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Deokjeokdo (Ongjin-gun)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덕적도(옹진군) 및 인근 도서지역의 관속식물상

  • Kim, Hyun-Ju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 Ji, Seong-Ji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 Jung, Su-Young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 Park, Su Hyu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 Lee, Sle-Gee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 Lee, Chan-Woo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 Chang, Kae Sun (Division of Forest Biodiversity and Herbarium,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 김현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지성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정수영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박수현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이슬기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이찬우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장계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Received : 2015.01.29
  • Accepted : 2015.07.16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ntory the vascular plant flora in Deokjeokdo and its adjacent regions (Mungapdo, Soyado), Ongjin-gun, South Korea, from April to October 2014. Based on the voucher specimens,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consisted of 108 families, 362 genera, 578 species, 5 subspecies, 66 varieties and 4 forms, totally 653 taxa. In the flora of this area, 5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were found distributed in the sites, including Hepatica insularis Nakai and Asarum glabrata (C.S.Yook & J.G.Kim) B.U.Oh.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 taxa of Critical Endangered Species (CR) and 5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67 taxa comprising 3 taxa of grade V, 2 taxa of grade IV, 12 taxa of grade III, 3 taxa of grade II and 47 taxa of grade I. Naturalized plants consisted of 67 taxa, such as Chenopodium album L. and Erigeron annuus (L.) Pers. were recognized widely distributed in the area.

Keywords

서 언

덕적군도는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65 ㎞, 태안반도의 북서쪽 30 ㎞에 위치하며, 42개 도서(8개 유인, 34개 무인)로 형성되어 있다. 본 조사지역은 덕적군도 내 덕적도를 중심으로 문갑도, 소야도이며, 행정구역상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한다(Ongjin country office, 2015). 지리적으로 북위 37° 10' 23 " ~ 37°17' 33", 동경 126°05' 05" ~ 126°11' 40"에 위치하며, 면적은 덕적도 20.87 ㎢, 문갑도 3.49 ㎢,소야도 3.03 ㎢이다. 식물상 구성인자를 바탕으로 Lee and Yim (2002)이 제안한 한반도의 식물구계학적 위치로는 남해안아구의 북단에 해당된다. 이 지역의 최근 30년간(1981~2010년) 기후특성을 살펴보면, 연평균 값은 평균기온 12.1℃, 평균최고기온 16.4℃, 평균최저기온은 8.7℃, 강수량 1234.4 ㎜, 습도 68.6%로 나타났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덕적군도 내 덕적도는 국수봉(314 m)을 비롯하여 해발고도 200 m 이상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대부분 해식애, 해안사구, 모래해안이 잘 분포하고 있다. 문갑도는 깃대봉(276 m)을 중심으로 산지가 발달되어 있고, 해안지역은 해식애와 모래해안이 발달하였다. 또한 소야도는 국사봉(156 m)과 왕재산(142 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대부분 해식애로 이루어져 있다(Yoon and Park, 2009).

조사지역의 선행연구로는 자연보호중앙협의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덕적군도의 자연실태종합조사에 의해 Lee et al. (1982)이 덕적도, 문갑도, 소야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300분류군을 기록하였으며, Hyun and Park (2009a, 2009b, 2009c)은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해 덕적도, 문갑도, 소야도 일대에서 454분류군을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한편 증거표본을 명시한 문헌으로, Beck et al. (2010)은 덕적도 식물상 연구에서 535분류군을 보고하였다. 이들 문헌을 종합하면 본 조사지역 내 확인된 식물은 약 800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나, 배추(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 상추(Lactuca sativa L.), 시금치(Spinacia oleracea L.), 콩(Glycine max (L.) Merr.) 등 재배식물과 섬바디(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눈괴불주머니(Corydalis ochotensis Turcz.), 산파(Allium maximowiczii Regel) 등 분포여부가 불확실한 분류군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Beck et al. (2010)을 제외하고, 증거표본의 제시가 없기 때문에 목록을 추가로 검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의 식물목록을 검토하고, 현지조사를 통해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이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검토하며, 산림식물에 대한 식물다양성 조사를 통해 주요 식물들의 효율적인 관리와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덕적도를 중심으로 문갑도, 소야도의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2014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17일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Fig. 1). 정확한 동정을 위해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채집하였다. 채집된 식물들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하고, 각 표본마다 채집번호와 좌표를 부여하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KH)에 보관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Lee (1980, 2003), Park (1995, 2001, 2009), Lee (1996),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2011), Lee (2006) 등의 도감 및 Park ed. (2007)의 식물지 등을 이용하였다.

