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영주댐 건설사업 영향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어류 흰수마자의 보전을 위하여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를 서식적합지로 이주시키고, 댐에 의한 내성천 상하류 단절 및 유전적 폐쇄에 대비하여 인공종묘생산 및 복원을 통해 내성천에 치어를 방류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영주댐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는 8회 이상 포획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이주가능지로 이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성천에서 포획한 친어 40개체를 통해 인공종묘생산한 치어 5,000개체는 친어의 유전 다양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전에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조건 분석을 통하여 자연 서식지와 유사한 최적방류지를 선정하여 인공종묘생산 치어를 방류하였다. 초기에는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분산이 이루어졌으나, 시간흐름에 따라 확산이 진행되면서 재포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포획된 방류 개체들은 내성천 자연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복부 팽만도가 높고 총배설공으로 배설물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자연 먹이 섭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영주댐 상하류 내성천 흰수마자 유전적 동질성 확보와 복원 개체군의 증강에 일차적 성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효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The conservation project to protect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was executed against declining the gene diversity of the fish after the construction of Youngju Dam in a sand-bed stream (Naeseongcheon Stream). We tried to move the populations of G. naktongensis from submerged planned sites to alternative habitats, bred artificially and augmented the juveniles to optimal habitat, and monitored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implementation. No entity of G. naktongensis was confirmed at the planned submerged sites despite attempting to capture more than 8 times and eventually the movement to alternative habitat could not be implemented. About 40 individuals of G. naktongensis were captured in the Naeseongcheon Stream and a total of 5,000 individuals were artificially spawned up. The population of juvenile inherited the genetic diversity from the brood stock. The bred juveniles were discharged at the selected optimal site that had a habit condition what was similar to their natural habitat. The micro-dispersion around the discharging area was found at the early stages of the augmentation. The re-capturing rate of discharged juveniles was reduced as time passed. The discharged juveniles seemed to adapt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Naeseongcheon Stream. The observation of their high abdominal distension and excrement demonstrated that the juveniles fed successfully in the discharging area. Therefore, securement of genetic homogeneity and enhancement of restoration population of G. naktongensi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Youngju Dam site from the artificial seed producing seemed to be primarily successful and long-term monitoring and analysis of the effect was expected to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