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중등 과학 수업'에 대한 탐색: 대안학교 학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earch for a good secondary science classes: a case study of the alternative school students

  • Received : 2015.06.03
  • Accepted : 2015.07.28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위탁형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해보았다. 18명의 대안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심층면담, 그림그리기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들은 좋은 학교는 재미있는 학교, 학생의 의견을 존중해 주는 학교, 좋은 교사와 친구들이 있는 학교라고 언급했다. 둘째, 대안학교 학생들은 좋은 교사는 학생을 존중해 주는 교사, 학생과 소통하는 교사, 차별하지 않는 인간적인 교사라고 언급했다. 셋째, 대안학교 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은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수업이다. 본 연구의 활용 방안 및 후속 연구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안학교 학생들의 현재 대안학교와 교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학교 교사들의 학생들과의 대화, 인격존중, 학생들과의 인간관계를 정규학교에서도 잘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공교육이 개혁되어 입시위주 교육, 주입식 교육, 암기식 교육이 아니라 인간다운 인간을 기르는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둘째,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과학수업을 위해서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해서는 대안학교 수업 환경의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of a good secondary science classes. Subjects were 18 secondary students who enrolled in alternative school located in Korea.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8 items on 4 domains. Also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ep interviews and students' draw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explained that good school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esting and respectful atmosphere. Also there are good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y emphasized that good teachers are humanistic teachers. Third, good science classes are based on the constructivism in terms of the education method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necessary to remodel the merits of the alternative schools to solve the problem of public school. It is important to develop expertise of the science teachers in alternative school through teach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 learning space and various media for effecti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alternative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구(2007). 대안 중학교의 과학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제도권 내 대안 중학교를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인애(1995).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한 고찰. 한국교육공학회지, 11, 3-20.
  3. 강인애(1996). 구성주의 모델들의 특징과 차이점: 인지적 도제이론, 상황학습 이론, 인지적 유연성이론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12, 1-19.
  4. 강인애(1997).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대립에서 대화로. 한국교육공학연구회지, 13, 3-19.
  5. 강인애(2003).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문음사.
  6. 곽병선(2002).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회고와 발전 전망. 교육과학연구, 33(2), 1-19.
  7. 곽영순(2002). 과학과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8. 곽영순, 김주훈(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44-154.
  9. 권난주(2014). 과학 영상매체를 활용한 초등 융합형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38(1), 29-40.
  10. 권성연(2010). 좋은 수업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6(1), 185-215.
  11. 권용언(2005). 대안학교에서의 과학교육실태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고병헌(1998). 한국 대안교육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논총, 12, 250-287.
  13. 고용철, 김창건, 이상칠, 강동식(2014). 멘토링을 활용한 과학탐구 프로그램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제 1회 제주 과학탐구 아카데미 참여 학생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8(1), 1-14.
  14. 고형일, 이두휴(1998). 대안학교와 일반학교의 교육활동 비교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8(2), 127-162.
  15. 교육과학기술부(2007). 1997-2007 대안교육백서. 교육인적자원부.
  16. 교육과학기술부(2010). 학업중단학생 현황조사. http://www.mest.go.kr
  17. 구양삼(2007). MBL 과학실험에서 모둠유형에 따른 성취도와 학생들의 관점 연구. 과학교육논총, 32, 67-76.
  18. 김광수(2011).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위탁형 대안교육의 제도적 위상. 교육철학, 44, 1-23.
  19. 김경업(2010).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차이.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김남희, 김종백(2011).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5(4), 763-789.
  21. 김상우(2008). 서울특별시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의 과학교육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송일(2004). 대안학교에 대한 일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9(2), 27-43.
  23. 김영주, 차정호, 정철, 이정호(2010). 대안학교의 생태중심주의 환경교육 실태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34(2), 320-326.
  24. 김옥희(2006). 초등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과학 수업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김지혜, 임미연(2013). 대안학교 학생들의 과학수업 참여 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3(6), 1-26.
  26. 김재춘, 변효종(2005).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73-382.
  27. 노상우, 고현수, 권희숙(2010). 대안학교 학생의 교사만족도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문제연구, 15(1), 197-226.
  28. 노용, 이주연, 류지영, 이선아(2007). 박물관 교육의 기본. 미진사.
  29. 박세훈(2003). 한국의 자율학교에 미국의 차터스쿨 비교 연구. 교육학연구, 41(4), 207-229.
  30. 박승호(2004). 학습에 대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검토. 사회과학논총, 11, 141-153.
  31. 손연아, 지덕영, 김태훈, 이미혜, 민병미(2008). 재적 응형 대안교육 고등학교의 과학실험수업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분석-일반계 고등학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24(4), 257-279.