Table 1.Dates and routes of the investigations

Fig. 1.Map of investigated area in the study.

동정된 식물 목록은 Engler의 분류체계(Melchior, 1964)에 따라 배열하였고, 과 내에서는 학명의 알파벳순으로 정리하였으며, 학명과 국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를 따라 표기하였다. 주요 자원식물인 특산식물,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등은 Oh et al. (200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등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귀화식물 현황은 Lee et al. (2011), Jung (2014)의 문헌을 참고하였다.

 

결과 및 고찰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의 종구성

본 연구에서 밝혀진 덕적군도 내 덕적도, 문갑도, 소야도의 관속식물은 108과 362속 578종 5아종 66변종 4품종의 총 65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양치식물 8과 13속 21분류군(3.2%), 나자식물 2과 2속 3분류군(0.5%),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 84과 260속 439분류군(67.2%), 단자엽식물 14과 87속 190분류군(29.1%)으로 나타났다(Table 2). 이는 한반도의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13.4%를 차지하였다. 과별로 구분하면 벼과 83분류군, 국화과 74분류군, 사초과 46분류군, 콩과 34분류군, 백합과 32분류군, 장미과 24분류군, 마디풀과 21분류군, 꿀풀과 18분류군, 석죽과 16분류군, 십자화과 15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 14분류군, 면마과 13분류군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Summary on the floristics of Deokjeokdo and its adjacent regions

도서별 관속식물의 종구성을 살펴보면, 덕적도는 101과 324속 491종 5아종 54변종 4품종 554분류군, 문갑도는 69과 181속 254종 2아종 27변종 2품종 285분류군, 소야도는 81과 244속 325종 3아종 48변종 3품종 379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Comparison on the floras of Deokjeokdo, Mungapdo and Soyado

덕적군도 내 덕적도, 문갑도, 소야도의 대표적인 산림식생은 곰솔(Pinus thunbergii Parl.),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Hance)가 우점하였으며, 교목층은 주로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lume), 고로쇠나무(Acer pictum subsp. mono (Maxim.) Ohashi),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old & Zucc.) 등이 넓게 분포하였다. 그 하층부를 이루는 아교목 및 관목층에는 팥배나무(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분꽃나무(Viburnum carlesii Hemsl.),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 Thunb.),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장구밤나무(Grewia parviflora Bunge),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L.) DC.), 붉나무(Rhus javanica L.), 개옻나무(Rhus tricocarpa Miq.) 등의 출현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초본층으로 남산제비꽃(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큰까치수염(Lysimachia clethroides Duby), 삽주(Atractylodes ovata (Thunb.) DC.), 비짜루(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큰천남성(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노루발(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금난초(Cephalanthera falcata (Thunb.) Blume), 뚝갈(Patrinia villosa (Thunb.) Juss.), 참나리(Lilium lancifolium Thunb.), 가지청사초(Carex polyschoena H.Lév. & Vaniot) 등이 비교적 흔하게 넓은 지역에 걸쳐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덕적도 서포리, 문갑도 한월리, 소야도 때뿌루 해변 등 해안가에 발달한 염습지 및 갯바위에서는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 물골풀(Juncus gracillimus (Buchenau) V.I.Krecz. & Gontsch.), 갯잔디(Zoysia sinica Hance), 해국(Aster sphathulifolius Maxim.),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f.), 갯장구채(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통보리사초(Carex kobomugi Ohwi) 등의 염생식물들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덕적도의 경우 산림 내 산악자전거 코스 개발 및 해안가 산책로 확장으로 일부 산림이 훼손된 상태이며, 소야도의 경우는 섬 남단의 염소방목으로 인하여 초본층의 종다양성 파괴가 심각한 실정이다.

