. 둘째, 전체 48개의 3차원 조합 유형 가운데에서 오직 13개 유형만 사용되고 있어 특정 유형에 편중하여 과학사를 도입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사 자료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요소가 학년 및 영역별로 고르게 분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과학사를 통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서의 학년군과 내용 영역을 고려하여 다양한 유형의 과학사 자료를 도입해야 하고, 과학의 본성 요소를 적절히 반영하도록 교과서 도입에 있어 보다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frequency of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 8 kinds of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is analyzed by grade cluster and content part. Analysis framework for analyzing the introduced contents on the history of science was characterized with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of the context, the role and the types(Park, Lee, & Lee, 2011). Analysis framework for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was developed by Leite(2002) and revised by Choi (2005) and Kim(2010) and complemented under one expert in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 textbook is 26 and it were not equally distributed into science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grade cluster and content part. Second, with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framework only 13 kinds were used in all 48 different types through analyzing the textbooks. It implies that ways of introducing contents of history of science into textbooks were limited to certain types. Third, the nature elements of science were not equally distributed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conclus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the history of science and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ultimately, it implicates that it is need to present various kinds of the history of science for one theme in consideration about the grade cluster and content part. Also more multilateral approach is need to introduce equally distributed into textbooks to reflect the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 (2004). 과학사를 활용한 발견적 순환학습 모형과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3. 강유미, 신영준 (2011). 과학사를 활용한 수업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3), 330-339.
  4.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5. 교육과학기술부 (2011a).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1]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6. 교육과학기술부 (2011b).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9]에 따른 초중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7. 김경임, 이우붕(2010). 화학사적 교수법을 적용한 공명 개념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4(2), 342-358.
  8.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 (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 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89-99.
  9. 김나연 (2014). 과학교육에서 과학사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 김미경 (2001). 과학사를 도입한 국내외 과학교육 연구 경향의 비교 및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김선영 (2008). 과학의 본성 교수를 위한 과학사의 활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3), 266-274.
  12. 김지혜 (2011).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3. 동효관 (2004). 생물 I 교과서와 생물 II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자료의 유형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27-40.
  14. 박세기, 이기영, 이면우 (2011).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삼원 분석틀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사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1), 92-112.
  15. 박신규, 박영관, 김중욱, 정원우 (2010).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한국과학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4(2), 383-395.
  16. 신하윤, 신동희 (2012). 초.중등 과학 관련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사건 및 과학자 분석. 중등교육연구, 60(3), 665-698.
  17. 이봉우, 신동희 (2010). 제7차 교육과정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새물리, 60(5), 488-496.
  18. 이혜정 (2013).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에 제시된 과학사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 (1996). 과학사와 과학교육. 서울: 민음사.
  20. 이면우 (2003). 한국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교육의 가능성. 초등과학교육, 22(2), 211-225.
  21. 이현선, 유정문 (2004). 과학사 활용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물의 순환과 날씨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5(7), 565-575.
  22.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4).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 6차와 7차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23. 정고은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과학 교과서의 과학사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4. 정원우, 이우붕, 문장수, 김선하, 오동원 (2003). 과학사와 과학철학. 경북대학교 출판부.
  25. 조희형 (1994).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26. 최경희 (1996). STS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학사.
  27. 최경희, 김숙진 (2004).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 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28. 최윤희 (2005). 제 7차 초.중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9.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 (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21-239.
  30. 최취임, 여상인, 우규환 (2005). 7차 교육과정의 화학 II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20-827.
  3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The auther.
  32. Conant, J. B. (1953). On understanding science: An historical approach. Yale University Press.
  33. Jenkins, E. (1991).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 Retrospect and prospect,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4. Leite, L. (2002).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s. Science and Education, 11(4), 333-359. https://doi.org/10.1023/A:1016063432662
  35.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Toronto &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7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8.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71). NSTA position statement on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The Science Teacher, 38, 46-51.
  39. Rutherford, F. J., & Alhlgren, A.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Dover Publications.
  40. Rutherford, F. J.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9(6), 569-580.
  41. Seker, H. (2007). Levels of connect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pedagogical knowledge of history of scienc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conference. Calgary, CANADA.
  42. Wang, H. A. (1998). Science in historical perspectives: A content analysis the history of science in secondary school physics textbook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