  32. 송수지, 이정미(2012).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기독교교육정보, 33, 1-59.
  33. 서정화, 김태연(2006). 대안교육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교육의 과정 평가. 인문과학, 14, 125-149.
  34. 서경혜(2004). 좋은 수업에 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35. 설진성, 강인애(2013). 활동이론에 근거한 초등교사의 구성주의 교육실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 353-382.
  36. 신영준(2007). 대안학교와 일반학교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발도로프 학교를 중심으로.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 35-43.
  37. 양일호, 최현, 임성만(2014).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10-20.
  38.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2009).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한국교육학연구, 15(1), 107-132.
  39. 오필석(2011). "채워지지 않는 잔": 초등 교사들에게 있어 과학 수업의 의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71-294.
  40. 오필석(2013).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405-424.
  41. 유리나(2009). 대안학교 과학수업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유옥현(2009). 학교 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REBT 집단프로그램모형개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윤기종(2008). 대안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탐구. 한국학술정보원.
  44. 윤미정, 최선영, 여상인(2011). 과학 수업 장면 그리기를 통한 교사와 학생의 수업 이미지 분석. 과학교육논총, 24, 21-35.
  45. 이경은(1998). 학교생활부적응 유형과 요인에 따른 학교사회사업서비스욕구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4(3), 276-305.
  46. 이병환(2008). 미국 대안교육의 다양화 경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 한국교육행정학회, 26(1), 163-188.
  47. 이선숙(2001). 대안학교와 학생들의 생활이야기. 교육과학사.
  48. 이자희(2013). 국내 대안학교의 과학교육 현황과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 및 운영 사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이자희, 유효숙, 김진희, 최경희(2013). 국내 비인가 대안학교의 과학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수도권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329-352.
  50. 이종태(1998). 대안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연구, 5(1), 85-102.
  51. 이풍길, 김수욱(2001). 특성과고교 대안학교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분석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3(2), 93-115.
  52. 이학동, 손연아, 노경임, 송진웅(1995). 과학교사 양성, 임용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53. 임재근(2006). 좋은 수업을 하는 과학교사의 수업 특성 및 전문성 발달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임재근, 양일호(2008). 초등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7(2), 93-101.
  55. 장혜지(2011). 현 과학교육의 문제점 개선 방안 및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정현주(2008).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관계 맺기: 위탁형 대안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 연구, 2(1), 109-135.
  57. 조영남(2008).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수업설계 모형 비교 연구. 중등교육연구지, 56, 67-92.
  58. 조용태, 이선숙(2000).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이념과 역사. 교육학논총, 21(1), 151-170.
  59. 지덕영(2005). 대안교육 특성화 고등학교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실제 과학 수업 비교 분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최지은, 신용주(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61. 태영철(2004). 대안학교에서이루어지는 과학교육의 실제에 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 하윤명, 이종이, 이준호(2012). 대안학교와 일반학교 학생들의 가정교과 인식에 관한 비교 연구-경기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4), 37-58.
  63. 한은숙(2002). 사회적 구성주의에 기초한 유아 교수학습 모델 탐색연구. 영유아교육연구학회지, 5, 49-63.
  64. 황준성, 이혜영(2010). 대안학교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교육법학연구, 22(1), 169-197.
  65. 한국교육개발원(1996). '새 학교' 구상: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 방안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RR 96-16.
  66. Brophy, J. (1999). Teaching, educational practices series. Monograph No. 1.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Available at http://www.ibe.usesco.org/International/Publications.
  67. Brophy, J. E. & Porter, A. (1987). Good Teaching: Insights from the work of the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Occasional Paper No. 114. Michigan State University.
  68. Cuban, L. (1998). How schools change reforms: redefining reform success and failure. Teachers College Record, 99(3), 453-477.
  69. Donovan, S, M., Bransford, D, J., & Pellegrino, W, J. (1999). How people learn: Bridging research and practic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70. Gagne, M., & Deci, E. L. (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 331-362. https://doi.org/10.1002/job.322
  71. Gowin, D. B. (1981). Educating.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72. Kumpulainen, K., & Wray, D. (2002). Classroom interaction and social learning. London: Routledge Falmer.
  73. Resnick, M., Berg, R., & Eisenberg, M. (2000). Beyond black boxes: Bringing transparency and aesthetics back to scientific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1), 7-30.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901_3
  74. Stake, R., & Easley, J. (1978). Cas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Urbana, IL: Center for Instruc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75.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76. Vygotsky, L.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77. Wenger, E. (1998).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78. Zermelman, S., Daniels, H., & Hyde, A. (1999). Best practice: New standar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merica's schools(2nd ed.). Portsmouth, NH: Heinem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