새로이 확인된 분류군

덕적도, 문갑도, 소야도 식물상과 관련한 이전의 연구들과 비교 검토한 결과(Lee et al., 1982; Hyun and Park 2009a; Hyun and Park 2009b; Hyun and Park 2009c; Beck et al., 2010), 본 연구를 통해 새로이 분포가 확인된 분류군은 진고사리(Deparia japonica (Thunb.) M.Kato), 모시물통이(Pilea mongolica Wedd.), 털쇠무릎(Achyranthes fauriei H.Lév. & Vaniot), 부령소리쟁이(Rumex patientia L.), 좁쌀냉이(Carda mine fallax L.), 선괭이밥(Oxalis stricta L.) 등 193분류군이며, 이들은 소산식물목록의 일련번호 앞에 ★로 표시하였다(Appendix 1). 특히, 숲개밀(Brachypodium sylvaticum (Huds.) P.Beauv.), 김의털아재비(Festuca parvigluma Steud.), 수강아지풀(Setaria ×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등 벼과 29분류군, 길뚝사초(Carex bostrychostigma Maxim.), 대사초(Carex siderosticta Hance), 쇠방동사니(Cyperus orthostachyus Franch. & Sav.) 등 사초과 25분류군이 새로이 확인되었다. 또한 유럽전호(Anthriscus caucalis M.Bieb.), 울산도깨비바늘(Bidens pilosa L.), 털빕새귀리(Bromus tectorum L.) 등 귀화식물 25분류군도 본 조사를 통해 새로이 분포가 확인되었다.

한편, 천마(Gastrodia elata Blume), 개정향풀(Trachomitum lancifolium (Russanov) Pobed.), 시호(Bupleurum falcatum L.),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 Miq.) 등 기존 문헌에 기록된 일부 분류군은 본 조사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이는 조사경로 및 일정의 차이로 판단된다. 따라서 미조사 경로 및 시기에 추후보완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산식물

조사지역에서 생육이 확인된 653분류군 중 특산식물(Oh et al., 2005)은 외대으아리(Clematis brachyura Maxim.), 새끼노루귀(Hepatica insularis Nakai), 각시족도리풀(Asarum glabrata (C.S.Yook & J.G.Kim) B.U.Oh), 서울제비꽃(Viola seoulensis Nakai), 갯겨이삭(Puccinellia coreensis Honda) 등 총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존 연구 자료를 포함하면 총 13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4). 그러나 조사지역의 문헌 기록 중 울릉도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섬바디(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와 경남, 전남의 남부 해안가 및 제주도에 주로 분포하는 개족도리풀(Asarum maculatum Nakai)은 오동정으로 판단된다(Park, 2007; So and Kim, 2008). 도서별 특산식물은 덕적도 3분류군, 문갑도 3분류군, 소야도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대으아리는 문갑도의 깃대봉에서 진고개로 연결되는 능선부에서 생육하고 있었으며, 각시족도리풀은 덕적도의 진2리 이개마을에서 비조봉 정상으로 가는 사면에서 소수의 개체를 확인하였다. 또한 덕적도의 능동자갈마당, 비조봉, 벗개저수지, 소야도의 국사봉에 생육하는 서울제비꽃은 다소 많은 개체를 확인하였으나, 접근하기 쉬운 저지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어 인위적인 훼손이 우려된다.

Table 4.z1: Lee et al. (1982), y2: Hyun and Park (2009a, 2009b, 2009c), x3: Beck et al. (2010), wD: Deokjeokdo, M: Mungapdo, S: Soyado.

희귀식물

희귀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목록에 따라 조사된 식물상을 검토한 결과, 멸종위기종(CR)에 해당하는 식물은 들통발(Utricularia pilosa Makino) 등 1분류군, 취약종(VU)은 세뿔석위(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버들금불초(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 쇠채(Scorzonera albicaulis Bunge) 등 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기존 선행연구 자료와 종합하면 총 18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5). 그러나 증거표본이 있는 문헌기록(Beck et al. 2010) 중 본 조사지역에 분포여부가 불확실한 긴개별꽃(Pseudostellaria japonica Paxn), 두메개고사리(Asplenium spinulosum (Maxim.) Milde), 외잎쑥(Artemisia viridissima (Kom.) Pamp.)은 재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안습지에 주로 자라는 들통발은 서포리 해안습지에서 확인되었으며, 주변의 삼림욕장 개발로 인한 훼손이 우려된다. 또한 세뿔석위는 덕적도 국사봉 능선부에서 소수 개체만 발견되었으며, 버들금불초는 덕적도의 능동자갈마당, 문갑도의 어르부리에서 처녀바위 방향 등산로 주변에서 다수의 개체가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희귀식물이 등산로 및 해안산책로 주변에 분포하고 있어 인위적인 훼손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보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able 5.z1: Lee et al. (1982), y2: Hyun and Park (2009a, 2009b, 2009c), x3: Beck et al. (2010), wD: Deokjeokdo, M: Mungapdo, S: Soyado.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12)은 Table 6과 같다. V등급종은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금방망이(Senecio nemorensis L.) 등 3분류군, IV등급 종은 이삭마디풀(Polygonum polyneuron Franch. & Sav.), 왕김의털(Festuca rubra L.) 등 2분류군, III등급으로는 금족제비고사리(Dryopteris gymophylla (Baker) C.Chr.), 큰꿩의비름(Hylotelephium spectabile (Boreau) H.Ohba), 가침박달(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낚시돌풀(Hedyotis biflora var. parvifolia Hook. & Arn.) 등 1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중 금방망이는 문갑도의 깃대봉 정상부 능선, 소야도의 죽노골소나무 및 소사나무군락에서 소수개체가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원도, 경북, 충북에 주로 분포하며 경기도 해안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가침박달(Kim et al., 2014)은 문갑도 선착장 남쪽사면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멱쇠채는 덕적도 능동자갈마당의 해안가, 문갑도 정상부 능선 소나무군락에 소수개체가 확인되었다.

Table 6.zD: Deokjeokdo, M: Mungapdo, S: Soyado, y*: Newly found in this study

귀화식물

조사지역 내 확인된 귀화식물은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 Thuill.),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 털빕새귀리(Bromus tectorum L.) 등 총 67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7). 최근 Jung (2014)은 이입시기에 따라 1기(1500∼1931년), 2기(1932∼1960년), 3기(1962∼현재)로 구분하였으며, 분포범위를 고려한 침입등급을 광분포종(WS), 심각한 확산종(SS), 확산 위험종(SR), 확산 우려종(SC), 확산 진행종(CS)으로 총 5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근거로 조사지역의 이입시기별 귀화식물을 살펴보면 1기 15분류군(22.4%), 2기 18분류군(26.9%), 3기 34분류군(50.7%)로 나타났으며, 침입등급별로는 광분포종 17분류군, 심각한 확산종 13분류군, 확산 위험종 11분류군, 확산 우려종 14분류군, 확산 진행종 1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 및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광분포종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인천항과 대부도항에서 정기적으로 운항되는 여객선과 관광객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대부도 일대에 분포가 확인된 귀화식물 91분류군(Jang et al., 2013; Lim et al., 2014) 중 50분류군이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나 대부도를 통한 귀화식물 유입이 일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7.zD: Deokjeokdo, M: Mungapdo, S: Soyado, yIntroduced period: 1st (1500-1931), 2nd (1932-1960), 3rd (1962-2014), xInvasion degree: WS (Widespread species), SS (Serious spread species), SR (Spread risk species), SC (Spread concern species), CS (Continue spreading species), w*: Newly found in this study.

또한 도서별 귀화식물 종구성을 살펴보면, 덕적도 61분류군, 문갑도 27분류군, 소야도 3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귀화율(Naturalized Index: 귀화식물의 종수/출현식물의 총 종수×100) 및 도시화지수(Urbanization Index: 귀화식물의 종수/남한 귀화식물 총 종수×100)는 덕적도 11.0%(NI), 19.0%(UI), 문갑도 9.5%(NI), 8.4%(UI), 소야도 8.4%(NI), 10.0%(UI)로 나타났다. 귀화율은 세 개섬이 유사한 비율을 보였으며, 도시화지수는 덕적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이는 문갑도, 소야도에 비해 면적이 넓고, 인구수가 많으며, 내륙과의 교류가 왕성한 결과로 여겨진다.

한편,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인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가시박(Sicyos angulatus L.)이 덕적도 및 소야도의 민가 및 등산로 주변에서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생육 및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주기적인 방제작업 등과 같은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덕적군도(인천광역시 옹진군) 내 덕적도, 문갑도, 소야도에 대하여 2014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17일에 걸쳐 관속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된 분류군은 108과 362속 578종 5아종 66변종 4품종으로 총 653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로 특산식물이 5분류군,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이 1분류군, 취약종이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5등급이 3분류군, 4등급이 2분류군, 3등급이 1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6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References

  1. Beck, E.H., A.R. Moon, J.M. Park and C.G. Jang. 2010. The study for flora of vascular plants of Deokjeokdo (Incheon). Korean J. Environ. Biol. 28(3):158-171 (in Korean).
  2. Hyun, J.O. and H.K. Park. 2009a. Flora of Deokjeok,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12 (in Korean).
  3. Hyun, J.O. and H.K. Park. 2009b. Flora of Mungap,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16 (in Korean).
  4. Hyun, J.O. and H.K. Park. 2009c. Flora of Seonyu,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9 (in Korean).
  5. Jang, J., S.H. Park, K.S. Chang, S.J. Ji, S.Y. Jung, H.J. Lee, H.S. Hwang and Y.M. Lee. 2013.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in Daebudo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 J. Asis-Pacific Biodiversity 6(2):261-280. https://doi.org/10.7229/jkn.2013.6.2.261
  6.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Department of Bioresource Sciences,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 Korea. p. 82 (in Korean).
  7. Kim, K.A., K.S. Cheon and K.O. Yoo. 2014.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xochorda serratifolia S.Moore habitats. Korean J. Plant Res. 27(2):155-173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4.27.2.155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ma.go.kr).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a. Illustrated Pteridophyta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47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b.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332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11.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600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534 (in Korean).
  13.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990 (in Korean).
  14.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p. 914, p. 910 (in Korean).
  15. Lee, T.B., E.S. Kim and C.S. Chang. 1982. Vegetation of Deogjeog Archipelago, The Deogjeog Archipelago, Report on the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n Korea. Jayeonboho-junganghyeobuihoe, Incheon, Korea. pp. 87-116 (in Korean).
  16. Lee, W.C. 1996. Standard Illustrated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24 (in Korean).
  17. Lee, W.C.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tiy Press, Chuncheon, Korea. p. 412 (in Korean).
  18.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87-101 (in Korean).
  1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Kyohaksa, Seoul, Korea. p. 974, p. 885 (in Korean).
  20. Lim, Y., K.P. Yoo,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rataxonomists and J.O. Hyun. 2014. Floristic study of Daebudo island. Korean J. Plant Res. 27(5):447-476 (in Korean). https://doi.org/10.7732/kjpr.2014.27.5.447
  21.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 666.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73-220 (in Korean).
  23.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 205 (in Korean).
  24. Ongjin country office. 2015. Ongjin country offices homepage (http://wwwongjin.go.kr/).
  25. Park, C.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482.
  26.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p. 372 (in Korean).
  27.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Seoul, Korea. p. 178 (in Korean).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02 (in Korean).
  29. So, S. and M. Kim. 2008. A taxonomic study of Asarum (Aristolochi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8(2):121-149 (in Korean).
  30. Yoon, S.O. and C.S. Park. 2009. Geomorphology of Deokjeok area,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 45 (in Korean).

Cited by

  1. Flora of the Five West Sea Islands in Korea vol.29, pp.4, 2016, https://doi.org/10.7732/kjpr.2016.29.4.434
  2. 무의도(인천광역시)의 관속식물상 vol.34, pp.4, 2016, https://doi.org/10.11626/kjeb.2016.34.4.246
  3. 안면도(충청남도)의 관속식물상 vol.30, pp.4, 2017, https://doi.org/10.7732/kjpr.2017.30.4.410